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iver-bed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6초

개수로 내 식생구간의 흐름저항 및 흐름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Study of Flow Resistance and Flow Characteristics over Flexible Vegetated Open Channel)

  • 여홍구;박문형;강준구;김태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61-74
    • /
    • 2004
  • Hydraulic engineers and scientists working on river restoration recognize the need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natural streams as a complex and dynamic system, which involves not only abiotic elements(flow, sediments) but also biotic component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ole played by riverine vegetation dynamics and flow conditions becomes essential. Hydro-mechanic interaction between flow and flexible plants covering a river bed is studied in this paper and some previous works are discussed. Measurements of turbulence and flow resistance in vegetated open channel were performed using rigid and flexible tube. Measuring detailed turbulent velocity profiles within and above submerged and flexible stems allowed to distinguish different turbulent regimes. Some interesting relationships were obtained between the velocity field and the deflected height of the plants, such as a reduced drag coefficient in the flexible stems. Turbulent intensities and Reynolds stresses were measured showing two different regions : above and inside the vegetation domain. In flexible vegetated open channel, the maximum values of turbulent intensities and Reynolds stresses appear above the top of canopy. Method to predict a flow resistance in flexible vegetated open channel is developed by modifying an analytical model proposed by Klopstra et al. (1997). Calculated velocity profiles and roughness values correspond well with flume experiments. These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ed model for open channel with flexible vegetation. The new method will be verified in the real vegetated conditions in the near future. After these verifications, the new method should be applied for nature rehabilitation projects such as river restorations.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Cyprinidae)의 산란 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Gobiobotia brevibarba (Cyprinidae))

  • 최재석;변화근;권오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3-128
    • /
    • 2001
  • 강원도 홍천군 서면 반곡리에서 1999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Gobiobotia brevibarva를 대상으로 산란생태를 조사 연구하였다. 본 종의 서식지는 유속이 빠르며 하상이 작은돌, 자갈로 이루어진 여울역이었다. 산란장은 수심 20~50 cm, 유속 0.6~1.3 m/sec 그리고 하상구조는 cobble과 boulder로 이루어진 곳이었다. 암 수 성비는 1 : 0.86이었으며 산란성기는 수온이 $18{\sim}20^{\circ}C$가 되는 5월이었으며 생식활동의 시작은 암컷 체장 50 mm, 수컷 체장 40 mm 이상이 되어야만 성적으로 성숙하였다. 평균포란수는 평균 $2,040{\pm}400.57$개, 난의 직경은 $1.98{\pm}0.06\;mm$였다. 성숙란은 밝은 노란색을 띤 완전한 구형으로 침성란이었다.

  • PDF

경주 및 천북 지역의 선상지 지형발달 (The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Fans in the Cyeongju City and Cheonbuk area, Southeastern Korea)

  • 윤순옥;황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6-69
    • /
    • 2004
  • 천북지역을 포함하여 경주시를 중심으로 선상지분포와 지형발달을 조사하였다. 선상지는 하상비고가 다른 고위면. 중위면, 저위면의 세 지형면으로 구분된다. 불국사∼울산지역과 마찬가지로 빙기와 간빙기가 반복된 제4기 기후변화와 북-남 및 북서-남동 방향의 구조선이 탁월하게 발달하면서 합류선상지가 형성되었다. 단일 규모로는 우리나라에서 최대급에 속하는 경주선상지는 선사시대 이래 인간활동의 중심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 선상지를 형성한 북천은 선사, 고대에 거의 범람하지 않았다. 경주선상지는 지형면 전체에서 지하수위가 지표면 부근까지 도달하여 일반적인 지형특성과 달리 선앙부에도 용천이 분포한다. 이것은 유역분지의 상류부와 중류부에 넓은 퇴적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북천 규모에 비해 하류부에 퇴적물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침식률 측정결과를 사용하는 유사이동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Sediment Transport Model Using Observed Erosion Rates)

