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bed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38초

한강 하구 신곡수중보 하류에서 하상변동 - 2009년부터 2010년까지 (Bed Changes downstream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Han River Estuary - from 2009 to 2010)

  • 황승용;이삼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819-829
    • /
    • 2018
  • 한강 하구 신곡수중보 하류에서 하상변동 조사를 실시하고 평균 하상고와 하상변동량을 계산하여 하상변동 경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저수로 하상변화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부등류 계산을 통한 시행착오법으로 '저수로 만제 유량'을 설정하여 평균 하상고를 산정하였다. '평균 하상'을 기준으로 계산된 하상변동량 덕분에 여러 시기 하상을 일관된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었다. 한강 하구에서 하상변동 경향은 홍수에 따른 저하와 비홍수기 조석에 따른 상승의 순환으로 드러났다.

자갈하천 총유사량에 대한 소류사의 비율 (Ratio of Bedload to Total Sediment Load in Gravel-bed Rivers)

  • 박상덕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29
    • /
    • 2018
  • The sediment transport process in a river reflects the process of geomorphological change in the watershed, influencesthe river bed variation and the river channel migration, and is a parametric phenomenon that exhibits a dynamic self-adjusting process. Sediment load is divided into bedload and suspended load depending on the dominant mechanism. Quantitative sediment load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solving river problems. Because it is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to measure bedload, compared to that ofsuspended load, data on the sediment transport load and the research required for the gravel-bed river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tio of the bedload to the total sediment load in gravel-bed rivers. The sediment load ratio in gravel-bed rivers increases with the flow rate per unit width, and the rate of the bedload varies more rapidly than the suspended load. The sediment transport efficiency coefficient has been affected by the ratio of the flow depth to the mean diameter of particles and has been dependent on the shear velocity Reynolds number. So $A^{\ast}$ and $B^{\ast}$ are introduced to compensate for the uncertainties such as bed materials, sediment transport, and flow velocity distribution, and the coefficient of bedload ratio has been presented. For the sediment load data in experimental channels and rivers, A* was 3.1. The dominant variables of $B^{\ast}$ were $u_*d_m/{\nu}$ in the gravel-bed and h/dm in the sand-bed. When $B^{\ast}$ the is the same, in the experimental channels the coefficient of bedload ratio was affected by the bed forms, but in the rivers it was of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gravel-bed and sand-bed.

새만금지구 장기 하상변동 예측 (Prediction of Long-Term River Bed Changes in Saemangeum Area)

  • 정재상;송현구;이종섭;김권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394-398
    • /
    • 2016
  • 새만금지구의 장기적인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 네덜란드 Deltares사에서 개발한 Delft3D 모델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델에서 조석, 배수갑문을 통한 방류량 및 지형변동의 정확도를 현장 관측자료 및 수리모형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수치해석은 내부개발 완료 이후인 2031년부터 2040년까지 10년 동안의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해석 결과 동진강 수계의 경우 지형변화가 10년 동안 최대 70cm 가량의 퇴적이 발생하였으며, 만경강 수계의 경우 약 139cm의 퇴적이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새만금지구의 장기적인 하상변동이 홍수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역시 검토하였다. 200년 빈도 홍수량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동진강 수계의 경우 지형변동에 따른 홍수위 상승이 거의 없었으나, 만경강 수계의 경우 최대 약 81cm 가량 홍수위가 상승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HEC-6 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공식에 따른 하상변동 민감도 분석 - 낙동강 하류를 대상으로 (Sensitivity Analysis of Bed Changes for Different Sediment Transport Formulas Using the HEC-6 Model - The Lower Nakdong River)

