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ening stage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9초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수도의 생태변이에 관한 연구 -I.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수도의 실용제형질의 변이- (Studies on the ecological variations of rice plant under the different seasonal cultures -I. Variations of the various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rice plant under the different seasonal cultures-)

  • 최현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권
    • /
    • pp.1-40
    • /
    • 1965
  • 본실험은 우리 나라 중부지방에 있어서의 수도의 재배 시기를 이동함에 따르는 실용제형질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1958~'60년의 3개년에 걸쳐 농업시험장(현 작물시험장) 답작과(수원)에서 시행한 실험으로서 공시품종은 조만성, 초형 등 생태적특성을 달리하는 연산.수원 8002.오조.팔달 및 조광의 5품종을 공시하였으며, 파종기는 3월 2일 ~7월 10일까지를 10일 간격으로 14회에 걸쳐 파종하였고, 또 각 파종기마다 각각 못자리 일수를 30일, 40일, 50일, 60일, 70일 및 8일묘로 하여 이앙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 : 1)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서 출수기도 거의 일직선으로 지연되나, 그 정도는 조생종에서 크고 만생종은 작으며, 또 못자리 일수가 길어짐에 따라서 커진다. 2) 출수까지의 일수는 각 품종 모두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서 거의 일직선으로 단축하나, 품종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가 있어서 조생종은 단축일수가 작고 만생종이 크다. 그리고 동일품종 내에서도 못자리 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단축일수는 작아졌다. 또 최단축일수에 도달하는 시기도 조생종은 빠르나 만생종은 늦어진다. 또 못자리 일수가 긴 구에서 그 시기는 빨라진다. 품종 및 못자리 일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어느 시기 이후의 파종기가 되면 단축을 나타내지 않게 되고, 다시 파종기가 늦어지면 한냉한 기후의 영향을 받아 출수일수는 오히려 연장된다. 3) 파종기(X)와 출수까지의 일수(Y)와의 회귀직선식 Y=a+bX의 계수 b(출수일수단축율)와 평균일수일수와는 고도의 상관이 인정되며, 평균출수일수가 클수록, 즉 만생종일수록 파종기의 지연에 의한 출수촉진일수가 컸었다. 4) 어느 품종의 파종기가 동일역일이면 못자리 일수가 극단으로 길지 않은 범위 내에서는(파종기의 지연에 따라서 출수까지의 일수가 직선적으로 단축되는 범위내에서의) 출수일수의 년차간의 변이는 크지 않으므로 목적하는 품종에 대한 수회의 파종기에 걸쳐 출수기의 변동을 조사하여 실험식(파종기와 출수까지의 일수와의 회귀직선식)을 구해 두면 임의의 재배시기에 있어서의 출수기를 추정할 수 있다. 5) 파종기가 3월하순~6월중순, 못자리 일수가 30~50일의 범위에서는 보통기재배에 있어서의 품종의 출수기의 조만을 가지고 그 전후에 해당하는 파종기에 있어서의 각각의 품종에 대한 출수기를 추정할 수 있다. 2. 성숙기 : 6) 출수기가 지연됨에 따라서 성숙한계 출수기의 범위 내에서는 성숙기도 거의 일직선으로 지연된다. 그 정도는 품종 및 못자리 일수의 장단에 의한 차이가 크다. 평균온도의 영향을 받는 범위 내에서는 출수기(X)가 지연됨에 따라서 성숙기간 중의 평균온도(Y)는 그것에 따라서 저하하며 품종간에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아 양자의 관계를 8월 1일부터 9월 13일까지의 범위에서는 Y=25.53-0.182X의 회귀직선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7) 품종의 조만생에 의한 성숙기간에 있어서의 평균온도의 차이가 심하며, 조생종은 최고 28$^{\circ}C$의 고온에서 경과하나 만생종은 22$^{\circ}C$에 불과하다. 8) 성숙기간중의 평균온도(X)와 성숙일수와의 관계는 극히 높은 상관이 인정되며, 양자의 관계를 Y=82.30-1.55X의 회귀직선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성숙기간중의 평균기온이 18~28$^{\circ}C$의 범위 내에서는 온도가 1$^{\circ}C$ 상승함에 따라서 성숙일수는 1.55일 단축되는 결과가 되며, 품종별로는 관산이 2.24일로서 단축정도가 컸고, 수원 8002가 0.78일로서 가장 적었다. 