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id connection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6초

L형 갈고리 앵커볼트를 사용한 약축방향 노출형 주각부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Evaluation of Exposed Column-base Plate Weak-axis Connections Using L-shaped Hooked Anchor Bolts)

  • 임우영;유영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269-2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소규모 철골조에서 나타나는 현장상세 노출형 주각부와 이를 보완한 상세를 가진 약축방향 주각부에 대한 반복 가력 실험을 통해 다양한 상세를 가진 약축방향 노출형 주각부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변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앵커볼트의 개수와 매립깊이, 그리고 리브 플레이트의 유무이다. 앵커볼트의 부착성능이 주각부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원형강봉과 나사산이 있는 L형 갈고리 앵커볼트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앵커볼트의 부착성능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항복유무는 주각부의 에너지 소산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가 현행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소 두께를 만족하더라도 강재 기둥이 소성모멘트에 도달하기 전 베이스 플레이트가 항복할 경우, 주각부의 구조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행 구조기준에 따라 접합부 성능을 조사한 결과, 제안된 약축방향 주각부 상세는 부분 강접합으로 가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원형강봉에 비해 부착성능이 우수한 나사산이 있는 L형 갈고리 앵커볼트는 반강접 노출형 주각부에 사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무기질 불균형: 골 탈석회화와 연조직 석회화 (Mineral Imbalance: Bone Decalcification and Soft Tissue Calcification)

  • 정대원;임현숙;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815-1819
    • /
    • 2009
  • 여러 단백질과 다양한 무기질(칼슘 등)을 함유한 단단한 기관인 골은 정상적으로 다른 연조직 세포로 무기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비타민 결핍, 노화, 폐경기 및 대사성 질환 등으로 인해서 골다공증이 유발되고 동시에 다양한 연조직(심장, 대동맥, 신장, 허파, 췌장 등)의 석회화가 빈번히 유도된다. 같은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되는 연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와 조골세포 사이에서는 상호 횡간의 분화가 될 수 있는 여지가 있어, 연조직 세포는 칼슘 축적으로 골을 형성하는 조골세포와 유사한 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연조직을 이루는 다양한 연조직 장기의 칼슘 축적으로 인한 석회화는 치명적인 장기손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가 중요할 것이다. 골다공증과 연조직 석회화는 상호 밀접한 연계성이 있어 한 가지의 질병이 진행되면 다른 질병이 연속적으로 발병할 우려가 있으므로 초기 질병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향후 초고속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이의 두 질환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므로, vitamin K와 D를 비롯한 다양한 무기질을 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식습관과 다량의 항산화제를 함유한 음식물 섭취로 이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기초형식 및 뒤채움재 종류별 강성관용 하수관거의 안전율 (Safety Factor of Rigid Sewer Pipe by Different Types of Foundation and Backfill)

  • 이관호;김성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06-612
    • /
    • 2019
  • 도심지 도로하부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 및 싱크홀의 주요 원인은 하수관로 기초 및 관로뒤채움재의 부적절한 다짐 등이다. 이로 인해 하수관거의 이음부 파손 및 접합 불량, 관의 파손 및 균열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수관거 기초와 관련된 받침계수 및 굴착 깊이에 따른 안전율을 평가하였다. 강성관용 기초로는 쇄석기초, 버림 콘크리트 기초, 그리고 최근 새로 개발된 현장조립식 경량플라스틱 기초를 이용하였고, 뒤채움재는 현장발생토사(사질토 및 점성토), 현장발생토사를 재활용한 유동성뒤채움 등을 적용하였다. 굴착 깊이 및 하수관 기초별 안전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중 계수 및 받침계수 등을 고려한 설계하중을 평가하였다. 받침계수는 쇄석기초 0.377, 버림 콘크리트 기초($180^{\circ}$$120^{\circ}$) 0.243 및 0.220, 경량 플라스틱 기초와 유동성 뒤채움재는 0.231로 적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쇄석기초 사용 시 안전율이 작게 나왔고, 받침각 $180^{\circ}$ 버림 콘크리트 기초 사용 시 안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경량 플라스틱 기초와 유동성 뒤채움재의 조합을 이용할 경우 받침각 $120^{\circ}$ 버림 콘크리트 기초보다 안전율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새로 개발된 재활용 경량 플라스틱 기초가 강성관의 또 다른 대안 기초로 활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부분 무치악 임플랜트 보철 수복시 자연치와의 비고정성 연결형태에 따른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PARTIALLY EDENTULOUS IMPLANT PROSTHESIS WITH VARYING TYPES OF NON-RIGID CONNECTION)

