• 제목/요약/키워드: rocky habitat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희귀종인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et T.C. Lee)의 지리적 분포와 미소생육지의 생태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Ecology in Microhabitats of the Rare Species, 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et T.C. Lee)

  • 오현경;이경은;이용학;정연숙
    • 생태와환경
    • /
    • 제47권spc호
    • /
    • pp.74-82
    • /
    • 2014
  • 동강할미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석회암지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식물이다. 희귀성과 화훼자원으로 가치가 높아 최근 남획과 생육지 교란이 심각하다. 동강할미꽃의 보전과 자원 개발을 위해 세 가지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분포지를 조사하며, 둘째, 기존 생육지의 입지환경과 식생을 분석하며, 셋째 동강할미꽃 미소생육지 별 형태와 개체군의 특징을 비교하는 것이다. 삼척시, 정선군, 평창군 및 영월군에서 동강할미꽃이 자생하는 것을 재확인하였고, 충청북도 단양군에서 새로운 분포지를 발견하였다. 이로써 남한에서 지리적 분포지는 강원도에서 확대되어 충북까지, 우리나라 석회암분포지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함으로써 이 종이 호석회성 식물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분포하는 미소생육지의 87%가 바위틈이었다. 바위틈에서는 능선이나 사면에 비해 개체수는 적었으나, 유의하게 크기가 크고 꽃 수도 많으며 개화율이 높았다. 개체수가 적은 것은 바위지역에 잠재적 미소생육지 자체가 적기 때문일 것이다. 바위틈은 빛 조건이 좋고, 배수도 용이하며, 다른 종과의 경쟁도 피할 수 있으므로, 이 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생장하는 적지로 판단된다. 호석회성 식물 여부, 입지조건에 따른 발아와 정착에 대한 포장 실험 및 분포지와 미분포지의 교차이식실험 등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 또한 분포지가 석회암지역에 국한되므로 종 보전을 위해 개체군 보전의 위협요인과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제주도 만년콩(콩과) 자생지의 식생구조와 보전 방안 (Conserv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uchresta japonica (Leguminosae) in Jeju Island)

  • 송관필;장창기;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5
    • /
    • 2012
  • 한라산에 자생하는 위기식물 만년콩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육지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만년콩의 자생지는 해발 220 m에 위치하고 경사는 $40-50^{\circ}$로 매우 가파른 암석지대로, 돈네코 계곡의 북사면 일대에 소수의 개체가 불연속적이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조사는 만년콩이 확인된 지역($10{\times}20\;m$)과 분포하지 않는 인근지역을 조사하여 비교 하였다. 조사구는 구실잣밤나무 교목층(70-80%)이 수고 10-16 m로 형성되어 33종류의 식물종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위협 요인으로는 다른 종과 생육지 경쟁에서의 도태, 매우 가파른 자생지의 입지 등 자연적인 요소와 계곡 정비와 같은 인위적인 요소로 판단되었으며, 보전을 위한 현지 내외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추속(부추과) 미기록 식물 1종: 갯부추 (An unrecorded species of Allium (Alliaceae) in Korea: A. pseudojaponicum Makino)

  • 최혁재;김윤영;고은미;장창기;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3-59
    • /
    • 2006
  • 전라남도 여수시 거문도에서 발견된 부추속(부추과) 1분류군을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 분류군은 지금까지 일본의 남부지방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Allium pseudojaponicum Makino로서, 근연종인 산부추(Allium thunbergii G. Don)에 비해 윤이 나는 상록성의 잎, 화경에 측생하는 인경 및 2n=32의 염색체수 등의 특징으로 쉽게 구분된다. 국명은 생육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갯부추'로 신칭하였다. 이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고, 도해 및 생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Phylogeography of the Lessonia variegata species complex (Phaeophyceae, Laminariales) in New Zealand