따라서 수원지방에 있어서는 평균온도가 18~28$^{\circ}C$의 범위에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성숙속도가 빨라진다고 할 수 있다. 9) 각 파종기별로 본 출수까지의 일수(X)에 대한 성숙기간중의 적산온도(Y)와의 관계는 거의 완전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고, 성숙기간중의 적산온도는 어느 범위 내에 있어서의 파종기의 이동에 의한 차이는 비교적 작다. 3. 간장 및 수장 : 10) 품종간의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조파가 된 구간에는 간장에 큰 변화는 없으나 계속 파종기가 지연되어 만파가 되면 공시품종 모두 간장의 감소가 뚜렷해졌다. 또 간장의 감소정도는 약묘에서 완만할 뿐만 아니라, 5월 21일~6월 10일 파종과 같이 비교적 만파를 하더라도 별로 감소되지는 않으나, 80일묘와 같은 노숙묘인 때는 보통기재배에서도 급격히 감소한다. 11) 수장의 변화도 간장과 동일한 경향을 보이나 파종기의 지연에 의한 수장의 변화는 30~40일묘에서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고, 못자리 일수가 길어지면 수장의 감소가 뚜렷해진다. 4. 수수 : 12)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서 일정한 시기까지 계속수수는 감소하다가 어느 시기 이후가 되면 새로이 고차분얼의 다량발생으로 수수가 증가한다. 그 시기는 못자리 일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30~40 일묘는 5월 31일~6월 10일 파종기인 만파에서 수수가 최대로 감소하며, 70~80일묘의 경우 4월 11일~4월 21일의 파종기에서 이미 수수가 최대로 감소한다. 5. 지경수 : 13) 지경수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서 어느 일정한 시기까지는 변화가 없으나, 그 시기가 지나면 수당지경수의 감소가 현저하다. 14) 지경수가 감소되기 시작하는 시기도 30~40 일묘에서는 5월 3일 이후의 파종기가 되나, 80일묘의 경우 5월 31일 파종에서 이미 감소될 뿐만아니라, 5월 31일 파종이 되면 지경수가 3~4개에 불과하였다. 6. 비중과 천입중 : 15) 파종기의 이동에 따라 비중은 서서히 증가하나 어느 시기를 넘으면 급격히 증가하며, 이를 2개의 상이한 회귀직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16) 이 양직선이 교차되는 지점을 성숙가능한계기로 보면 이 시기는 못자리 일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30~40일묘는 6월 10일 반중기에 해당하나, 70~80일묘에서는 5월 1일로서 못자리 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성숙한계기는 당겨진다. 17) 천입중은 보통기재배에서 가장 무겁고 극조기재배를 하거나 만기재배에서 천입중은 저하한다. 7. 고중 및 완전정조중 : 18) 품종의 조만에 큰 영향없이 III~IV 파종기까지의 조기재배 하에서는 못자리 일수의 장단에 의한 고중의 큰 변이는 없으나, 파종기가 계속 이동하여 보통기재배가 되면 못자리 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차차 고종이 감소되어 오다가 만파가 되자 그 감소정도가 급격해졌다. 19) 파종기(X)와 정조수량(Y)과의 관계는 품종ㆍ못자리 일수를 종합하여 직선에 가까운 포물선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Y=77.28-7.44X$_1$-1.001X$_2$). 따라서 조파시에는 정조수량의 변이가 작으나 어느 시기보다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정조수량은 감소하며, 그 정도는 만파인 경우에 심하고, 또 못자리 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더욱 현저하다. 20) 출수일수(X)에 대한 정조수량(Y)의 관계는 품종ㆍ못자리 일수를 구별하지 않고 보아다 회귀직선식으로써 나타낼 수 있었으나, 출수일수가 60~110일 정도까지는 조생종이 수량이 많고 만생종은 만기재배에 해당하므로 정조중의 감소가 심하였고, 출수일수가 140일 정도 이상이 되면 정조중이 거의 증가하지 않은 경향이 뚜렷하였다.

  • PDF

수도의 저온장해에 관한 생리 생태학적 연구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the Low Temperature Damages of Rice (Oryza sativia L.))