  • 이선아;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1-124
    • /
    • 1996
  • In this study, we designed the finite element models of mandible with varying their connecting types between the prosthesis on implant fixture and 2nd premolar, which were free-standing case(Mf), precision attachment case(Mp), semiprecision attachment case(Ms) and telescopic case(Mt). The basic model of the designed finite element models, which contained a canine and the 1st & 2nd premolar, was implanted in the edentulous site of the 1st & 2nd molar by two implant fixtures. We applied the load in all models by two ways. A vertical load of 200N was applied at each central fossa of 2nd premolar and 1st implant. A tilting load of 20N with inclination of $45^{\circ}$ to lingual side was applied to buccal cusp tips of each 2nd premolar and 1st implant. And then we analyzed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principal stress and displacement in four cases respectively.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he displacement using commercial software(IDEAS program) for SUN-SPARC works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Under vertical load or tilting load, maximum displacement appeared at the 2nd premolar. Semiprecision case showed the largest maximum displacement, and maximum displacement reduced in the order of precision attachment, free-standing and telescopic case. 2. Under vertical load. the pattern of displacement of the 1st implant appeared mesio-inclined because of the 2nd implant splinted together. But displacement pattern of the 2nd premolar varied according to their connection type with prosthesis. The 2nd premolar showed a little mesio-inclined vertical displacement in case of free-standing and disto-inclined vertical displacement due to attachment in case of precision and semiprecision attachment. In telescopic case, the largest mesio-inclined vertical displacement has been shown, so, the 1st premolar leaned mesial side. 3. Under tilting load, The pattern of displacement was similar in all four cases which appeared displaced to lingual side. But, the maximum displacement of 2nd premolar appeared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implant. Therefore, there was large discrepancy in displacement between natural tooth and implant during tilting load. 4. Under vertical load, 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 appeared at the 1st implant's neck. Semiprecision attachment case showed the largest maximum compressive stress, and 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 reduced in the order of precision attachment, telescopic and free-standing case. 5 Under vertical load, the maximum tensile stress appeared at the 2nd implant's distal neck. Semiprecision attachment case showed the largest maximum tensile stress, and the maximum tensile stress reduced in the order of precision attachment, telescopic and free-standing case. 6. Under vertical load or tilting load, principal stress appeared little between natural tooth & implant in free-standing case, but large principal stress was distributed at upper crown and distal contact site of the 2nd premolar in telescopic case. Principal stress appeared large at keyway & around keyway of distal contact site of the 2nd premolar in precision and semiprecision attachment case, appearing more broad and homogeneous in precision attachment case than in semiprecision attachment case.

  • PDF

송전철탑 설계기준을 반영한 345kV급 송전철탑의 합리적인 구조해석모델 제안 (Suggestion of Reasonable Analysis Model for Steel Transmission Tower Based on KEPCO Design Specifications)

