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oasting temperature

Search Result 19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산화철 배소에 따른 분체 특성 및 Sr-ferrite 자석의 소결 특성 (Characteristic of Iron Oxide and the Magnetic Properties of Sr-ferrite by Roasting Temperature of Iron Oxide)

  • 장세동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6호
    • /
    • pp.19-25
    • /
    • 2003
  • 제철소 냉연 공정의 염산 폐액에서 ruthner process 공법으로 제조된 산화철을 사용하여 2차 배소 온도변화에 따른 산화철의 분체 특성을 조사하였고, 산화철과 스트론튬을 건식 혼합 및 가소후 Sr-ferrite 자석을 제조하여 자기적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Ruthner proces의 산화철을 2차 배소를 실시한 경우, Cl- 함량이 적고 분체 특성이 안정적인 배소온도는 $800^{\circ}C$ 부근으로, 평균 입자(APS)는 1.5 $mu extrm{m}$, apparent bulk density(ABD)는 1.4 g/$m\ell$ 이며, Cl- 함유량은 0.05% 이하를 나타내었다. Ruthner process에서 제조된 산화철을 vibrating disk mill에서 1차 분쇄를 실시한 경우, Sr-ferrite magnet의 보자력(HcJ)은 229 kA/m에서 251 kA/m로 향상하였다. Sr-ferrite magnet의 소결 온도 변화에 따른 잔류자속밀도와 보자력의 희귀식은 Br≒-0.258HcJ+494의 함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성형 중 가한 자장 방향과 수직방향에 따른 수축비는 산화철의 2차 배소 온도 $800^{\circ}C$까지는 1.6으로 안정적인 판상형으로 결정 성장을 나타내고 있으나, 그 이상의 온도로 2차 배소한 산화철을 사용한 경우에는 소결에서 결정이 더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Pleurotus eryngii Mycelium으로 발효한 더덕 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Deodeok Tea with Pleurotus eryngii Mycelium)

  • 이지연;김병극;박홍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37-644
    • /
    • 2013
  • 새송이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더덕의 가공제품 개발가능성과 발효차에 대한 기초자료 제시를 위하여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발효 더덕을 볶음온도 및 볶음시간을 달리하여 발효차를 제조하여 이화학특성 및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결과, 갈색도, 탁도, 환원당,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볶음온도 및 볶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였으나, pH는 감소하였다.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의 경우, DPPH radical 소거능, FRAP 및 환원력은 볶음온도 및 볶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180^{\circ}C$에서 30분 볶음 처리한 차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다른 시료에 비해 진한 색, 향, 맛이었으나, 버섯 고유의 취와 탄 향이 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180^{\circ}C$ 30분간 볶음 처리시료는 대조구와 비교 시 기능성 함량 수준도 높고, 무엇보다 기호도가 높아 소비자의 요구에 가장 부합되는 차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의 결과, 발효 더덕은 항산화력이 높고, 고온노출에서도 물성이 비교적 안정하여 차 이외의 다양한 가공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기능성 들깻잎을 이용한 침출차의 품질 극대화를 위한 최적 볶음조건 연구 (Optimal Roasting Conditions for Maximizing the Quality of Tea Leached from High Functional Perilla frutescens Leaves)

  • 윤웅재;양성용;이현순;홍충의;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4-40
    • /
    • 2012
  • 본 연구는 고기능성 들깻잎을 사용한 침출차 제조의 품질 극대화를 위한 최적볶음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볶음조건을 볶음온도($120-200^{\circ}C$)와 볶음시간(15-35 min)을 달리하면서 들깻잎 차의 항산화력과 생리활성성분을 분석하여 들깻잎의 품질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실험구간 내 볶음조건 별 종합적인 품질비교를 통하여 최적 볶음조건을 선정하였다. 볶음조건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대체적으로 $160^{\circ}C$ 이하에서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160^{\circ}C$ 이상에서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높은 볶음조건에서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모두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Caffeic acid 및 rosmarinic acid는 실험구간 내 낮은 온도에서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다가 대체적으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였다. 실험구간 내 볶음조건별 들깻잎의 품질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고기능성 들깻잎을 이용한 침출차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최적 볶음조건은 $180^{\circ}C$, 20 min로 선정되었다.

