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basin

검색결과 2,358건 처리시간 0.026초

Emergy 분석을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오염총량관리계획에 대한 환경회계 (Environmental Accounting of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 Program in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the Emergy Analysis)

  • 김진이;이수웅;김용석;이석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49-356
    • /
    • 2011
  • This study, which evaluated the contribution of the real economic value and system in the Nakdong River Basin, estimated the emergy analysis for environmental accounting of the TMDL program. And an environmental accounting for TMDL is evaluated before and after adopting TMDL program respectively. The value of emergy after adopting the TMDL was 7.90 E+20 sej/yr. Although the real yield of the river after governmental investment was high (before: 9.7118 E+20 sej/yr and after: 9.7224 E+20 sej/yr), the effects of improvement was not great, in terms of an investment cost. The benefit/cost ratio resulted from environmental accounting has decreased from 1.493 to 1.230 due to the cost of managing treatment facilities. The method of improving 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Basin by the TMDL program should be changed into an ecological treatment facilities using resources efficiently from a control of water quality depending on expans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advanced treatment plant using high cost and non-renewable energies.

통계분석을 이용한 영산강·섬진강수계 주요 유입지천의 수질 특성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Tributaries in Yeongsan and Sumjin River Basin using Statistical Analysis)

  • 박진환;정재운;김대영;김갑순;한성욱;김현욱;임병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2호
    • /
    • pp.171-181
    • /
    • 2013
  • In this study, we report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for 4 major tributaries in the Yeongsan and Sumjin river basins using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regression equation and factor analysis. The flow rate and water qualtiy data collected from 4 sampling sites(Hwangryoung A, Jiseok A, Chooryeong A, Osu A) in the Yeonsan and Sumjin river basin during the past 3 years were analyzed for 11 parameters(flow rate, dissolved oxgen, pH, water temperature, electric conductivity, biochemical oxygen demand, chemical oxygen deman, total organic carbon, total nitorgen, total phosphorus, suspended soli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BOD, COD, TOC, T-N, T-P in Hwangryoung A(HW) and Jiseok A(J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were decreased as the flow rate was increased. This means that rather than nonpoint soources, point sources affect water quality. In the cases of Chooryeong A(CR) and Osu A(OS) in the Sumjin river basin, howerever, nonpoint sources than point source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water quality. Also, the factor analysis technique was employed to analyze principal component influencing on water qua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in HW was correlated with EC, DO, T-N, water temperature. This "nitrogen influx according to seasonal pattern" factor may be interpreted. In J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correlated with BOD, COD, TOC and is likely to represent "organic matter" processes. In CR and OS, BOD, COD, TOC, SS and T-P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is considered as representing "Organic matter and adsorption of phosphorus on sediments influx".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pollution control/management of the surfac waters in the study sites.

낙동강 하류 권역별 조류군집의 특성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Nakdong River Basin)

  • 홍순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269-281
    • /
    • 2004
  • 본 연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낙동강 하류지역에 도래하는 조류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도래현황과 서식지 환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낙동강 하류에서 총 114종 94,481개체가 관찰·기록되었다. 이 중 종수와 개체수에서 대마등(Ⅰ)이 55종 21,781개체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는데 낙동강 하류의 전지역 중에서 대마등과 주변의 갯벌이 채식지와 휴식지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류군집의 특성에서, 논병아리류는 하구언 아래(을숙도)지 역, 가마우지류는 수심 이 깊은 낙동강 본류와 서낙동강의 주변, 고니류와 혹부리오리 및 도요·물떼새는 하구언 하단부의 수심이 얕은 갯벌,수면성 오리류는 서낙동강(F)과 염막(C)지역, 잠수성 오리류는 비교적 수심이 깊고 서식 여건을 갖추고 있는 하구언 상단부와 서낙동강의 녹산수문 상단부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기타 산새류는 염 막(C)과 을숙도(A) 및 서낙동강(F)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것은 을숙도 쓰레기 매립장의 인공 식재림, 일웅도의 유휴지와 염막으로 연결되는 지역으로 물새와 함께 일반 조류들의 서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낙동강 하류지역은 낙동강 하구와 주남저수지의 사이에서 오리 기러기류의 채식지 및 휴식지로서 중요한 지역이지만 계속해서 개발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역 중의 한 곳이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는 수변지역으로는 대저수문지역(E), 서낙동강(F)의 녹산수문 상단부와 경작지로서는 염막(C)지역으로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자연적인 서식지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철저한 관리가 요망되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하천 수위 예측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강변저류지 횡월류부 길이 결정 기법 (Determine the Length of the Side-Weir of Side-Weir Detention Basin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the Water Level in River)