  • 장진원;김승준;박종섭;강영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67-381
    • /
    • 2007
  • 전력 수요의 증가로 인해 송전철탑의 고용량, 대용량화가 요구되어왔지만 아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345kV급 송전철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해석 설계되고 있는 방식은 2차원 트러스요소를 사용하여 양단은 힌지접합으로 축력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방식을 3차원 트러스 요소에 적용하였을 때, 면 외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무한변위가 발생하는 구조해석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합리적인 요소 선택을 통한 구조해석 방식을 제안하기 위해 기존의 3차원 트러스요소 모델, 보요소 모델, 주주재와 수평재는 보요소로 모사하고 사재 및 기타 복재는 트러스로 모사한 보-트러스요소 모델 등 세 모델을 실제 설계 시공된 345kV급 송전철탑에 대해 설계하중 내에서 구조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정적해석, 자유진동해석, 선형좌굴해석을 수행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세 모델 모두 축력 및 축응력, 변위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요소모델과 보-트러스요소 모델에서 휨응력의 비율이 축응력에 대해 크게 나타났다. 자유진동해석과 탄성좌굴해석의 결과를 통해 보-트러스요소 모델이 송전철탑 설계 및 해석에 있어서 더 안전측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hear resistance behaviors of a newly puzzle shape of crestbond rib shear connector: An experimental study

  • Chu, Thi Hai Vinh;Bui, Duc Vinh;Le, Van Phuoc Nhan;Kim, In-Tae;Ahn, Jin-Hee;Dao, Duy Kien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1권5호
    • /
    • pp.1157-1182
    • /
    • 2016
  • A newly puzzle shape of crestbond rib shear connector is a type of ductil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 This shear connector has some advantages, including relatively easy rebar installation and cutting, as well as the higher shear resistance strength. Thus, this study proposed a newly puzzle shape of crestbond rib with a "${\mho}$" shape, and its shear resistance behaviors and shear strengths were examined using push-out tests. Five main parameters were considered in the push-out specimen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hear resistance parameters such as the dimensions of the crestbond rib, transverse rebars in the crestbond dowel, concrete strength, rebar strength, and dowel action on the shear strength. The shear loading test results were used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shear behaviors, failure modes, and shear strengths. It was found that the concrete strength and number of transverse rebars in the crestbond rib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ts shear resistance. After the initial bearing resistance behavior of the concrete dowel, a relative slip occurred in all the specimens. However, its rigid behavior to shear loading decreased the ductility of the shear connec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estbond rib was also shown to have a minor effect on the shear resistance of the crestbond rib shear connector. The failure mechanism of the crestbond rib shear connector was complex, and included compression, shear, and tension. As a failure mode, a crack was initiated in the middle of the concrete slab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ropagated with increasing shear load. Then, horizontal cracks occurred and propagated to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specime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esign shear strength equation was proposed and compared with previously suggested equations.

Seismic loss-of-support conditions of frictional beam-to-column connections

  • Demartino, Cristoforo;Monti, Giorgio;Vanzi, Iv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1권4호
    • /
    • pp.527-538
    • /
    • 2017
  • The evaluation of the loss-of-support conditions of frictional beam-to-column connections using simplified numerical models describing the transverse response of a portal-like structure is presented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effects of the seismic-hazard disaggregation. Real earthquake time histories selected from European Strong-motion Database (ESD) are used to show the effects of the seismic-hazard disaggregation on the beam loss-of-support conditions. Seismic ev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different values of magnitudes, epicentral distances and soil conditions (stiff or soft soil)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ismic input in the assessment of the loss-of-support conditions of frictional beam-to-column connections. A rigid and an elastic model of a frame of a precast industrial building (2-DoF portal-like model) are presented and adopted to find the minimum required friction coefficient to avoid sliding. Then, the mean value of the minimum required friction coefficient with an epicentral distance bin of 10 km is calculated and fitted with a linear function depending on the logarithm of the epicentral distance. A complete parametric analysis vary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eriod of vibration of the structure is performed. Results show that the loss-of-support condition is strongly influenced by magnitude, epicentral distance and soil conditions determining the frequency content of the earthquake time histori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xima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Moreover, as expected,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have also a strong influence. Finally, the effect of the column nonlinear behavior (i.e. formation of plastic hinges at the base) is analyzed showing that the connection and the column are a series system where the maximum force is limited by the element having the minimum strength. Two different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s are analyzed demonstrating that the column strength variation changes the system response.