  • 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1
    • /
    • 1981
  • 수도품종들의 저온에 대한 생리생태적 반응특성을 구명하여 내냉성 품종육성과 냉해를 경감 수 있는 재배법개선기술을 확립하고저 1975년부터 1980년에 걸처서, 유일형과 일본형 및 인도형 품종들을 공시하여 그들의 생육시기별 시비조건별 저온반응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저온처리를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그러고 저수온처리에 관한 시험을 작물시험장 춘천출장소 냉수시험지에서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5\circ_C 저온하에서 70% 이상의 실용적 발아율 얻을 수 있는 기간은 일본형품종들은 15\circ_C에서 10 일간, 통일형품종들은 15 일간이었다. 통일형품종들의 저온발아성 검정은 저온에서 장기간 실시하는 것 보다 16\circ_C에서 6일간 치상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2. 유묘의 저온저항성은 3.0~3.5 엽기묘가 가장 낮고 묘영이 진전됨에 따라 점차 높아켰으며 3엽기와 6엽기의 저온저항성간에 는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3. 주ㆍ야 15~10\circ_C온도에서는 일본형 및 통일형 품종 모두 42일 처리정도에서 식물체가 고사하고 20~15\circ_C에서는 일본형 품종은 분벽이 잘 이루어지나 통일형품종은 약관 억제되며 25~15\circ_C에서는 양품종군 모두 분벽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초장신장 속도는 저온일 수록 저하되었다. 4. 이삭의 지경 및 영화분화는 출수전 30일부터 출수기까지 주ㆍ야 25~20\circ_C처리와 30~25\circ_C 처리시에는 모든 품종에서 잘 이루어졌으나 20~15\circ_C 처리구에서는 통일형품종은 지경 및 영화 분화수화수가 전자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일본형품종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이삭의 추출은 억제되었다. 5. 저기온에 의한 출종지연은 감수분열기에 저온처리한 것이 분얼최성기에 저온처리한 것 보다도 1~3일 이 지연되였으며 같은 시기에서는 저온처리 일수가 길수록 출수지연도가 컸다. 6. 벼 생육기간별로 17\circ_C냉수를 10일간 처리한 경우에 출수지연도는 분얼기 > 감수분열기 > 수잉기의 순이였고 품종별로는 수원26004 > 수원23005 > Lengkwang의 순이있다 냉수처리에 의한 출수지연도는 간장단축률 및 불임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감수분열기의 저기온(15\circ_C)과 고기온(25\circ_C)처리는 고기온(25\circ_C)과 저기온(17\circ_C) 처리보다 간장단축율이 켰으며 이삭 추출도도 낮았고 장간종인 Lengkwang은 단간종인 수원26004에 비하여 저기온에서의 간장단축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이삭 추출도는 출수기에 저온처리를 하였을 때 가장 낮았으며 통일형품종은 일본형품종보다 이삭 추출도가 현저히 낮았고 저온에 의하여 간장단축도 심한 품종은 이삭 추출도도 매우 낮았으며 이들 간에는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8. 분벽기의 냉수처리는 수수를 증대시키고 감수분열기의 냉수처리는 수수를 감소시켰다. 생육시기별로 냉수처리시기가 빠를수록 간장단축율이 크고 이삭 추출도도 낮아졌다. 9. 감수분열기의 17\circ_C 저온처리에 의한 불임유발은 3일간 처리로서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9 일간처리에서는 심하게 나타났으며 수원26004와 밀양4002가 저온처리에서 불임율이 가장 낮았다. 저온처리가 임실장해를 가장 크게 유발한 것은 출수전 15일부터 출수전 5일까지 사이의 처리였으며 일본형인 진흥은 통일형인 통일, 수원26004보다 임실장해가 현저히 적었다. 그러나 감수분열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와 출수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또한 저온에 의하여 이삭 추출도가 낮거나 간장단축율이 큰 품종은 임실율도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10. 냉수처리에 의한 임실장해는 감수분열기처리(엽이간장-15~10cm)에서 가장 크고 품종별로는 수원26004, 조생통일 > 농백, Towada > 저온저항성이 강한 Lengkwang순이었다. 냉수처리시의 수심과 유수의 위치는 임실비율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심이 20~40cm로서 유수의 위치가 물속에 있면 수원26004는 불임율이 높았고 유수의 위치가 물위에 있었던 Lengkwang은 불임율이 낮았다. 11. 수전기에 3 일간 15\circ_C의 저온처리를 한 경우 등숙에 큰 영향이 없었으나 6 일간 처리한 경우에는 수원287호와 수원 26004만이 60% 이하의 임실율을 보였으며 9 일간 처리한 경우에는 모든 품종에서 임실율이 60^ 이하로 떨어겼다. 그러나 출수 10일 후부터 17\circ_C로 20일간 처리한 경우에는 등숙장해가 크지 않았다. 12. 질소, 인산, 가리, 칼슘, 마그네지움 및 아연등의 양분흡수는 19$^{\circ}C$ $\pm$ 5보다 $25^{\circ}C$ $\pm$ 5에서 흡수가 증대되었으나 망간은 반대로 평균 25\circ_C보다 19$^{\circ}C$에서 흡수가 더욱 많았다. 13. 냉수답에서 질소, 인산, 규산 및 퇴비시용은 분벽 및 수수를 증가시키고 임실율을 향상시키며 수량을 증대시켰다.