볶음온도에 따른 유채유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peseed Oils according to Different Roasting Temperatures)

  • 안다희;유경단;김광수;차영록;정재희;최지봉;우관식;황엄지;박유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79-488
    • /
    • 2023
  • In this study, quality properties of rapeseed oil by different roasting temperatures (140, 160, 180, and 200℃) were investigated. Roasted-pressed oil (RPO) showed a decrease in lightness and an increase in redness and yellowness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compared to cold-pressed oil (CPO). In addition, the β-carotene and tocopherol content also increased in RPO as the roas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tocopherol content increased by 18~20% in RPO at 200℃ compared to CPO. This increase in bioactive components led to improv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ependent on roasting temperature, and RPO at 200℃ showed a 2.7-fold improvement compared to CPO.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higher roasting temperatures resulted in an extended oxidation induction period, increasing by up to 3.3 times. In conclusion, roasting is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the oil functionality of domestic rapeseed varietie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producing high-quality oil.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진피의 항산화 활성 최적화를 위한 로스팅 조건 확립 (Roasting Conditions for Optimization of Citri Unshii Pericarpium Antioxidant Activit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황현정;박정아;최정인;김희수;조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1-268
    • /
    • 2016
  • 본 연구는 진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최적 로스팅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로스팅 온도($40{\sim}100^{\circ}C$, $X_1$)와 로스팅 시간($5{\sim}15min$, $X_2$)을 독립변수로 하고, 중심 합성계획(CCD) 실험 범위 설정에 따른 13가지 조건으로 로스팅 된 진피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71.12^{\circ}C$에서 9.39분 로스팅 하였을 때 최적점이 72.38%로 예측되었으며, 총페놀 함량은 $69.71^{\circ}C$에서 8.39분 로스팅 하였을 때 최대 10.76 mg TA/g,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2.54^{\circ}C$에서 8.64분 로스팅하였을 때 최대 105.99 mg QE/100 g,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68.97^{\circ}C$에서 9.84분 로스팅 하였을 때 최대 60.33%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피의 항산화 활성 및 유효성분 증가를 위한 최적 로스팅 조건은 $70.90^{\circ}C$, 9.03분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조건에서 예측된 각각의 값과 실제 측정값을 비교하였을 때 95% 신뢰구간 내에서 재연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로스팅 된 진피의 열수 추출물의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소재 및 식품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통해 유효 물질의 분리 정제 및 구조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깨의 볶음 조건이 참깨 착즙액의 이화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n sesame seed juice under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박혜정;김지윤;박성환;이상현;장정수;이문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21-4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참깨 착즙액의 볶음 온도가 영양 성분, 소화효소 활성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깨를 160, 200, $240^{\circ}C$에서 3분간 볶은 뒤 저속 녹즙기로 착즙하였다. 짧은 시간의 볶음 처리로 인해 모든 참깨 착즙액에서 벤조피렌 및 트랜스지방산은 검출되지 않거나 극소량만 검출되었다. 참깨 착즙액은 무기질, 비타민 및 지방산과 같은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며, 볶음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무기질, 비타민 B1, B3 및 세사몰 함량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지방산, 비타민 $B_2$, 세사민 및 세사몰린은 감소되었다. 참깨 착즙액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은 볶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고, $240^{\circ}C$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본 결과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볶은 참깨 착즙액이 체내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제안한다.