  • 정원준;지운;여운광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219-1227
    • /
    • 2010
  • In this study, the sensitivity analysis of bed changes due to the various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have been conducted for 80 km reach of the Lower Nakdong River using the HEC-6 which is on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The bed elev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sediment transport formulas were compa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final bed elevation calculated by Engelund and Hansen(1967), Ackers and White(1973), and Yang(1979) formulas was similar to one another in configuration. The bed change simulated by Engelund and Hansen(1967) were greatest among them, for example, 5.5 m deposition and 2.9 m erosion for 100 years. Also, in the case of Toffaleti (1969) equation, the maximum bed deposition of 8.04 m after 100 years was induced at the 73 km location upstream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Meyer-Peter-M$\ddot{u}$ller(1948) and Wilcock(2001) formulas produced the deposition only at the upstream end and there was little bed change in the downstream area. The unreal bed configuration of continuously up and down pattern was simulated by Laursen(1958) transport equation.

섬진강 하류의 하상변동 특성 분석 및 예측 (The Prediction and Analysis of Bed Changes Characteristics in the Seomjin River Downstream)

  • 전일권;김민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15-121
    • /
    • 2009
  • 섬진강 하류의 하상변동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을 예측함으로서, 하도 및 유역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하였다. 하상변동 특성 분석에 필요한 자료(단면, 하상구성물질, 기점수위, 조도계수 등)는 섬진강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실측 및 분석한 것을 활용하였다. 또한 하상변동 예측은 HEC-6 모형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섬진강 하류 하상변동의 주요인은 수문인자의 변화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과도한 하상골재 채취 때문으로 판단된다. 마찰속도와 대표 입경의 관계와 무차원소류력과 대표입경의 관계를 토대로 하도안정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 섬진강 하류 하상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섬진강 하도의 대부분의 지점에서 2003년의 하상구성물질은 1989년에 비해 자갈의 구성비가 높아지고 모래의 구성비가 작아졌다. 하상변동을 예측한 결과 섬진강 하류의 하상은 하구에서 약 9 km 지점까지 1.5 m 내외로 상승하고, $9{\sim}21\;km$ 구간은 1 m 내외로 상승과 저하가 반복되며, $22{\sim}25\;km$ 구간은 0.5 m 내외로 하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섬진강 하류 구간의 하상은 대체로 점점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의 하상변동 예측은 인위적인 골재채취가 없다는 가정 하에 수행된 것이므로, 과거와 같이 하상에서 대규모 골재채취가 진행되면 본 연구의 예측 결과와는 상이하게 하상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금강유역의 침식과 하상변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erosion and river channel change in the Geum river basin)

  • 양동윤;짐주용;이진영;이창범;정혜정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52-74
    • /
    • 2000
  • 금강유역중 상류는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류가 중.하류는 중생대의 화성암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유역에서의 변성암류는 상대적으로 풍화에 강하고 화성암류는 풍화에 약하기 때문에, 상류는 심하게 만곡된 협곡을 이루고 급경사이고, 중하류로 가면서 점점 하폭은 넓어지면서 완경사를 이루며 서해로 유임된다. 특히 하류지역은 제4기 동안에 수차례의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었고, 현재는 홍수 퇴적층이 넓게 발달되어 있다. 금강 중.하류유역 산사면에서의 침식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와 침식율실험과 함께, GIS기법을 이용하여 소유역별로 침식율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화강암류 분포 지역의 침식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조사구간 전반에 걸쳐 침식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왔다. 원격탐사, 측량 등을 이용하여 금강하류의 최근 11년간의 연도별 화상퇴적물의 변화를 추적한 결과 1994년에 완공된 하구언뚝의 영향으로 인한 뚜렷한 퇴적현상이 관찰되었다. 정밀하상지형도를 작성하여 퇴적율을 구한 결과, 하류에서는 최근 11년동안에 매년 약 5cm씩 퇴적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강경지역에서 HEC-6 모형으로 2004년까지 하상변동을 예측한 결과, 전반적으로 하상이 상승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공주에서 강경까지의 지역에서 많은 양의 골재채취가 이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경 하류지역에서 뚜렷한 퇴적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지류유역에서의 활발한 침식현상은 금강의 하상변동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낙동강 하상토의 제방재료 활용방안 (The application levee material in the bed sediment of Nakdong River)