  • PDF

율무 조숙 단간 다수성 신품종 '조현' (New Variety 'Johyun' of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with Early Maturity and Short Plant Height)

  • 장정희;이은섭;최병열;김인재;박중수;김성기;김희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2-125
    • /
    • 2005
  • '조현' 율무는 조숙, 단간,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2년에 박피, 다수성인 수원6호와 조숙, 단간인 오카야마재래종을 교잡한 것을 모본으로 조숙, 다수성인 UCN300-25를 부본으로 한 삼원교배로 $F_1$ (SJ920)을 얻었다. 1993년 하계에 $F_1$을 양성하였고, $1994{\sim}1997$년에는 $F_2{\sim}F_5$를 계통육성하였으며, 1998년과 2001년 하계에 생산력검정을 실시하였다. $2002{\sim}2004$년 3년간 '연천8호가는 계통명을 부여하여 3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연천8호는 조숙, 단간, 다수성의 특성이 우수하다고 인정되었고, 2004년 12월 직무육성품종 심의위원회에서 중부 및 북부지역에 적합한 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조현'으로 명명되었다.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의 엽초색과 엽신색은 각각 자색과 녹색이며, 출수기의 엽색과 줄기색은 녹색이었다. 암술색은 유백색이고 종피색은 암갈색이었다. 2. 출수기와 성숙기는 표준품종인 율무1호보다 각각 8일, 15일 빨랐다. 간장은 율무1호보다 22 cm 짧았고, 분얼수는 비슷하였다. 천립중은 105 g이었다. 3. 잎마름병과 조명나방 피해에 대한 저항성은 중강으로 율무1호와 비슷하였고, 절간도복에는 약하였다. 4. 수량성은 생산력검정에서 312 kg/10a로 대조품종 율무1호보다 15% 증수되었고,지역적응시험 결과 3개소 평균 320kg/10a로 18% 증수되었다. 5. 정현비율은 60%로 율무1호보다 5% 낮았고, 종피경도는 $4.13\;kg/cm^2$ 이었다.

글루코노델타락톤의 김치 발효 지연 효과 (Retardation of Kimchi Fermentation by Addition of Glucono-δ-lacton)

  • 한진숙;강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53-55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글루코노델타락톤을 김치에 첨가하여 냉장저장하였을 때, 김치의 초기 pH를 강하시켜 김치의 주발효균인 유산균의 생육을 억제하여 김치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숙성기간을 연장시키고자 하였다. GDL이 첨가된 김치의 초기 pH강하는 GDL이 수용액에서 유기산인 글루콘산으로 전환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삼투압 작용에 의해 점차 평형을 이루게 되어 pH가 상승하였다가 숙성이 진행되면서 대조구보다 완만하게 pH가 저 하하였다. pH 강하로 인하여 김치의 초기 유산균의 생육이 지연되면서 대조구와 비교시 숙성기간동안 산 생성량이 적게 나타났다. HPLC 분석에서 김치의 발효동안 ox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와 acetic acid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의 경우 GDL을 첨가한 경우보다 lactic acid의 생성량이 현저히 많았다. 김치에 첨가된 GDL은 초기 주 발효균인 L. mesenteroides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숙성을 지연시키고, 그 이후의 L. brevis와 산내성 이 강한 L. plantarum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산도의 증가를 지연시키고 김치 조직의 연화를 방지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글루콘산은 무색의 순한 청량한 신맛을 띄는 유기산으로 관능검사에서 김치 고유의 맛과 향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김치 제조시 GDL의 첨가는 김치의 유산균의 생육지연을 통하여 김치가 숙성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 유지 시켜 가식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면서, 관능적 품질에 차이가 없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었다.