군산화력발전소 발파해체 실용화 시험시공 사례 (A Case Study on Explosive Demolition of Gunsan Steam Power Station in Republic of Korea)

  • 민형동;송영석;김효진;서영수
    • 화약ㆍ발파
    • /
    • 제25권2호
    • /
    • pp.11-21
    • /
    • 2007
  • 군산 화력박선소를 제거하고 새로운 복합화력발전소를 건축하기 위하여 화약을 이용한 상부붕락공법으로 군산 화력발전소의 발파해체를 시행하였다. 군산 화력발전소는 건물 높이 58m, 기력건물의 총면적은 $292,000m^2$이며, 대부분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라아멘 구조이고 발전설비를 위해 슬래브는 건물의 일부분에만 존재하고 있다. 대상 구조물을 크게 4개 구역으로 분리하였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1{\sim}3$구역까지는 1층, 2층, 3층, 4층을 발파하였고, 4구역은 슬라브가 없어 1층, 2층, 5층, 7층에 발파를 실시하였다. 적용된 화약은 메가마이트로 102.675kg을 사용하였다. 기폭신뢰도와 결선 여부 확인을 위하여 공내 뇌관으로 비전기뇌관을 638개 적용하였고, 연결뇌관용으로 전기뇌관 225개를 사용하였다. 발파 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음, 진동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접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기둥-보 연결 강구조물의 소성회전각에 의한 피로곡선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Line with Plastic Rotaional Angle for Steel Structure of the Beam-to-Column Joints)

  • 공병승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통권35호
    • /
    • pp.221-23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지진 등과 같이 소성변형의 범위가 큰 Low-Cycle-Fatigue 범주에서 구조물의 응력변동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피로곡선인 S-N선도 보다 실질적으로 간단하게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소성회전각에 의한 피로곡선을 제시하였다. 이는 소성힌지가 생성되는 곳의 소성변형율과 구조물의 소성회전각이 서로 정비례를 이루는 상관관계임을 입증하여, 실험을 통하여 밝혀진 소성변형율의 피로곡선의 기울기와 소성회전각의 기울기가 서로 같은 값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이론은 Manson과 Coffin의 변형을 피로곡선을 도입하였고, 실험은 ECCS 주관하에 실시하였으며, 수치해석을 통하여 소성힌지 부위의 위치와 정확한 소성변형율을 산정할 수 있었다.

  • PDF

Hybrid III 5% 성인 여성 더미의 유한요소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Finite Element Model of Hybrid III 5th Percentile Female Dummy)

  • 이상일;;;박경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8-30
    • /
    • 2010
  • As the automobile industry is developing, the number of deaths and injuries has increased. To reduce the damages from automobile accidents, the government of each country proposes experimental conditions for reproducing the accident and establishes the vehicle safety regulations. Automotive manufacturers are trying to make safer vehicles by satisfying the requirements. The Hybrid III crash test dummy is a standard Anthropomorphic Test Device (ATD) used for measuring the occupant's injuries in a frontal impact test. Since a real crash test using a vehicle is fairly expensive, a computer simulation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 is widely used. Therefore, a detailed and robust F.E. dummy model is needed to acquire more accurate occupant injury data and behavior during the crash test. To achieve this goal, a detailed F.E. model of the Hybrid III 5th percentile female dummy is constructed by using the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in this research. A modeling process is proposed to construct the F.E. model. The proposed modeling process starts from disassembling the physical dummy. Computer Aided Design (CAD) geometry data is constructed by three-dimensional (3-D) scanning of the disassembled physical dummy model. Based on the geometry data, finite elements of each part are generated. After mesh generation, each part is assembled with other parts using the joints and rigid connection elements. The developed F.E. model of dummy is simulated based on the FMVSS 572 validation regulations. The results of simulation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hysical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