  • Zuccarello, Giuseppe C.;Martin, Peter
    • ALGAE
    • /
    • 제31권2호
    • /
    • pp.91-103
    • /
    • 2016
  • A goal of phylogeography is to relate phylogenetic patterns to potential historic and contemporary geographic isolating events. Genetic breaks found in phylogeographic studies may denote boundaries between more generally applicable biogeographic region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Lessonia variegata, an important habitat forming alga, found on most rocky shores around New Zealand’s main islands, plus related species from surrounding waters. L. variegata has been shown to consist of four distinct cryptic species. Our aim was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L. variegata with proposed bioregions; and to develop phylogeographic hypotheses to explain its present day distribution. Both a mitochondrial (atp8-sp) and plastid (RuBisCo spacer) marker, with different mutation rates, were used to gain information of the phylogenetic history of Lessonia. The data revealed high phylogeographic structuring and reciprocal endemism for all L. variegata cryptic species. One species (L. variegata / N) is confined to the northern part of the North Island of New Zealand; L. variegata / W is found at the southeast of the North Island and the northern South Island; L. variegata / K is endemic to the northeast South Island; and L. variegata / S is restricted to the southern part of the South Island. No overlapping areas of L. variegata species distribution were found. The data showed that genetic breaks in Lessonia do mostly correlate to bioregions,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ape Campbell at the northeast of the South Island and East Cape in the North Island, well known phylogeographic breaks, as a barrier between adjacent species.

소너 및 수중 CCTV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수영만 인공어초 주변에 군집한 어군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Fish Aggregations Responding to Artificial Reefs Using a Split-beam Echo Sounder, Side-scan Sonar, and an Underwater CCTV Camera System at Suyeong Man, Busan, Korea)

  • 이대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66-272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and evaluate the school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istribution density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and acoustic size (target strength), of commercially valuable species swimming in response to artificial reefs installed at Suyeong Man, Busan, Korea. Fish aggregations at two artificial reef areas and at a nearby natural rocky reef habitat were recorded and analyzed using a 70 kHz split-beam echo sounder and 330 kHz side-scan sonar from August to September, 2006. An underwater CCTV camera system was also used to observe marine organisms in physical contact with and swimming very close to artificial reefs. During the acoustic observations at three reef sites, useful information about schooling characteristics of fish aggregations responding to artificial reefs were obtained, but more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ing behavior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s in areas containing natural reef structures and artificial reefs.

The mechanisms leading to ontogenetic diet shift in a microcanivore, Pterogobius elapoides(Gobiidae)

  • Choi, Seung-Ho;Suk, Ho-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4호
    • /
    • pp.343-349
    • /
    • 2012
  • A variety of fish species undergo an ontogenetic change in prey selectivity, and several potentially interacting factors, including nutrient requirement, microhabitat change, and foraging ability, may account for the occurrence of the shift. Here we examine the foraging ecology and ontogenetic diet shift of a micro-carnivorous goby, Pterogobius elapoides (serpentine goby), dominant component of fish assemblage in shallow rocky areas off the coast in Korea and Japan. Although most other gobies are primarily benthic carnivores, P. elapoides is a semipelagic fish;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hose species change their foraging tactics with growth. In our diet analyses, the most common diet was pelagic copepods and benthic amphipods, and diet shift was observed from pelagic to benthic with growth. The ontogenetic diet shift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for energetically more profitable prey in larger-size classes as well as the results of different prey availability due to among-habitat variation in diet. However, differential food preference does not appear to affect individual scope for searching food. Several factors such as predation pressures and interspecific resource partitioning might contribute to the changes in diet observed among size classes, which were included in our ongoing tests.

한국의 남해 거문도 암반조하대의 수심별 해조류의 분포: 조사기법에 따른 장·단점 (Vertical Distribution of Seaweeds in the Rocky Shore Ecosystem in Geomundo, South Coast of Korea: Analy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Using a Survey Method)

  • 배종일;황성일;한상조;성봉준;전병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78-291
    • /
    • 2024
  • This study performed three research methods (destructive, non-destructive, and panoramic image analysis) to determine the most useful for identifying seaweed habitat characteristics. Panoramic images a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seaweed distribution. The composition of the main dominant seaweed spec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structive and non-destructive methods using Quadrat. The destructive method showed Rhodophyta dominance, whereas the non-destructive was showed Phaeophyta as dominant. Destructive methods are disadvantageous because they destroy natural communities in sea areas where bleaching is severe. Non-destructive methods are disadvantageous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analyzing small species. Performing 10 surveys using a non-destructive method was found to explain up to 80% of the species identified by the destructive method. However,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field investigation, repeating the investigation with non-destructive methods at least 6-7 times is necessary to ensure that more than 60% of the destructive methods can be interpre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oceanic marine algae, performing both destructive and non-destructive surveys are necessary, as each has its own merits and demerits.

