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of traffic accidents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2초

교통사고 위험그룹 및 사고유형별 심각도 결정 연구 - 서울시 중심 - (The Determination of Risk Group and Severity by Traffic Accidents Types - Focusing on Seoul City -)

  • 심관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95-203
    • /
    • 2009
  • 본 연구는 교통사고의 발생 유형과 교통사고 심각도(Severity)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위험유형을 제시하고, 운전자 특성과 교통사고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교통사고 유형을 여덟 가지로 세분하고, 결과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추가하여 상해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위험그룹의 분류를 위한 운전자의 특성은 성별, 차종, 연령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카테고리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로그-선형 모형 및 로짓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고유형과 심각도와의 관계에서는 정면충돌 사고와 앞지르기시, 우회전시 사고가 부상 또는 사망사고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았다. 위험그룹 분석에서는 20세 미만의 이륜차 운전자, 41세에서 50세까지의 택시 운전자가 가장 위험한 집단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남자보다는 여자가 승용차와 중형화물 등에 관계되었을 때 더 위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통사고 발생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면충돌 사고와 앞지르기시, 우회전시 발생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하고, 교통사고 취약계층으로 분석된 위험그룹에 대한 교통안전 교육 및 단속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알코올 소비와 음주교통사고 (Alcohol Consumption and Alcohol-involved Traffic Accident)

  • 이원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9-94
    • /
    • 1997
  • Recently, occurrence of alcohol-involved traffic accidents is increasing while all the accidents by violation of law except drunk driving. Traffic accidents by drunk driving has a great external cost. In detecting drunk driving, blood alcohol content Many studies reported close correlation between blood alcohol content and traffic accidents by drunk driving. The risk of traffic accidnet increases exponentially as blood alcohol content increases. To control traffic accidents by drunk driving, decide target population. Heavy drinkers are few and responsible for a small part of the loss while casual drinkers are many and responsible for a large part of the loss. Casual drinkers need to be included in the targer population for the control of traffic accident by drunk driving. Stragegies to reduce the quantity of alcohol consumed, change the pattern of drink, such as frequency of drinking, raise of perceived risk of accident need to be sought.

  • PDF

안개지역의 교통사고심각도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raffic Accident Ratio Model in Foggy Areas)

  • 이수일;원제무;하오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71-177
    • /
    • 2008
  • As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mist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recently safety facilities to be prepared for mists are being actively installed when designing roads. But in some part, the facilities are being installed imprudently without analyzing the extent of occurrences of mists that would increase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and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occurrences of mists are not being suggested. For that reason, in this study, first questionnaire surveys were executed on road users in order to draw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ffic accidents caused by mists, a mist traffic accident predicting model was developed and an accident seriousness determining model that can determine accident seriousness was developed. In this way, by extracting major factors affecting mist traffic accidents to grasp risk factors in roads to be caused by mists, safety of roads can be enhanced and traffic accidents in road operations can be decreased. As the affecting factors influencing mist traffic accidents, were extracted sightable distances, durations of mists and whether daytime or nighttime as major factors and the plan to install the facilities for the prevention of mist traffic accidents was suggested to prevent the traffic accidents to be caused by those factors and also the plan to operate roads considering sightable distances was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sightable distances to be caused by mists was suggested. It is judged that the road safety in the areas where mists occur can be improved through foregoing methods.

선박항로 위험도 평가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p's Passage Risk Assessment Simulator)

  • 김광일;정중식;박계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20-225
    • /
    • 2013
  • 항구 등 선박교통이 밀집된 구역에서 선박의 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한다. 해양사고는 한번 발생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으므로, 철저한 해상교통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 해역의 통계적인 해상교통정보와 실시간 선박 통항분포를 바탕으로 항로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항로 위험도 평가 시뮬레이터는 항로정보 입력부, 통항분포 분석부, 알고리즘 실행부로 구성하였다. 또한 완도해역의 해상교통정보를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항로의 정량적인 항로 위험도를 산출하고자 한다.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이용한 화학물질 운송경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portation Route of Chemicals using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 변윤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6-52
    • /
    • 2017
  • 화학물질 운송과정에서 교통사고로 인한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화학물질 운송경로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장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학물질 취급설비에서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발생할 경우 적용하는 정량적 위험성평가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화학물질 운송과정에 적용하였다. 운송 차량의 교통사고 건수를 분석하여 화학물질 운송시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예측하였고, 차량을 이용하여 액화염소용기를 운송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염소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평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위험도를 바탕으로 액화염소용기를 운송하는 차량의 가장 적절한 운행경로를 제시하였다.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 특성이 위험행동 및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연구 (The Effects of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on Dangerous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in the Reckless Drivers Group: A Path Analysis Study)

  • 오주석;이순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5-105
    • /
    • 2007
  • 과속과 음주운전 행동은 운전자로 하여금 교통상황에 잠재된 위험을 발견하고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도록 하여 교통사고 발생 확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피해정도가 심하고 이 행동들에 내포하고 있는 위법성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사고 및 음주운전자 집단과 일반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과 운전행동을 비교한 결과,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과속운전행동 점수와 '음주운전행동 점수가 일반운전자들보다 높았다. 또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은 실제 운전행동에서도 일반운전자들보다 과속운전과 음주운전을 더욱 많이 하고 있었으며, 교통사고에서 가해자가 된 경험도 더 많았다. 경로모형 결과에서는 사고 및 음주운전자 집단의 위험감수성 부족 요인과 상황적응성 부족 요인, 과속운전행동 요인이 교통사고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일반운전자 집단에 비하여 더욱 크게 나타났고,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들 가운데 위험감수성과 상황적응성의 수준이 교통사고 가해경험을 더 잘 설명하였다.

