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통신 빅데이터 기반 하천이용시설 사용성능 경제성평가기법개발

Feasibility of Economic Analysis of Riverfront Facility Based on Mobile Big Data

  • 최병준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 노희지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방영준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승오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21.08.24
  • 심사 : 2021.09.20
  • 발행 : 2021.09.30

초록

하천이용시설은 시민들이 휴식과 편의를 위해 이용하는 하천시설로 그 종류에는 친수지구, 자전거도로, 휴게시설, 공원시설 등이 있다. 최근 시민들의 친수시설의 이용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빈번한 홍수발생으로 시설물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하천이용시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하천시설은 중점치수시설에 한정되어 점검 및 진단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천 이용시설의 유지관리에 대한 기준은 미비한 수준이다. 하천이용시설의 관리의 기준이 되는 이용도 조사 역시 직접조사는 인력소모와 경제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는 통신빅데이터를 사용하여 하천 이용도에 대한 등급을 나누고, 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천 이용시설의 사용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사용성능에 대한 경제성 평가식을 도출하였다. 향후 성능평가에 안전성, 사용성, 내구성을 모두 고려한 경제성 기법 체계 구축과 편의시설별 수요분석을 평가한다면, 효율적인 하천이용시설물 유지관리와 하천에 대한 시민들의 이용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Riverfront facilities are river space facilities used by citizens for the rest and convenience. Recently, although the importance of efficient maintenance of riverfront facilities is increasing, damaging facilities cases are increasing due to frequent floods. Currently, the inspections and diagnosis of river space facilities are limited to the main flood control facilities. And the standards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riverfront facilities are insufficient. Utilization survey, which is the standard for managing river space facilities, is also inefficient in terms of manpower consumption and economic feasibility. This study uses mobile big data to classify river usage and conducts a survey for usability of river facilities to derive economic evaluation for usage performance. In the future, if economical method system that considers safety, usability, and durability is conducted and demanding analysis for each convenience facility is evaluated,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riverfront facilities is perfomed better and the use of rivers by citizens will further increase.

키워드

과제정보

본 결과물은 교육부의 재원으로 홍익대학교의 대학혁신지원사업(UROP)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으며, 통신 빅데이터 자료를 제공해 주신 국토연구원 소속 이상은 박사님과 자문을 주신 산업체 전문가 H2R 소속의 제갈선동 박사님께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Ju, Y. S. (2016). Outlier Detection and Treatment in Industrial Sampling Survey. JKDIS. 27(1): 131-142. https://doi.org/10.7465/jkdi.2016.27.1.131
  2. Kim, E. K. (2020).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aunched the 'Climate Crisis Response Flood Countermeasures Planning Group'… Prepare Basic Measures. YNA. https://www.yna.co.kr/view/AKR20200817042600530
  3. Lee, J.S. (2019). Using the Mobile Big Data for the Smart River Space Management : Data Validation and Water-Friendly Space Indicator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101(1): 3-18. https://doi.org/10.15793/kspr.2019.101..001
  4. MOIS (2019). Guidelines fo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Bicycle Facilities. Seoul: MOIS.
  5. MOLIT (2020a). National River Minimum Maintenance Standard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Sejong: MOLIT.
  6. MOLIT (2020b). Guidelines on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etc.. Sejong: MOLIT.
  7. MOLIT (2020c). First Infrastructure (National River) Management Plan (Draft). Sejong: MOLIT.
  8. MOLIT (2020d).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River Management Efficiency Using Mobile Big Data. Sejong: MOLIT.
  9. NARS (2017). Waterfront Park Management Status and Improvement. Seoul: NARS
  10. SI (2015). 2020 Seoul Water Environment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Seoul: 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