  • 정태성;크랙 죤스;월버트 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2호
    • /
    • pp.1033-1041
    • /
    • 2004
  • 현장에서 교란하지 않고 채취한 유사 시료의 침식률을 측정한 결과를 직접 활용하여 침식률을 계산하는 2차원 유사이동 수치모형을 수립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미국 팍스강에서 홍수시 유사 수송과정을 모의하였다. 큰 전단응력 하에서도 침식률 측정이 가능한 Sedflume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채취된 시료의 침식률이 깊이별, 전단응력 별로 측정되었다. 수치모형은 침식률 측정자료를 모형에서 직접 사용하며, 부유사와 소류사 이동을 모두 고려한다. 개발된 모형은 1차원 직선수로에서 유사수송에 대해 검증되었다. 홍수시 팍스강의 유사 수송과정을 모의하고 부유사 농도의 시간변화에 대해 검증한 결과, 모의결과가 관측치와 잘 일치하여 현장 침식률 값을 직접 사용하는 모형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류이송형 McCormack 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Upwind McCormack Scheme)

  • 김원;한건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9호
    • /
    • pp.727-73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McCormack 기법의 2차 정확도 및 단순성의 장점과 불연속 흐름을 해석할 수 있는 상류이송기법의 장점을 결합하여 상류이송형 McCormack 기법을 새로이 개발하였다. 이 기법은 생성항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법을 해석해를 가진 가상적인 하도에 적용한 결과 기존 McCormack 기법에서 발생하던 수치진동없이 해석해를 잘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하천에 대한 적용을 위해 하상과 하폭의 변화가 매우 심한 한강 하류구간에 적용한 결과 기존 McCormack 기법이 해석할 수 없는 정상류나 부정류를 모두 잘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류이송형 McCormack 기법은 복잡한 자연하도의 흐름해석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평취수장 부근에서 충적하천의 저수로 이동 특성 (Lateral Migration Features of the Alluvial Channels in Hapyeong Intake Station, Nakdong River)

  • 장창래;이광만;김계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4호
    • /
    • pp.395-404
    • /
    • 2008
  • 충적하천의 복잡하고 다양한 이동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하천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저수로의 이동 및 하상저하로 인하여 취수문제가 있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한 해평취수장 주변에 대하여 항공사진 분석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하천의 지형변화, 저수로의 이동 특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저수로는 좌안에서 우안으로 이동해 가고 있으며, 저수로는 강턱유량에 대하여 복렬사주가 발달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하천의 경사가 급하고 하폭이 넓고 수심이 얕은 곳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저수로의 불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저수로의 사행도가 감소하면서 저수로 폭이 증가하는 것은 제한된 범위 안에서 저수로의 분류와 합류가 활발하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의 증가에 따라 저수로 하폭의 증가율과 측방향 이동율은 감소하고 있다. 강턱유량을 이용하여 중규모 영역구분을 수행한 결과, 복렬사주가 발달하는 하천의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모래하천으로서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으로 판단되었다.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Land Use of Anthropogenic Soils Dredged from River Basins

  • Park, Jun-Hong;Park, Sang-Jo;Won, Jong-Gun;Lee, Suk-Hee;Seo, Dong-Hwan;Park, So-Deu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1-34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land composed from the river-bed sediments.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t 30 different sampling sites containing paddy,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from 2012 to 2015. pH, exchangeable calcium and magnesium decreased gradually in paddy soils during the four years, whereas the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Ca, Mg and EC increased in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soil. For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bulk density and hardness of topsoil were $1.47g\;cm^{-3}$ and 21.5 mm and those of subsoil were $1.71g\;cm^{-3}$ and 25.7 mm in paddy soils. In upland soils, bulk density and hardness of topsoil were $1.48g\;cm^{-3}$ and 15.9 mm and those of subsoil were $1.55g\;cm^{-3}$ and 16.9 mm. In plastic film house soils, bulk density and hardness of topsoil were $1.42g\;cm^{-3}$ and 14.4 mm and those of subsoil were $1.40g\;cm^{-3}$ and 18.5 mm, respectively. The penetration hardness was higher than 3 MPa below soil depth 20 cm, and it is impossible to measure below soil depth 50 cm. As these results, in agricultural anthropogenic soils dredged from river basins, the pH,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cations decreased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also deteriorated with time. Therefore, it is needed to apply more organic matters and suitable amount of fertilizer and improve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by cultivating green manure crops, deep tillage, and reversal of deep soils.

