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facility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6초

Identification of pollutant sources using water quality and stable isotope ratios of inflow tributaries in the lower reaches of the Han-River

  • Hong, Jung-Ki;Lee, Bo-Mi;Son, Ju Yeon;Park, Jin-Rak;Lee, Sung Hye;Kim, Kap-Soon;Yu, Soon-Ju;Noh, Hye-ran
    • 분석과학
    • /
    • 제32권2호
    • /
    • pp.65-76
    • /
    • 2019
  • Despite the expansion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o reduce pollutants in the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water pollution accidents such as fish deaths continue to frequently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llutant sources using water quality and stable isotope ratio (${\delta}^{15}N$, ${\delta}^{13}C$, ${\delta}^{15}N-NH_4$, ${\delta}^{15}N-NO_3$) analysis results in the three inflow tributaries (Gulpocheon (GP), Anyangcheon (AY) and Sincheon (SC)) of the Han River. Water quality was analyzed in June and October from 2013 to 2017,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such as T-N, $NO_3-N$, and T-P, were increased at GP4, AY3, SC3, and SC4, which lie downstream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e results of ${\delta}^{15}N$ for June 2017 indicated that the source of nitrogen was sewage or livestock excreta at GP4 and SC4, and organic fertilizers at AY3 and SC3. ${\delta}^{15}N-NO_3$ results suggested that the source of nitrogen was related to organic sewage, livestock or manure at GP4, AY3 and SC4. Therefore, GP4 and SC4 were more influenced by effluent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an by their tributaries, AY3 and SC3 were considered to be influenced more by their tributary than effluent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urce of contamination (sewage treatment facility effluent) of river inflow downstream of Han River could be confirmed using water quality and stable isotope ratio.

하천구역 내 친수시설물 설치를 위한 환경영향평가 검토 가이드 연구 (A Guide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Installation of Water-friendly Facilities in River Zones)

  • 김경호;안준영;지민규
    • 청정기술
    • /
    • 제29권3호
    • /
    • pp.227-234
    • /
    • 2023
  • 근래 하천구역은 지자체의 여가 활용 공간 및 지역 축제장으로 인식되면서 개발압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구역의 고유 기능과 시설의 유지관리 및 훼손지 복원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을 고려한다면 개발계획은 매우 신중히 결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역의 보전과 자연친화적인 공간활용을 유도하기 위해, 사업계획의 제도적 이행절차 중 하나인 환경영향평가의 개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환경영향평가 검토 가이드(안)의 마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배경에 대한 이해와 목적달성을 위해 하천구역의 법·제도 현황, 개발계획 현황, 환경영향평가서 검토·협의의견 등의 조사결과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하천기본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는 하천구역의 지구지정과 공간활용 범위 및 방향성을 계획하는 중요한 상위계획이므로, 향후 실시계획과 연계되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의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 사업계획을 보다 면밀하게 수립하여 평가·검토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단계에서 입지적 특성을 고려한 친수시설 조성계획의 적정성 판단과 환경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사항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환경영향평가 검토 가이드(안)을 마련하였다. 추후, 본 연구결과가 하천구역내 친수시설 조성계획 수립시 자연친화적인 개발의 지침 및 가이드로서의 기틀이 되기를 기대한다.

낙동강수계 댐과 다기능보의 연계운영을 통한 용수공급효율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Water Supply through Conjunctive Operation of Reservoirs and Multi-function Weirs in the Nakdong River)

  • 안정민;임태효;이인정;이경락;정강영;이재운;천세억;박인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8-147
    • /
    • 2014
  • In order to determine the best operating rules for the Nakdong River, three case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simulated results of water supply capacity by HEC-ResSim model. This study discussed to present the best operating rules for conjunctive operating of existing the dams and new constructed the weirs through system network. The system network was constructed considering the water supply, the river environment and the operating facility. The water supply capacities are separately evaluated for each case applying the best rules. It is case1 that the dams are operated individually, case2 that the dam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s dams, and case3 that dams and weir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s dams-weirs. Comparing the cases, case 3 has shown the best water supply capacity of the Nakdong River.