홍적태지(洪積台地)에 발달(發達)된 중점질(重粘質) 토양(土壤)(화동통(華東統))에 대(對)한 인산(燐酸) 규산(珪酸) 및 유기물(有機物)의 시용효과(施用效果) (Responses of phosphorus, silicate crgaric matter to rice in heavy clay textured paddy soil (Whadong Series) developed on alluvial terrace)

  • 안상배;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5-243
    • /
    • 1978
  • 담수하(湛水下)에서 환원발달(還元發達)이 극(極)히 부진(不進)한 적황색계중점질토양(화동통)((赤黃色系重粘質土壤)(華東統))의 개량방법(改良方法)으로서 인산(燐酸), 규산(珪酸) 및 유기물(有機物)의 효과를 기대(期待)하였던바 1. 인산(燐酸)의 효과는 매우 컸으며 인산(燐酸) 56kg/10a의 시용(施用)으로 약(約) 20%의 증수(增收)를 가져왔다. 2. 인산(燐酸)에 의(依)한 증수(增收)는 주(主)로 분벽수(分蘗數) 증가(增加)에 기인(起因)되었다. 인산(燐酸)에 대(對)한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에서 주당경수(株當莖數)의 최고증가(最高增加)는 통일(統一) 3.6경(莖), 진흥(振興) 1.9경(莖)이었으나 등숙률(登熟率)은 반대(反對)로 통일(統一)에서 4% 감소(減少)되었고 진흥(振興)에서는 3% 증가(增加)되었다. 3.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와 출수기(出穗期)의 식물체중(植物體中) $P_2O_5$ 함량(含量)과 수량간(收量間)에는 1% 수준(水準)에서 높은 백관관계(栢關關係)가 있었으나, 출수기(出穗期)의 $P_2O_5$ 함량(含量)과 수량간(收量間)에는 유의적상관(有意的相關)이 없었다. 최고수량(最高收量)을 얻을 수 있는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의 인산함유률(燐酸含有率)은 0.8%이었다. 4. 규산(珪酸)의 효과는 통일(統一)에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진흥(振興)에서는 컸고 퇴비(堆肥) 및 왕겨의 시용효과도 진흥(振興)에서만이 현저하였다. 5. 규산(珪酸) 및 석회(石灰)의 시용(施用)은 경엽중(莖葉中)의 질소함유률(窒素含有率)을 저하(低下)시켰으며 특(特)히 통일(統一)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이로 볼 때 이들 효과의 발현(發現)을 위(爲)하여는 특(特)히 통일(統一)의 경우 질소(窒素)의 증시(增施)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 PDF

벼 이삭마름병해에 관여하는 균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gi Associated with Ear Blight of Rice)