  • 최계운;이승우;이호선;이병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76-1580
    • /
    • 2006
  • The destruction of river and damage caused by flood are suddenly increasing due to the abnormal climate. In the investigation result about the damage, approximate 52% of the destruction of embankment are caused by earth work. Moreover, to recover conveyance of relief channel, bed sediment is dredged about 198 millions $m^3$ with 'the project of bed dredging'. So, the concern for bed sediment is the more increasing, the requiring high quality material for banking and the way for application of bed sediment are also the more increasing. In this paper, properties of bed sediment were analyzed through sedimentary mechanism analysis. Moreover, possibility to build embankment with bed sediment in 6 points which is in catchment of the Nak-dong river was also analyzed. At 6 points, which were selected to survey easily, sediment discharge was analyzed with formula. Moreover, size and permeability were analyzed and the feasibility for material of embankment was proposed. If bed sediment wasn't proper, complementary measures were proposed.

  • PDF

국내 지방하천의 유사량과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diment Discharge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Rivers in Korea)

  • 손호근;이정식;신사철;문창건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1-39
    • /
    • 2014
  • 본 연구는 하천 계획수립 및 활용을 위하여 국내 하천을 대상으로 적합한 유사량 추정공식과 장 단기 하상변동을 정량적으로 제시한다. 산지 및 도시하천을 대상으로 유사특성을 분석하고, 총유사량 과 장 단기 하상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의 유사량 추정공식과 HEC-RAS 4.1 모형 및 CCHE2D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인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정 Einstein 공식을 적용하여 추정한 총유사량이 해당 하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대상하천의 중 장기적인 하도관리를 위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 부유사량-유량 관계곡선과 총유사량-유량 관계곡선을 제시하였다. 셋째, 단기하상 변동 분석에서는 산지하천이 도시하천보다 하상변동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장기하상 분석에서 도시하천은 현재 안정하상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NUMERICAL MODELLING OF SEDIMENT TRANSPORT IN CONNECTION WITH ARTIFICIAL GRAIN FEEDING ACTIVITIES IN THE RIVER RHINE

  • Duc Bui Minh;Wenka Thomas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17-30
    • /
    • 2005
  • The bed evolution of the stretch of the River Rhine between km-812.5 and km-821.5 is characterised by general bed degradation as a result of the river training works and dredging activities of the last two centuries. The degradation of the river bed affects the water levels, and so the navigation conditions. To combat the erosion of the river bed with the aim to keep up the shipping traffic and to avoid the ecological system damages due to water level reductions, sand-gravel-mixtures were added to the river (so called artificial grain feeding activitie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 application of a graded sediment transport model in order to study morpholodynamical characteristics due to artificial grain feeding activities in the river stretch. The finite element code TELEMAC2D was used for flow calculation by solving the 2D shallow water equation on non-structured grids. The sediment transport module SISYPHE has been developed for graded sediment transport using a multiple layer model. The needs to apply such graded sediment transport approaches to study morphological processes in the domain are discussed. The calculation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case of middle water flow and different size-fraction distribu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in feeding process could be well simulated by the model.

  • PDF

수리구조물 설치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연구 (An Assessment of Flow Characteristic and Riverbed Change by Construction of Hydraulic Structure)

  • 곽재원;진환석;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42-550
    • /
    • 2017
  • 흐름특성과 하상변동의 추정은 하천유역 내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홍수터 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등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이며, 하천관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하도 내에 수리구조물 설치에 따른 흐름의 특성과 그에 따른 하상변동을 추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금강 대청댐 하류부 11.65km 구간을 대상으로 RMA2 모형 및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수리구조물의 신설로 인한 흐름특성의 변화와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연구결과, 수리구조물 설치로 인해 상류부에서는 하상 상승, 하류부에서는 보 설치전과 유사한 형태의 침식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