A Study of Compound Changes in Coffee Beans by Different Roasting Condition

  • Lee, Jae Chul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4-119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diverse compound in coffee beans under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Four different kind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phenolic contents, flavonoid contents, chlorogenic acid, and caffein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coffee roasting, this study categorized green bean, extract A ($191^{\circ}C$), B ($202^{\circ}C$), C ($220^{\circ}C$), and D ($233^{\circ}C$). As a result, total phenol compound showed low level of total phenol compound at lower temperatures. Extract 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otal flavonoid ($111.33{\pm}10.14$), green bean showed $83.67{\pm}2.43$, Extract B $46.11{\pm}2.38$, C and D showed $31.44{\pm}0.12$, $19.22{\pm}0.46$ respectively. Green bean showed higher level of chlorogenic acid ($64.47{\pm}0.51$), Extract A ($39.66{\pm}0.47$), extract B ($12.45{\pm}0.99$), C, D ($3.59{\pm}0.31$, $0.63{\pm}0.12$) respectively. This study also no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t in terms of caffeine content. Extract A has higher level of caffeine content ($38.45{\pm}1.70$) significantly, green bean ($27.14{\pm}2.27$), extract B ($18.95{\pm}0.64$), extract C ($17.89{\pm}0.96$). As a conclusion, we revealed that roasting condi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mposition of coffee compounds.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볶음조건에 따른 중금속(Pb, Cd) 제거 특성 (Elimination of Heavy Metals(Pb, Cd) by Steaming and Roasting Condition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 김경태;노정은;이정은;김정옥;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5
    • /
    • 2005
  •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열처리 중 수용성 고형분 및 Pb, Cd 제거율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RSM)을 활용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증자시간($60{\sim}180$ min), 볶음온도($110{\sim}150^{\circ}C$) 및 볶음시간($10{\sim}50$ min)을 달리하여 16구간으로 제조된 시료의 수용성 고형분 함량, Pb 및 Cd 제거율을 측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측된 가용성 고형분의 최대값은 $71.47\%$ 이었으며, 이때의 증자 및 볶음조건은 증자시간 65.24분, 볶음온도 $126.93^{\circ}C$ 및 볶음시간 37.58분 이었다. 둥굴레 시료의 Pb 제거율은 증자시간 71.23분, 볶음온도 $119.81^{\circ}C$ 및 볶음시간 24.35분일 때 최대값 $18.87\%$이었으며, Cd 제거율은 증자시간 160.89분, 볶음온도 $126.43^{\circ}C$ 및 볶음시간 15.81분일 때 최대값 $50.85\%$로 예측되었다. 중금속 제거율을 고려한 둥굴레차의 품질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증자 및 볶음조건은 증자시간 $165{\sim}180$분, 볶음온도 $120{\sim}135^{\circ}C$ 및 볶음시간 $30{\sim}45$분 범위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예측범위 내의 임의의 점에서 실제 실험한 실험치는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도출된 회귀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들깨잎차 볶음처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Roasted Perilla Leaf T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한호석;박정혜;최희진;성태수;우희섭;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96-106
    • /
    • 2004
  • 들깨잎차 개발을 목적으로 볶음처리 한 차의 관능적 특성 및 전자공여능 등을 조사하고 반응표면분석을 통한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볶음온도 $140{\sim}220^{\circ}C$와 볶음시간 $5{\sim}25$분 등 두 가지 조절을 독립변수로 하고 관능검사를 통한 맛, 색, 향기와 전자공여능의 기능적 특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측정한 결과를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program을 사용하여 들깻잎의 기능성 차 개발을 위한 볶음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깻잎차는 볶음처리에 따라 Hunter 색체계에서의 백색도(L)와 황색도(b)는 볶음시간과 볶음온도가 증가될수록 높아진 반면, 적색도(a)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은 볶음온도와 볶음시간이 1% 유의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며,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0.9828로써 $220^{\circ}C$, 15분에서 볶음처리 했을 때 70.30%로 높게 나타났다. 깻잎차의 관능적 품질로써 맛, 색 및 향은 볶음처리와 더불어 기호도가 증가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에 의해 볶음온도 $210{\sim}220^{\circ}C$,볶음시간 $10{\sim}20$분 범위를 최적 볶음조건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최적볶음조건에 의해 만들어진 들깨잎차의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tyrosinase, xanthine oxidase 및 전자공여능에서 각각 10.14, 14.37 및 59.19%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둥굴레차의 혈당강하 성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증자 및 볶음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teaming and Roasting Conditions for Maximized Hypoglycemic Properties of Polygonatum odoratum Tea)

  • 김경태;김정옥;이기동;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9-556
    • /
    • 2005
  •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열처리 중 혈당강하성 분과 관능적 품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RSM)을 활용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해 증자시간($60\~180$분), 볶음온도$(110\~150^{\circ}C)$ 및 볶음시간($10\~50$분)을 독립 변수로 하여 16구간의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고, 둥굴레 추출물의 품질에 관련된 수용성 고형분, stigmasterol, $\beta-sitosterol$ 및 관능적 특성 (전반적 기호도)을 반응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의 $R^2$는 각각 0.8691(p<0.05), 0.8253(p<0.10), 0.8727(p<0.05) 및 0.8316(p<0.10)이었다. 수용성 고형분의 최대값은 증자시간 65.24분, 볶음온도 $126.93^{\circ}C$, 볶음시간 37.58분일 때 $71.47\%$를 나타내었다. 총 혈당강하성분의 최대값은 증자시간 107.76분, 볶음온도 $117.78^{\circ}C$, 볶음시간 14.70분일 때 $764.10\;{\mu}g/g$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증자시간 126.04분, 볶음온도 $115.79^{\circ}C$, 볶음시간 43.98분일때 6.89의 최대값을 보였다. 혈당강하성분과 관능적 특성의 실험치는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예측된 값들과 유사하여 도출된 회귀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