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network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33초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I) 모형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I) Model Development)

  • 김남원;정일문;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499-50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지표수 유출모형인 SWAT과 3차원 지하수 유동모형인 MODFLOW의 완전 연동형 결합모형을 독자적인 방식에 따라 개발했다. SWAT의 지하수 모형성분은 집중형이므로 분포형 매개변수와 변화하는 양수량, 지하수위의 변화 등을 고려하지 못하며 MODFLOW 모형은 주요 입력자료인 함양량의 정확한 산정이 어렵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준분포형 모형인 SWAT의 HRU를 분포형 모형인 MODFLOW의 격자로 대응시키기 위해 DEM을 이용한 HRU-GRID변환기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수문성분 교환은 지하수 함양량의 전달과정과 하천네트워크-대수층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완성하였다 결합모형을 이용하면 지표수나 지하수 모형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하천-대수층간의 경계유량을 고려한 유출해석이 가능해짐으로써 지하수 유출량을 포함한 유역내 총 유출량의 신뢰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치 고도 분석 : 분포형 흐름 분배 알고리즘 (A Digital Elevation Analysis : Sparially Distributed Flow Apportioning Algorithm)

  • 김상현;김경현;정선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41-251
    • /
    • 2001
  • 단일 흐름 기법과 다방향 흐름 기법의 장점을 선택적으로 고려하여 기존 알고리즘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분포형 수문모형의 흐름 분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상경사(upslop) 격자로부터의 누적 면적을 조절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변화된 흐름 분배 상수가 도입되었다. 또한 실제 수로망을 표현하기 위해 수로형성면적(channel initiation threshold area; CIT) 개념을 확장하여 흐름 분배 알고리즘에 결합시켰다.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 결과, 선형적으로 분포된 흐름 분배 기법이 기존의 접근방법에 대한 몇가지 장점을 보였는데, 예를 들어 수로 근처 격자에서의 과다한 흐름 분산 문제의 완화, 수로 격자의 연결성, 포화면적의 연속성과 기존 알고리즘에서의 매개변수 보정의 무시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격자 크기의 영향이 통계적으로 뿐만아니라 공간적으로 검토되었다.

  • PDF

농촌지역 마을의 개발수요에 관한 연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예비계획서 분석을 통해- (A Study on the Demand of Development in the Villages of Rural Area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Preliminary Plans about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

  • 조원석;유영모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1-28
    • /
    • 2011
  • This paper was able to indicate to the results the following thing that attempted a required potential development demand, through the contents and cost analysis i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Nowadays, Rural Areas comparatively have a lot of development demands related to improvements environmental of residence life and construction of Urban-Rural Exchange Facility, on the other and, there is comparatively a few facilities demands regarding agriculture production. Demand is cold storage facilities and agricultural products direct sale facilities expansion to be able to raise value added of agricultural products as facilities related comparatively a little agriculture production, and an improvement of residence life comparatively has a lot of repair environmental uninhabited house repair, river-front and the roadside, rest shelter creation demands. However, that should be forecasted so that aging of rural, population decrease and development demand is caused by a lot of issues such as maintenances operation of many Urban-Rural Exchange Facilities and a similar program and content has a lot of them in bilateral adjacent zones. Therefore, in the future plan shall attempt efficiency operating facilities and a program through characterization and network of zone so that facilities and program can have complementary relation in the adjacent zones. And item development and an investor are necessary regarding new labor force supply for continuous value maintenance of space and returning to the farm that there were the reverse agriculture production and Amenity which are an rural village. Furthermore, developmental plan of rural village is necessary through the demand analyses that a citizen wishing for things.

분포형 모형의 다지점 보정 모듈 개발 - GRM 모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Multi-Site Calibration Module of Distributed Model - The Case of GRM -)

  • 최윤석;최천규;김경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3-118
    • /
    • 2012
  • 분포형 모형은 유역내에서 공간 분포된 임의 지점의 유출해석 결과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이때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소유역으로 구성된 유역의 경우, 소유역에 대해 신뢰성 있는 유출량을 얻기 위해서는 소유역별로 보정된 모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 유량자료가 있는 소유역별로 모형을 보정할 수 있는 다지점 보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지점 보정 대상매개변수의 선정 및 적용 방법과 소유역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지점 보정 모듈을 구현하기 위한 클래스를 설계하고 GUI를 개발하였으며, 소유역별로 설정된 매개 변수를 이용한 유출해석 절차를 정립하였다. 다지점 보정 모듈을 낙동강 수계 선산 유역($977km^2$)에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다지점 보정 모듈은 유역내 소유역에 대한 모형의 보정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다지점 보정에 의해서 소유역의 유출해석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DPSIR 개념을 이용한 북한강 유역의 수자원 평가 (Water Resources Assessment of the North Han River Watershed Using the DPSIR Concept)

