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straw management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7초

오이 촉성재배와 반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 및 시비관리기술 평가 (Evaluation of Soil and Fertilizer Management Techniques Applied by Farmers in Forcing and Semi-forcing Cucumber Cultivation Facilities)

  • 이주영;장병춘;성좌경;이수연;김록영;이예진;박양호;강성수;현병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83-991
    • /
    • 2012
  • 본 연구는 현재 오이재배농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우수한 기술을 파악하고 체계화하여 다른 오이재배농가의 고품질 오이생산 및 소득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그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오이 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조건은 하성평탄지 사양질 내지 식양질 토양이었고, 유효토심은 60~100 cm, 작토심은 20~28 cm이었다. 오이 반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조건은 하성평탄지 내지 곡간지에 위치한 사양질 또는 사력질 토양으로, 유효토심은 50~100 cm, 작토심은 20~28 cm이었다. 오이 촉성재배 농가들의 토양관리는 볏짚 $3,000{\sim}15,000kg\;ha^{-1}$을 시용하고, 밑거름으로 퇴비, 유박, 파쇄목, 화학비료 등을 시용하였으며, 이들의 3요소 성분 (질소-인산-가리)의 평균 시용량은 815-464-529 kg $ha^{-1}$ 이었다. 오이 반촉성재배 농가들은 볏짚을 평균 $3,000kg\;ha^{-1}$ 정도를 시용하였고, 밑거름은 퇴비, 유박, 화학비료 등을 시용하였으며, 이들의 3요소 성분 (질소-인산-가리)의 평균 시용량은 197-135-151 kg $ha^{-1}$ 이었다. 웃거름은 촉성재배농가들의 경우 4종류의 양액을 제조하여 2~3일 간격으로 한 종류씩 관비형태로 시용하였고, 반촉성재배 농가들은 농가마다 다르게 수용성비료들을 용액으로 제조하거나, 자가 제조 발효액 또는 미생물제 등을 2~3일 간격으로 관비형태로 시용하였다. 오이 묘의 정식은 경운 로타리 후 정식하였다. 하우스 내 볏짚의 시용은 월동기 토양온도를 증진시키거나 높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공기의 유통과 뿌리 뻗음을 좋게하고, 특히 토양 중 염류와 영양성분들의 집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이 촉성재배시 호당 평균수량은 $168,000kg\;ha^{-1}$ 이었고, 평균 조수익은 381,000 천원 $ha^{-1}$ 이었으며, 반촉성재배 시 평균수량은 $115,000kg\;ha^{-1}$ 으로, 평균 조수익은 177,000 천원 $ha^{-1}$ 이었다. 농가의 소득은 월동기인 12~ 3월의 오이 가격이 높아 농가소득에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밭의 볏짚 지표피복의 부유사량 저감효과 평가 방법 (Evaluation of Modeling Approach for Suspended Sediment Yield Reduction by Surface Cover Material using Rice Straw at Upland Field)

  • 박윤식;금동혁;이동준;최중대;임경재;김기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8-114
    • /
    • 2016
  • Sediment-laden water leads to water quality degradation in streams; therefore, best management practices must be implemented in the source area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ion. Field monitoring was implemented to measure precipitation, direct runoff, and sediment concentrations at a control plot and straw-applied plot to examine the effect on sediment reduction in this study. A hydrology model, which employs Curve Number (CN) to estimate direct runoff and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to estimate soil loss, was selected. Twenty-five storm events from October 2010 to July 2012 were observed at the control plot, and 14 storm events from April 2011 to July 2011 at the straw-applied plot. CN was calibrated for direct runoff, and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ere 0.66 and 0.68 at the control plot. Direct runoff at the straw-applied plot was calibrated using the percentage direct runoff reduction. The estimated reduction in sediment load by direct runoff reduction calibration alone was acceptable. Therefore, direct runoff-sediment load behaviors in a hydrology model should be considered to estimate sediment load and the reduction thereof.