일산대교 교각세굴 평가 사례 연구 (Case Study on Local Scour Evaluation of Il-San Bridge)

  • 이주형;곽기석;박재현;정문경;윤현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67-676
    • /
    • 2005
  • In this research, the reasonable local scour estimates considered conditions of the bed material and the flow was accomplished on two piers P14 and P17 of Il-san bridge. Especially, the Il-san bridge was located on the lower Han-river where is influenced by the tides of In-chon, and it has hydraulic condition that can cause the bridge piers local scour because of tides at ordinary times, as well as a flood. Therefore, the local scour depth has been presented influenced by the maximum velocity of the flow when a flood after construction and the tides on co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 standards of river design and road design, furthermore, the results was made a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ocal scour depth on the basis of the standards of river design was higher than it on the basis of the standards of road design(SRICOS), and the local scour depth influenced by the maximum velocity of the flow when a flood after construction was determined the final local scour depth of P14 and P17 at the Il-san bridge. It was ascertained that the local scour depth did not exceed the inserted depth of bridge foundation.

  • PDF

HSPF 유역모델을 이용한 낙동강유역 실시간 수온 예측 (Operational Water Temperature Forecast for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HSPF Watershed Model)

  • 신창민;나은혜;김덕길;김경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73-682
    • /
    • 2014
  • A watershed model was constructed using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to predict the water temperature at major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basin, Korea. Water temperature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indices used to determine the nature of an aquatic environment. Most processes of an aquatic environment such as saturation level of dissolved oxygen, the decay rate of organic matter, the growth rate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re affected by temperature. The heat flux to major reservoirs and tributaries was analyzed to simulate water temperature accurately using HSPF model. The annual mean heat flux of solar radiation was estimated to $150{\sim}165W/m^2$, longwave radiation to $-48{\sim}-113W/m^2$, evaporative heat loss to $-39{\sim}-115W/m^2$, sensible heat flux to $-13{\sim}-22W/m^2$, precipitation heat flux to $2{\sim}4W/m^2$, bed heat flux to $-24{\sim}22W/m^2$ respectively. The model was calibrated at major reservoir and tributaries for a three-year period (2008 to 2010). The deviation values (Dv) of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6.0 to 3.7%, Nash-Sutcliffe efficiency(NSE) of 0.88 to 0.95, root mean square error(RMSE) of $1.7{\sim}2.8^{\circ}C$. The operational water temperature forecasting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in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data and had a similar accuracy with model calibration results.

하구폐색저감을 위한 도류제 제원에 관한 연구 (Study on Training levee Dimension for Reduction of River Mouth Occlusion)

  • 최창진;추연문;김성범;지홍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9-15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완경사 하천에 유입하는 지류 하구부 하도폐색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류하도로 유입하는 합류각이 $30^{\circ}$, $45^{\circ}$, $60^{\circ}$, $75^{\circ}$ 형태의 가상하도 합류부의 구조를 설정한 후, 수제의 길이가 본류하도 하폭의 4%, 6%, 8%, 10%에 해당하는 도류제에 대해서 각각의 수리학적 특성을 SMS의 RMA-2와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 결과에서 설정된 적정 도류제를 낙동강 본류에 유입하는 합류각이 큰 감천 합류부와 합류각이 작은 위천 합류부에 적용하여 유속, 수위, 하상변동 등 수리학적 특성 분석을 통한 하구폐색저감을 위한 도류제 제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