  • 김서준;김상혁;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8호
    • /
    • pp.673-683
    • /
    • 2015
  • 하천 주변의 도시화와 이상기후 등으로 인해 기존의 하천 위주의 홍수방어는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역통합적인 홍수방어대책의 하나로 강변저류지 설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강변저류지를 치수대책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홍수조절효과 산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하천 수위 예측의 중요 변수인 하천 조도계수는 항상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설계자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설계인자인 강변저류지의 횡월류부 길이를 이용하여 하천 조도계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강변저류지 설계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HEC-RAS 부정류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하천 조도계수와 횡월류부 길이 변화가 홍수조절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하천의 수위 예측 불확실성을 고려한 횡월류부 길이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횡월류부 길이 결정 기법은 하천 수위 예측의 불확실성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좀 더 안전측으로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량계의 밀도 및 공간분포 검토: 남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Raingaug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 Case Study for Nam Han River Basin)

  • 유철상;김인배;류소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173-18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강우가 공간적으로 균질하며 아울러 그 공간상관구조도 지수함수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남한강 유역의 강우관측망을 평가하였고 아울러 WMO의 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한강유역은 WMO의 기준으로 볼 때 산지도 평지도 아닌 중간적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남한강 상류부에서 관측된강우의 공간상관거리는 남한강 하류부에서 관측된 강우의 공간상관거리에 비해 짧게 나타나며 따라서 상류부와 하류부는 그 강우특성이 구별된다. (2) 남한강 유역의 강우관측망을 평가하는 기준은 대략 상위 50% 정도를 대표하는 상관거리 수준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적절한 우량계 사이의 거리는 상류부와 하류부 각각 18.2km와 21.1km로 추정된다. 단순히 강우계의 밀도를 평가할 때 남한강의 경우는 WMO의 산지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다. (3) 남한강 유역의 우량계 분포를 검토한 결과, 특히 WMO의 온대지역 산지기준을 적용한 결과 우랑계의 공간분포가 적절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상위 50% 정도를 대표하는 상관거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략 5 - 6 지점 정도의 우량계 신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이더 강우의 편의 보정을 위한 지역적으로 편중된 우량계망의 평가: 강화 강우레이더의 사례 연구 (Evaluation of Spatially Disproportionate Rain Gauge Network for the Correction of Mean-Field Bias of Radar Rainfall: A Case Study of Ganghwa Rain Radar)

  • 유철상;윤정수;김병수;하은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6호
    • /
    • pp.493-503
    • /
    • 2009
  • 레이더 강우의 편의 추정은 근본적으로 레이더 강우의 평균과 참값으로 가정되는 우량계 강우의 평균과의 차이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두 관측치의 차이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서는 두 관측치의 차이에 대한 분산이 매우 작아야 하며, 따라서 비교되는 관측치의 수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즉, 이 문제는 두 관측치의 차이에 대한 분산의 규모를 주어진 조건에 맞추기 위해 필요한 우량계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 된다. 본 연구에는 특히 일부 지역에만 우량계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이는 임진강 유역에 대해 강우레이더를 운영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문제이며, 또한 바다와 접한 지역에서 레이더를 설치 운영할 경우에도 발생하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체 유역의 약 1/3정도인 하류유역에서만 우량계 자료가 가용한 경우와 전체 유역에 대해 우량계 강우가 가용한 경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임진강 유역 전체 지역에 고르게 우량계가 분포할 경우의 관측정도를 얻기 위한 하류유역의 우량계 밀도를 제시하였다.