CRP (Continuous Risk Profile) 분석을 이용한 야간 특화 교통사고 다발구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ight Specialized Traffic Accident Hotspot Using Continuous Risk Profile (CRP) Analysis)

  • 김희수;오흥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1호
    • /
    • pp.49-5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CRP (Continuous Risk Profile) 분석을 이용하여 야간에만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야간 특화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선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이연구의 다른 목적은 CRP 분석을 이용하여 야간 특화 교통사고 다발구간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CRP 분석은 실제 교통사고 데이터를 이용하며 대상 노선의 교통량 고려해 분석되었다. 또한 CRP 분석에 사용되는 변수는 국내 고속도로의 실정에 적합한 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야간 특화 교통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야간 CRP에서 주간 CRP를 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CRP 분석을 사용하여 야간 특화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야간 특화 교통사고 다발구간은 IC나 터널이 설치된 구간으로 일반구간과 편차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야간 특화 교통사고 다발구간 산정에 CRP 분석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IC 또는 터널시설이 설치된 구간에서 야간 특화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개선이 필요한 지점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IC 또는 터널시설이 설치된 구간에서 야간 특화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 것은 조명시설로 인한 야간 시인성의 문제에서 요인한 것으로 추론된다.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on Highways: An Analysis Based on Patients Treated at a Regional Trauma Center

  • Lee, Sung Yong;Sun, Kyung Hoon;Park, Chan Yong;Kim, Tae Hoo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4권4호
    • /
    • pp.263-269
    • /
    • 2021
  • Purpose: There have been increasing concerns about serious traffic accidents on high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raffic accidents on highways and the severity of the resulting injurie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at a regional trauma center. We reviewed 594 patients who had been in 114 traffic accidents on highways from January 2018 to June 2020. We collected demographic data, clinical data, accident-related factors, and meteorological data (weather and temperature). Results: Environmental risk 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on highways. Injury severity and the death rate were higher in sedans than in any other type of vehicle. Tunnels were the most common location of accidents, accounting for 47 accidents (41.2%) and 269 injured patients (45.3%). The injury severity of individuals riding in the driver's seat (front seat) was high, regardless of vehicle type. Three meteorological risk 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raffic accidents: rainy roads (odds ratio [OR] 2.08; 95% confidence interval [CI] 1.84-3.29; p=0.01), icy or snowy roads (OR 5.12; 95% CI 2.88-7.33; p<0.01), and foggy conditions (OR 2.94; 95% CI 2.15-4.03; p<0.05). Conclusions: The injury severity of patients was affected by seat position and type of vehicle, and the frequency of accident was affected by the location.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was strongly influenced by meteorological conditions (rain, snow/ice, and fog).

고속도로 선형조건과 GIS 기반 교통사고 위험도지수 분석 (호남.영동.중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A GIS-based Traffic Accident Analysis on Highways using Alignment Related Risk Indices)

  • 강승림;박창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4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지리정보체계)를 기반으로 도로의 선형조건을 이용하여 고속도로의 사고위험도를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고속도로 평면곡선부에 대한 다양한 사고분석을 통해 도로의 선형조건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사고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특히 사고영향인자를 규명하는 데에 있어서는 도로선형요소의 상호작용과 선형의 연속성을 반영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예측모형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사고예측모형의 추정결과와 사고자료를 토대로 고속도로의 선형조건에 따른 종합적인 사고위험도지수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한편 주어진 도로선형조건에 따라 사고발생가능성을 예측하고 사고위험도를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GIS와 결합하여 프로그래밍 함으로써 해당구간의 사고율 사고위험도지수, 위험도평가등급이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련정보 및 평가결과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이용자가 보다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고위험도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사고예측모형과 이를 토대로 설정한 사고위험도지수 및 위험도평가등급은 안전하고 비용-효율적인 도로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사고취약구간에 대한 대책 마련에도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행중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성 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using Smart Devices while Walking)

  • 유순덕;강수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4-82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impacts of distractions caused by smartphones on pedestrians whilst walking alongside or across vehicular traffic in a high-density urban zone in South Korea.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objective evidence for a link between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and distractions from smartphones for pedestrians because of less likely notice activities surrounding road along their walking. This means that smartphones usage may cause inattentional blindness even during a simple activity that should require few cognitive resources. We conducted an experiment comparing pedestrian behavioral patterns of walking with smartphone distractions (such as listening to music with earphones or sending text messages) and normal walking without any distractions.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alked along a pedestrian path prescribed by researchers and were observed at 8 points which were as follows: two observation points through which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listen to music whilst walking, two points wher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send text messages, and four points through which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not to use a smartphone at all. According to pedestrian behavior analysis, there is a trend for attention to be distributed amongst whatever other activities pedestrians are doing whilst walking.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pedestrians walking with such distractions are at a higher risk of traffic accidents compared to those who walk without such distractions. Thus, we advise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consider ways to traffic policy that will enhance traffic safety for pedestr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