  • 강창식;김장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1-107
    • /
    • 1972
  • 벼 이삭마름병해에 관여하는 균류와 이들 균류에 대한 약제별 살균효과를 알고저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 장려품종 및 통일품종의 변색된 벼알에서 균류를 조사한 결과 일반 장려품종에서는 Pyricularia oryzae, Helminthosporium oryzae, Epicoccum purpurascens, Curvularia lunata,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균 등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고 통일 품종에서는 Trichoconis padwickii, Fusarium dimerum, Nigrospora oryzae균 등이 많이 검출되었다. 2. 벼 이삭도열병에 이병된 이 삭의 각 부위로부터 균류를 조사한 결과 이삭목에서는 Pyricularia oryzae, Nigrospora oryzae, Curvularia lunata 균등이 이삭가지에서는 Helminthosporium eryzae, Trichoconis padwickii, Stemphylium sp.,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균 등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벼알에서는 Phema spp. 균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다. 3. 각종 균류에 이병된 이삭가지 및 벼 알에서의 Difolatan 수화제, Dithane M-45 수화제의 살균효과를 실내에서 시험한 결과 Difolatan 800배 액은 Helminthosporium oryzae, Cladosporium cladosporoides, Alternaria tenuis 균 등에 살균효과가 좋았고 Dithane M-45 500배 액은 Pyricularia oryzae, Trichoconis padwickii, Curvularia lunate 균등에 비교적 효과가 좋았다. 4. 약제 방제시기는 유숙기살포구, 출수개화기살포구의 순으로 효과가 좋았으며 약제별 방제효과는 본 시험포장에 이삭도열병 발생이 많았던 관계로 도열병 방제 약제인 히노산유제, 가스가민유제가 Difolatan 수화제, Dithane M-45 수화제에 비하여 다소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출딸기 '매향'과 '수경'의 수확후 예냉 및 저장온도의 효과 (Effect of Precooling and Storage Temperatures on the Post-harvest Management of the Fruits in 'Maehyang' and 'Soogyeong' Strawberries for Export)

  • 박지은;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6-371
    • /
    • 2010
  • 예냉(2, 4, $8^{\circ}C$)과 저장온도(4, 8, $10^{\circ}C$)가 수출용 딸기 '매향'과 '수경'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0년 3월 16일에 숙도 70%의 과실을 진주지역 온실에서 수확하였다. 농가의 예냉기에서 3시간 동안 예냉한 딸기를 30분만에 실험실로 수송하였고, 즉시 챔버에 저장하였다. 예냉을 위해 농가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간이 예냉기를 이용하였다. 저장하는 동안 딸기의 무게변화, 경도, 색도, 당도, 잿빛곰팡이병 발생율을 이틀 간격으로 3월 16일부터 3월 30일까지 조사하였다. 두 품종 모두 경도, 당도, 색도는 '매향'보다 '수경'이 높았고, $4^{\circ}C$에 저장 하였을 때 경도와 당도함량이 가장 높았다. 숙도가 진행됨에 따라 경도와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모든 온도처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게의 변화가 감소하였다. 잿빛곰팡이병은 $10^{\circ}C$에 저장하였을 때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딸기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품종 모두 $2^{\circ}C$에 예냉하여 $4^{\circ}C$에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무우의 휴면성(休眠性)과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에 의(依)한 휴면타파(休眠打破)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ormant Behavior Effects of Plant Growth Substances for Beaking the Seed. Dormancy of Raphanvs Sativus L.)

  • 나종현;이영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5-93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하파형(夏播型) 무우육성(育成)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져 여름무우 소재(素材)로 사용(使用)될 수 있는 몇가지 무우품종(品種)의 품종간(品種間) 휴면성(休眠性)의 차이(差異), 그들간의 모계효과(母系效果) 및 전일장처리(全日長處理)가 휴면(休眠)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고, 인위적(人爲的) 처리(處理)에 의(依)한 휴면타파(休眠打破)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코져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7개(個) 품종(品種)의 채종(採種)직후(直後)의 발아율(發芽率)은 SP70- : 0.5%, PS11- : 37.5%, GJ75- : 75.5%, JD127- : 77.5%, YH85- : 81.0%, M55- : 96.5%, JC73- : 98.0%로 나타나 무우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에 따라 휴면(休眠) 정도(程度)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휴면(休眠)이 깊은 SP70-의 휴면기간(休眠期間)은 60일(日) 이었으며, 이 품종(品種)을 모계(母系)로 하였을 때가 부계(父系)로 하였을 때 보다 휴면(休眠)이 깊게 나타났다. 3. 채종모본(採種母本)의 성숙정도(成熟程度)에 따라 휴면성(休眠性)이 달라졌는 바, 성숙모본(成熟母本)(3월(月)22일(日) 파종(播種))은 말숙모본(末熟母本)(11월(月)10일(日) 파종(播種))에 비(比)해 휴면(休眠)이 훨씬 경감(輕減)되었다. 4.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 및 첫 꽃이 개화(開花)한 이후(以後)부터 SP70-에 전일장처리(全日長處理)를 행(行)한 구(區)는 휴면(休眠)의 정도(程度)가 낮았으며, 등숙기(登熟期) 이후(以後)의 처리구(處理區) 및 대조구(對照區)에서는 휴면(休眠)이 매우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휴면(休眠)의 인위적(人爲的) 타파(打破)에 있어서는 GA 200ppm+thiourea 0.2% 혼용처리(混用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수도 품종간 교잡에 있어서 간장의 유전분리 ⅩIV. 단간 품종간 조합에 있어서 간장과 $GA_3$ 반응성의 분리 (Segregation Mode of Plant Height in Crosses of Rice Cultivars ⅩIV. Segregation of Culm Length and $GA_3$ Response in Crosses of Dwarf Cultivars)