HSPF 유역모델을 이용한 낙동강유역 실시간 수문 유출 예측 (Operational Hydrological Forecast for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HSPF Watershed Model)

  • 신창민;나은혜;이은정;김덕길;민중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2-222
    • /
    • 2013
  • A watershed model was constructed using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to quantitatively predict the stream flows at major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basin, Korea. The entire basin was divided into 32 segments to effectively account for spatial variations in meteorological data and land segment parameter values of each tributary. The model was calibrated at ten tributaries including main stream of the river for a three-year period (2008 to 2010). The deviation values (Dv) of runoff volumes for operational stream flow forecasting for a six month period (2012.1.2 to 2012.6.29) at the ten tributaries ranged from -38.1 to 23.6%, which is on average 7.8% higher than those of runoff volumes for model calibration (-12.5 to 8.2%). The increased prediction errors were mainly from the uncertainties of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ing; nevertheless the stream flow forecasting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data.

낙동강 수계에서의 하천유량 변동성과 기저유출 기여도의 관계 분석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reamflow Variability and Baseflow Contribution in Nakdong River Basin)

  • 한정호;임경재;정영훈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1호
    • /
    • pp.27-38
    • /
    • 2016
  • More severe and frequent flood and drought have increased the attentions on the river management. In particular, baseflow is an important element among many streamflow characteristics because streamflow is mainly consisted of direct runoff and baseflow.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amflow variability and baseflow contributions on Nakdong river basin. For this, two Streamflow Variability Indices (SVI) were use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and Coefficient of Flow Regime (CFR). Furthermore, baselow separation was individually conducted by three methods (PART, WHAT and BFLOW), and based on this, Baseflow Index (BFI) was calculated. Also, we used the daily streamflow data retrieved from 27 gauge stations in Nakdong river basin for baseflow sepa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FI calculated by three models ranges from 0.14 to 0.90 for 27 gauge stations. For SVI, BFI has much higher correlation with CV than with CFR. Also, the inverse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BFI and CV showed that higher baseflow contribution, less streamflow variability.

낙동강유역 시멘트혼합토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ed sand of Nak-dong river)

  • 김영수;정우섭;김기영;이상웅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08-817
    • /
    • 2006
  • There were huge damages of human beings and their properties in many areas of the basin of the Nak-Dong river by the unusual weather and the localized downpour recently. In this research against disasters, we want to know the special quality of strength of the cemented sand that is mixed with cement and poor-graded sand which is the materials of riverbed in the basin of the Nak-Dong river as levee's material. For that, we want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which need in the examination of adaptation of levee's material, design and analysis by investigating compressive strength by curing period and cement ratio, elastic modulus and stress by transformation from compaction test, CBR test, unconfined compression test, triaxial compression test as changing ratio of sand and cement from 2% to 8% at two points in the basin of the Nak-Dong river.

  • PDF

GIS를 이용한 밀양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chracterustucs for Milyang river basin with a GIS)

  • 유승근;최성규;문상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07-122
    • /
    • 2002
  • 유역 및 하천의 지형학적 특성은 유역을 모델링하고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GIS 분야에서 구축된 수자원 관련 자료인 수자원 단위지도, 수치지도 등을 이용하여 밀양강 유역의 DEM과 하천망을 생성하고, 누가표고곡선, 하천 지형법칙, 유역특성인자 등을 이용하며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DEM과 하천망은 수치지도의 지형 관련 레이어와 하천 관련 레이어를 추출하여 생성되었으며, 하천망은 위상 구조 뿐 아니라 방향성과 하천차수도 부여 되었다. 밀양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밀양강은 지질학적으로 장년기에서 노년기로 변화하고 있는 지역이며, 하천 구조는 Horton-Strahler의 하천지형법칙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자원 관련 자료가 다양하게 구축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벡터 자료를 이용한 수자원 관련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