통신 빅데이터 기반 하천이용시설 사용성능 경제성평가기법개발 (Feasibility of Economic Analysis of Riverfront Facility Based on Mobile Big Data)

  • 최병준;노희지;방영준;이승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9-38
    • /
    • 2021
  • 하천이용시설은 시민들이 휴식과 편의를 위해 이용하는 하천시설로 그 종류에는 친수지구, 자전거도로, 휴게시설, 공원시설 등이 있다. 최근 시민들의 친수시설의 이용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빈번한 홍수발생으로 시설물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하천이용시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하천시설은 중점치수시설에 한정되어 점검 및 진단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천 이용시설의 유지관리에 대한 기준은 미비한 수준이다. 하천이용시설의 관리의 기준이 되는 이용도 조사 역시 직접조사는 인력소모와 경제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는 통신빅데이터를 사용하여 하천 이용도에 대한 등급을 나누고, 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천 이용시설의 사용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사용성능에 대한 경제성 평가식을 도출하였다. 향후 성능평가에 안전성, 사용성, 내구성을 모두 고려한 경제성 기법 체계 구축과 편의시설별 수요분석을 평가한다면, 효율적인 하천이용시설물 유지관리와 하천에 대한 시민들의 이용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강 연안 경관 녹화 계획

  • 권오준
    • 한국기술사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사회 1995년도 제25회 한일기술사 합동 심포지엄 한국편 자료(2차)
    • /
    • pp.23-29
    • /
    • 1995
  • Green landscape plan to the riverfront area of the Han River The Han River, one of the symbolic elements in metropolitan Seoul, structures an axis of waterscape as the openspace crossing east to west of the city of Seoul. As riverside urban motorway(88 Olympic motorway) and riverside public park were constructed by the Han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in 1986, the necessity of general plan for the in-stallation of envirommental facility belt to conserve living enviroument is being required with relation to, dense residential areas closed to the river Therefore, the goal of the study is to provide better riverview and to increase environmental purifi-cation ability as a large scale waterscape axis by the preparation of landscape plan to the riverfront area of Han Rive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deals with sectional speciality, the introduction of landscape assessment techniques and ecological approach to given environment. As unity is kept through whole waterfront area, the area is divided into 9 zoning sections to study development methods for each section, and themes for speciality are given to each section, and the. sort of plants which can be symboliged to the area is selected. Also, the planting methods for harmony with the type of road structure and riverscape is offered. Though the study may give significane to the image and the function of riverside road,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ecological approach to the river is so limited that has not been reflected enough on the pla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and long-term riverfront openspace pl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hould be arepared.

  • PDF

금강-보령댐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금강 본류 내 수위 영향 분석 연구 (Impacts on Water Surface Level of the Geum River with the Diversion Tunnel Operation for Low Flow Augmentation of the Boryong Dam)

  • 장석환;오경두;오지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31-1043
    • /
    • 2017
  • Recently severe drought caused the water shortage around the western part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South Korea. A Diversion tunnel from the Geum river to the Boryong dam, which is the water supply dam for these areas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xamined hydraulic impacts on the Geum river associated with the diversion plan assuming the severe drought condition of 2015 would persist for the simulation period of 2016. The hydraulic simul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hydrologic and hydraulic data including hourly discharges of the Geum river and its 8 tributaries, fluctuation of tidal level at the mouth of the river, withdrawals and return flows and operation records of the Geum river barrage since Feb. 1, 2015 through May 31, 2015. For the upstream boundary condition of the Geum river predicted inflow series using the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for 2015 discharge data was used.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s of uncertainty in inflow prediction to the results total four inflow series consisting of upper limit flow, expected flow, lower limit flow and instream flow were used to examine hydraulic impacts of the diversion plan. The simulation showed that in cases of upper limit and expected flows there would be no problem in taking water from the Geum river mouth with a minimum water surface level of EL(+) 1.44 m. Meanwhile, the simulation also showed that in cases of lower limit flow and instream flow there would be some problems not only in taking water for water supply from the mouth of the Geum river but also operating the diversion facility itself with minimum water surface levels of EL(+) 0.94, 0.72, 0.43, and 0.14 m for the lower limit flow without/with diversion and the instream flow without/with diversion, respectively.