  • 김용권;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5-170
    • /
    • 1990
  • 단간유전자와 GA$_3$ 반응성과의 연관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단간품종들 Fukei 71, 설악벼, Tanginbozu와 이들의 F$_1$ 및 F$_2$에 GA$_3$를 처리하여 절간신장에 미치는 지베렐린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1. 공시한 단간품종들중 설악벼와 Tanginbozu는 GA$_3$에 간장이 크게 신장되었으나 Fukei 71은 GA$_3$에 간장이 신장되지 않았다. 2. 3개 교배조합의 F$_1$은 모두 장간으로 나타나 Fukei 71, 설악벼 및 Tanginbozu는 서로 다른 단간유전자가 간장에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F$_1$에 GA$_3$를 처리하였을 때 모두 간장이 크게 신장하여서 GA$_3$ 무반응성에 대하여 GA$_3$ 반응성이 우성으로 작용하였다. 3. GA$_3$ 반응성 품종간 조합 설악벼/Tanginbozu의 F$_2$에서는 GA$_3$를 처리한 결과 모든 개체들에서 간장이 신장되어 전체적으로 장간화하였으며 간장은 대체로 9:6:1의 분리경향을 보였다. 4. GA$_3$ 반응성 품종과 무반응성 품종간 조합 즉 설악벼/Fukei 71과 Fukei 71/Tanginbozu의 F$_2$에서는 무처리구에서 대체로 9:7과 9:6:1의 분리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에서는 대체로 13:3의 분리경향을 보였다. 5. 설악벼/Fukei 71, Fukei 71/Tanginbozu 조합의 F$_2$에서 GA$_3$ 무반응성 개체만을 골라 Fukei 71로 backcross한 BC$_1$F$_1$ 개체에 GA$_3$를 처리하여 간장과 GA$_3$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조합내 개체들간에 간장의 분리를 인정할 수 없었고, GA$_3$ 처리에 무반응성을 보였다. 따라서 Fukei 71의 단간유전자 d50은 GA$_3$ 무반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감 '부유'의 과실 비대 및 착색 증진에 대한 과실 성숙기에 결과지의 잎 제거 효과 (Effect of Leaf Removal Fruit Bearing Branch in Maturation Stage on Fruit Enlargement and Coloring of Persimmon)

  • 김호철;배현주;김태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1-176
    • /
    • 2010
  • 본 연구는 단감 '부유' 품종을 대상으로 과실 비대 및 착색에 대한 성숙기에 결과지의 잎 제거 정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잎 제거 정도에 따라 과실 주변의 조도는 자연광의 70.1klux에 대하여 무처리구에서는 7.9%, 20% 처리구에서는 13.6%, 50% 처리구에서는 16.4%, 그리고 100% 처리구에서는 30.0% 수준이었다. 과피색 a값은 무처리구 및 20% 처리구에서 수확직전까지 일정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Chroma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다가 처리 7주 이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된 과실의 무게와 직경은 10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가볍고 짧았다. 과형지수는 무처리구와 다른 처리구들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과실 당도는 무처리구보다 다른 처리구들에서 낮은 경향으로 5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과피색 a값은 무처리구 및 20% 처리구에서 높았고, 과피색 b값과 Chroma 값은 2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과피 내 베타 카로틴 및 라이코펜 함량은 잎의 제거 비율이 높은 처리구일수록 낮은 경향이었고, 총 엽록소 함량은 이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과실 성숙기에 과실 주변 잎을 제거하는 처리는 과실 착색 증진에 다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