  • 이길성;성진영;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813-816
    • /
    • 2010
  •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은 국제적으로 경제 개발과 환경 보전 사이에서 논쟁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수자원 개발과 관리는 이들 논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유역을 관리함에 있어 수자원을 이수, 치수 및 수질의 단일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유역통합관리(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WM)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역통합관리에 앞서 유역의 상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EEA (European Environment Agency)에서 개발한 추진력(Driving force)-압력(Pressure)-상태(State)-영향(Impact)-반응(Response) (DPSIR) 개념 이용하여 3개의 세부 지표인 이수지표, 치수지표, 수질지표로 구성된 하나의 통합 지수인 유역수자원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세부지표인 이수지표는 연속무강우일수, 인구밀도, 용수수요, 물재이용률 등 16개의 구성요소, 치수지표는 홍수범람위험 지역 내 거주 인구수, 홍수방어시설용량, 개수율, 100 mm 이상 강수일수 등 15개의 구성요소, 수질지표는 BOD (Biochemical Oxygen Demend) 부하량, 수질 등급, 연중 목표 수질 달성일수 등 13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다. 이를 북한강 유역 중 북한 지역을 제외한 유역 즉, 수자원단위지도 상의 춘천댐권역(1010) ~ 청평댐권역(1015)의 6개 중권역에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세부지표의 주된 요소인 유출량의 모의를 위해 장기유출모형인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를 사용하였다. 모형에 입력된 유역평균강수량 자료는 1973년 ~ 2008년까지의 37년의 자료기간을 갖는 북한강유역의 5개 기상관측소 자료를 Thiessen network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북한강 유역의 현재 수자원의 상태를 지수화하여 나타내고 그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이 결과는 유역 수자원의 파악하여 유역통합관리시 유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한 의사결정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금강 권역 수자원 관리를 위한 수위관측망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Level Observation Network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of Geumgang River Basin)

  • 이충대;박석근;이금영;박서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894-899
    • /
    • 2010
  • 국가적 차원에서 물을 사용하고 통제하는 일은 국민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들은 주어진 여건에 맞게 효율적으로 물을 사용하고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일들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유량측정망을 구축하여 2007년부터 국가적인 차원에서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유량측정망의 경우 유량자료의 제공에 주 목적이 포함되어 있어 실제 유량자료만이 아닌 수위자료만의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수위관측소에 대한 평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수, 이수, 환경 목적을 위한 유량측정 지점 뿐만아니라 재난, 댐, 유지유량 관리 등과 같은 추가적인 목적으로 수위자료를 활용하는 지점들에 대하여 하천의 최상류 지점에서 하구까지 모든 지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수위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수위관측망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금강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환경부에서 운영하는 수위관측소를 대상으로 홍수예보, 홍수 통제시설, 재난관리, 수자원 관리 및 공급, 수리권 갈등, 수질 등과 같은 다중목적을 적용하여 기존 관측소를 활용 목적별로 평가 하여, 각 기관의 중복투자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하고, 최적의 장소에 수위관측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시, 댐 저수지 운영, 산간 및 농촌 지역 등의 현재 운영되고 있는 수위관측소 현황을 파악 한 결과 국토해양부 91개소, 한국수자원공사 18개소, 지자체 35개소, 환경부 26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중 환경부와 중복으로 검토된 지점은 15개 지점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수위관측소 운영 목적 및 지형학적 검토를 통하여 수위관측망을 검토한 결과 금강 권역의 하천 재난, 운영, 유지를 위해서 103개소의 수위관측소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 PDF

다방향 흐름 분배와 실시간 보정 알고리듬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II) - 적용 - (Development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Multi-Directional Flow Allocation and Real-Time Updating Algorithm (II) - Application -)

  • 김극수;한건연;김광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3호
    • /
    • pp.259-27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듬과 실시간 유출 보정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개발한 분포형 강우 유출모형의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안동댐과 남강댐 유역에 대해 각각 우량계 관측자료와 레이더 관측 우량자료를 이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전의 호우사상에 대한 유역 매개변수 보정 실시 후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다른 호우사상에 대해 모형을 적용하였다. 안동댐 유역에 대해 흐름 군집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듬의 흐름추적에 대한 물리적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계산소요시간 단축이 이루어졌으며 실시간 유출 보정 알고리듬의 적용을 통해 좀 더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선된 유역 홍수관리를 위한 분포형 강우 유출 모형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남한강변 강변숲 조성을 위한 유형분류연구 -경기도 양평·여주군 구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ypes of Han Riverside Forests -In the Case of Yangpyeng and Yeoju gun-)