한국 완도연안 비단가리비(Chlamys farreri)의 성장과 산란 (A Study on the Growth and Spawning of Korean Scallop (Chlamys farreri) around Wando, Korea)

  • 강태구;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210-221
    • /
    • 2000
  • 완도연안의 비단가리비 개체군을 대상으로 자원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1998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서식환경 및 밀도조사를 하였고, 패각에 나타난 윤문을 이용하여 연령과 성장을 구명하고, 생식소 난성숙비, 숙도지수의 변화, 포란수 측정 등으로부터 성숙과 산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수온 및 비중의 범위는 7.6∼25.9$^{\circ}C$, 1.0188∼l.0260였고 DO와 pH는 각각 6.48∼9.50ppm, 8.17∼8.80의 범위였다. 2. 저질상태에 따른 서식밀도는 암반과 자갈에서 28.83 마리/100㎡의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고, 전체의 82,4%가 서식하였다. 3. 각장 (SL)과 각고 (SH)와의 관계는 SH=1.021SL+2.211 (R$^2$= 0.989), 각장과 전중량(TW)의 관계는 TW=$0.0003SL^{2.837}$ (R$^2$= 0.980)였다. 4. von Bertalanffy 성장식의 매개변수 추정치를 보면 이론적 최대각고($SH_{\infty}$)는 117.4mm, 성장계수 (K)는 0.612/yr, 각고가 0일 때의 이론적인 연령 ($t_{0}$)는 -0.017세였다. 5. 50% 군성숙연령은 0.21세로 이 때의 군성숙 각고는 18.3mm였다. 산란기는 6∼7월과 10월 연 2회 추정되었으며, 포란수 (Fc)에 대한 각장 (SL) 및 생식소중량 (GW)의 관계는 Fc = $697.03SL^{2.683}$ (R$^2$= 0.984), Fc =10,076,090GW + 15,608,781 (R$^2$= 0.990)로 나타났다.

  • PDF

남해안 특정도서 암반조간대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on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Specified Islands, Southern Coast of Korea)

  • 양세희;양효식;이창일;서총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53-865
    • /
    • 2022
  • 본 연구는 남해안 38개 특정도서의 암반조간대에서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방형구(50x50cm)를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와 우점종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도서에서는 총 80종이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이 54종으로 67.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절지동물은 15종(18.7%)이었다. 그 외 자포동물, 해면동물, 극피동물은 1~6종의 범위내에서 출현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여수의 특정도서에서 61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하동, 남해, 추자도 등에서는 각각 42~46종으로 유사하였고, 보성과 고흥은 29종으로 출현종수가 가장 적었다. 정점별 출현종수는 6종(정점 6)~33종(정점 20)의 범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으로 15개 특정도서에서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검은큰따개비가 11개 특정도서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좁쌀무늬총알고둥은 36개 특정도서에서 출현하여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대수리 30개, 굵은줄격판담치 29개, 갈고둥 28개, 갯강구 27개, 총알고둥 26개의 특정도서에서 출현하였다. 국외반출승인 대상종은 연체동물 9종, 절지동물 4종, 자포동물 2종이며, 국가적색목록은 총 50종으로 관심대상(LC)은 44종, 정보부족(DD) 3종, 미평가(NE), 준위협(NT) 및 미적용(NA)은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남해안 특정도서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지역에 따른 노출시간, 암간 조간대의 길이, 암반기질 등 서식환경 차이에 의한 출현종수와 우점종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특정도서 모니터링과 관리방안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정도리 방풍림의 식생구조와 보전 (Vegetation Structure and Conservation of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s on Wando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 임동옥;최현우;장정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7
    • /
    • 2010
  • 정도리 해안방풍림은 바다와 육지 사이에 위치하면서 육상 경작지나 어촌 마을을 보호하는 생태적 천이지역으로서 매우 중요한 곳이다. 정도리 방풍림 식생 중 해안가 갯돌밭 지역에서는 상동나무 망토군락을 이루며 그 안쪽에 광나무나 쥐똥나무가 아교목상으로 우점한다. 안쪽부분은 광나무-굴참나무군락, 광나무-덜꿩나무군락, 광나무-생달나무군락, 생달나무-개서나무군락 및 소나무-덜꿩나무군락으로 확인되었다. 정도리 방풍림은 교목층 평균수고는 10.3m, 평균흉고 직경은 30.3cm로 인공 숲이지만 자연림에 가까운 이차림으로 생태학적인 보전가치가 높다. 명송 3 호로 지정된 정도리 방풍림은 많은 방문객들로 안해 인위적인 간섭을 당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는 정도랴 방풍림을 보전하기 위해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도리 구계등 갯돌의 문화적 가치와 숲의 자연성을 고려하여 장차 문화재청은 정도리 방풍림을 병승으로 뿐만 아니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