실시간 하천수사용량 계측을 위한 V-ADCP 유속분포법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velocity profile method by V-ADCP measuring real-time river water use)

  • 송재현;박문형;차준호;김치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호
    • /
    • pp.83-96
    • /
    • 2019
  • 하천수사용 관리를 적정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하천수사용량 자료가 수집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천수 사용자의 취수여건을 고려하여 유량계 외에 수문조작 등의 간접적인 계측방법을 인정하고 있고, 사용자의 자발적인 보고에 의존함에 따라 자료의 객관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한강홍수통제소에서는 농업용수 사용 비중이 커 하천유량 파악이 어려운 만경강의 고산~봉동 수위관측소 구간에 위치한 어우보 취수로에 V-ADCP를 이용한 계측시설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ADCP로 측정된 유속을 이용하여 실시간 하천수사용량 산정을 위한 유속분포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Chiu의 2차원 유속분포식의 매개변수 민감도를 분석하고, 실측유량 자료에 기초한 최적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수위-유량관계법, 지표유속법과 비교 평가하여 유속분포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하류 보, 하굿둑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ICT 시스템 융합 구현 (The implementaion of ICT systems convergenc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Nakdong River Downstream Weirs and Estuary Barrages)

  • 김석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88-991
    • /
    • 2013
  • 낙동강 하류 지역에는 합천 창녕보, 창녕 함안보, 낙동강하굿둑 좌안배수문 그리고 우안배수문의 수자원시설이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원거리에 위치한 각각의 시설물을 연계하여 통합 운영하는 것은 국가 수자원의 관리와 설비 운영의 효율과 효과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ICT 기술을 활용하여 개별 시설물을 유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현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부산 낙동강하굿둑 인근에 위치한 K-water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에서 개별 시설들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수자원관리와 운영비용 절감 등의 상당한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실규모 실험검증을 통한 스위퍼의 유송잡물 저감능력 검토 (Verification on Debris Reduction Ability of the Sweeper by Real Scale Experiment)

  • 김성중;정도준;강준구;여홍구;김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4-44
    • /
    • 2016
  • 본 연구는 소하천을 대상으로 홍수로 인한 교량에서의 유송잡물 집적을 방지하기 위한 저감시설에 대한 실험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소하천은 태풍 및 집중호우 시 유송잡물에 의한 구조물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이러한 피해에 대한 저감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국외에서는 유송잡물로 집적으로 인한 피해저감시설로 수직분리대방식, 말뚝시설방식, 스위퍼 방식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송잡물 저감시설 중 스위퍼를 대상으로 실규모 집적실험을 통해 저감능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스위퍼는 교각전면부에 설치하여 자력회전을 통해 유송잡물을 우회시켜 교각에 유송잡물이 집적되지 않게 만드는 시설이다. 실규모 실험을 위해 소교량 모형을 실물크기로 제작하였으며, 유송잡물 길이와 흐름조건에 따라 스위퍼 설치 전 후 집적실험을 통해 저감능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유송잡물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유속이 적을 경우 집적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퍼 설치에서 따른 유송잡물의 집적률은 스위퍼 설치 전에 비해 최소 55%에서 최대 88%의 유송잡물 집적률이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판단할 때 유송잡물 잠재능력이 높은 소하천에 스위퍼를 설치할 경우 유송잡물 집적으로 인한 교량의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천시설 유지운영을 위한 손상정보 관리방안 연구 (Study on Damage Information Management Plan for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River Facilities)

  • 주재하;남정용;김태형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9-18
    • /
    • 2021
  • 최근 건설시장에 4차 산업혁명기술의 급속한 확산과 도입, 적용이 트랜드로 부각되고 있다. BIM 기술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다차원 정보체계이다. 이러한 정보기반체계를 활용한 하천분야도 유지관리를 위한 현행화 방안 등 적극적인 연구검토가 되고 있다. 최근 하천 전문가들의 하천분야 BIM도입 효과에 필요성을 반영하여 적극적인 연구와 현행화 작업을 해야 된다. 그리고 첨단기술을 반영한 시설물 유지관리 정보체계를 활성화하고 관리계획 수립 및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도구 및 지원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천시설의 유지운영을 위한 연구로 기본적으로 기존 도면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정보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손상을 점검하고 정보화하며 보수보강을 위한 자료로 활용토록 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도면방식에 없는 정보체계를 하천시설물을 3D 모델링과 함께 유지관리정보를 속성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유지운영을 위한 점검, 손상 관리를 보다 효과적이고 활용성이 높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