  • 장동수
    • KIEAE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3-10
    • /
    • 2010
  • Riverside forests make a river bank stable because trees of them hold together the stone and soil by roots and decrease the speed of running fluid by trunks. So they become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flood prevention. So This study will be a basic study to preserve and restore of riverside fores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Han riverside forests between Yangpyeng and Yeoju gun. and find out sites of planting.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t up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ite survey. Two indicator categories were developed: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And they were divided into 5 sub-categories for calculating weights. As for the major indicator categories, the weighted index of natural environment is at 0.5. And the weighted index of human environment is at 0.5 followed by access at 0.15, the range of user at 0.15, cultivated land at 0.1 and legislation at 0.1. This study selected 53 sites for riverside forests planting. They were classified with types of bank(11), level-upped riverside(32), island(10). The amount of the length of 11 bank types is 23,050m, the area of 32 level-upped riverside types is $4,490,000m^2$ and the area of 10 island types is $4,590,000m^2$. After the evaluation of 53 riverside forests, this study selected 12 sites of riverside forests. They were two bank types, nine level-upped riverside types, and one island type. Rebuilding riverside forests are to accomplish the green network which links and divides region. It will be one of the best ecological methods to construct friendly environmental region.

국가하천변 생태관광 네트워크 10선 ("Ecoturism Networks 10" around the Areas Bordering National Rivers in South Korea)

  • 이관규;이상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41-51
    • /
    • 2012
  • To select 10 representatives for the ecotourism networks around the areas bordering national rivers in Korea, the spatial ranges for ecotourism have been established, the ecotourism potential analyzed, and the ecotourism resource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s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s undergone reviews, amendments, supplements, and verification processes through familiarization tour previews,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have been derived. First, the spatial ranges of the eco-tourism networks have been set as the watershed areas that include areas around the four major rivers and the rivers. Second, the areas with high potential value for ecotourism were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ecotourism potential. Since EGIS was used for the analysis, it was inevitable that insufficient amount of localized information was reflected, and the use of the results as reference for the potential would be feasible. Third, it was possible, by reviewing, amending and complementing the results of ecological resour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s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o select 50 representative ecological resources around the national rivers. The selected resources were considered for the adjacency, attractiveness of ecological resources, and uniqueness of the national rivers, and they were derived by screening expert advice, official opinion, and geographical analysis information. Fourth, 10 representative ecotourism networks based on watershed areas were selected, and suitable themes were given based on the resource characteristics. Fifth, the appropriateness for ecotourism has been confirmed, with the familiarization tour previews and survey results, preservation of the future ecotourism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as the basis. In the future, the remaining 9 ecotourism networks would also need to undergo a verification process such as familiarization tours. It is deemed that, through future ecotourism contests, if the programs that select locally-pioneered tourism programs resulting from the capacities of local entities and residents, then it would be more effective in discovering resources that are more localized and of higher regional value.

GIS 기반 하천경사 산정 및 하천망에 따른 표출 방식 개발 (Development of a GIS-based Method for Estimating and Representing Stream Slopes Along the River Network)

  • 유호준;김동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612-612
    • /
    • 2012
  • 최근 GIS를 이용하여 수리 수문학적인 지형인자를 생성할 수 있는 Arc Hydro 등의 다양한 GIS 기반 툴들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Arc Hydro는 격자형 고도자료인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을 통해 수자원에서 필요로 하는 유로연장, 유역경사 등의 지형인자를 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주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GIS 기반 툴에서는 Manning의 평균유속 공식 등 하천수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인 하천경사를 하천망을 따라 산정하고 표출하는 기능이 부족하였다. 또한 하천경사 산정에 사용되는 여러 GIS 툴을 통해서 제공되는 셀 경사 등 지형인자들의 기계적인 적용으로 정확한 하천경사의 산정에 문제가 있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형인자들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이론적 하천경사 산정법을 GIS 상에 적용하여 상호 비교하여 최적화된 하천경사 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유역으로는 제주도를 선정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Arc Hydro를 이용하여 산정된 하천망의 형태를 수자원관리정보시스템(WAMIS), 위성사진 등과 비교한 후 시범 하천(한천)을 선택하여 여러 하천경사 산정법을 적용해 보았다. 적용된 산정법은 총 4가지로 첫 번째 방법은 수치표고모델의 주변 표고를 고려하여 산정된 기울기를 Arc Hydro를 이용하여 산정된 하천을 따라 산술평균하는 방법이며, 나머지 3가지 방법은 하천망을 따라 흐름방향의 거리와 수치표고모델의 표고를 수집한 후에 단순경사방법, 등면적경사방법, 등가경사방법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산정된 하천경사를 상대비교를 하여 대상유역에 대한 비교검토를 실시하였다. 모든 과정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자동화 시켜 향후 다른 유역의 적용과 변화 가능한 지형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인 예측을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주어진 하천망의 두 지점 사이의 종방향 경사를 산정하여 표출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하천 경사의 표출방식을 향상시켰다. GIS를 이용하여 산정되어진 하천경사의 적용성이 충분하다면 Manning의 평균유속 공식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천분석이 용이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