시비관리 및 생 볏짚 처리가 수박연작 시설재배지 토양에 미치는 영향 (Fertilizer Management Practices with Rice Straw Application for Improving Soil Quality in Watermelon Monoculture Greenhouse Plots)

  • 안병구;이영한;이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5-82
    • /
    • 2010
  • 수박재배에 적합한 양분함량보다 약 3배 이상 높고, 7년간 수박을 연작해온 시설 재배지에서 시비관리 및 생볏짚을 연용하면서 토양 중 염류경감 효과와 수박시들음증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관행구, 시비관리구, 시비관리 및 5, 10, 15 ton $ha^{-1}$ 생볏짚 처리구로 나누어 3년간 실시하였다. 유기물함량은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단지 시비관리구에서만 감소하였다. 토양 pH는 관행구 및 시비관리구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시비관리-볏짚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시험 3년차부터 10, 15 ton $ha^{-1}$ 시비관리-볏짚처리구에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 즉 $Ca^{2+}$, $Mg^{2+}$, $K^+$, 중 $Ca^{2+}$$Mg^{2+}$의 함량과 수용성 음이온, ${NO_3}^-$, $Cl^-$, ${SO_4}^{2-}$, ${PO_4}^{3-}$의 함량은 시비관리구 및 시비관리-볏짚처리구에서 상당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시비관리-볏짚처리구에서 생볏짚의 처리량과는 관계없이 시험 1년차에 많은 양이 감소한 후, 2~3년차에서는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환성 $K^+$ 함량은 시비관리구에서 다고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시험기간 동한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양이온과 음이온의 함량변화와 관계가 깊은 전기전도도(EC)를 조사한 결과 수용성 음이온 함량변화와 같은 경향을 보이며 감소하였다. 또한 수박생육과 관련하여 수박시들음증 발생률은 관행구에서 최고 약 20%까지 발생하였으나, 시비관리와 함께 생볏짚을 10 ton $ha^{-1}$ 이상 사용하면 최고3.5%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Assessment of Methane (CH4) Emissions from Rice Paddy and Crop Residues Burning in 2011 with the IPCC Guideline Methodology

  • Choi, Eun Jung;Lee, Jong Sik;Jeong, Hyun Cheol;Kim, Gun Yeob;So, Kyu 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75-578
    • /
    • 2013
  • Rice cultivation in the paddy field and the burning of crop residues have been identified as the important sources of methane emission in agricultural sector. This study aimed at assessment of the methane emission from croplands in the year of 2011 with the IPCC guideline methodology. Methane from rice cultivation was emitted 6,813 $CO_2$-eq Gg in 2011. According to the water management, methane emission amounts by continuously flooded and intermittently flooded were 1,499 and 5,314 $CO_2$-eq Gg, respectively. Methane emission by crop residues burning was highest in red pepper and followed by rice straw, pulses and barely in 2011. Methane emission by field burning was very little compared with rice cultivation.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서의 큰기러기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iotope Structure of Wintering Plac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nser fabalis in Cheongna Area, Incheon Free Economic Zone, Korea)

  • 박병구;한봉호;이경재;곽정인;임성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5-315
    • /
    • 2013
  • 본 연구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도래하는 큰기러기의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큰기러기 월동지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청라지구 비오톱의 주요 유형은 갈대습지 $6,093,762m^2$(47.8%), 볏짚이 없는 논 $2,927,916m^2$(23.0%), 볏짚이 있는 논 $1,915,655m^2$(15.0%)이었으며, 얼음이 있는 논, 건조초지 등이 일부 분포하였다. 2005년 2월 13일 현장조사 결과 청라지구에서 관찰된 전체 야생조류는 총 33종 6,534개체이었으며, 이 중 큰기러기는 총 5,128개체이었고 출현한 전체 종 중 78.5%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다. 큰기러기 이동경로 분석 결과, 일출 전 후를 기점으로 잠자리에서 채식지로 이동하였고, 일몰 전 후를 기점으로 채이장소에서 잠자리로 이동하였다. 큰기러기의 행동특성과 비오톱 유형의 관계를 종합해보면, 갈대습지에서 큰기러기 개체군의 출현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얼음이 녹은 무논에서 큰기러기의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갈대습지에서 큰기러기는 식물의 뿌리 및 열매를 채식하였으며, 얼음이 녹은 무논에서는 낙곡 채식, 휴식, 수면하는 등 다양한 행태를 보였고 볏짚이 있는 논과 볏짚이 없는 논에서는 낙곡 채식 및 휴식을 하였다. 큰기러기의 출현 개체수는 논에서는 논경작지의 유형보다 낙곡 유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경작지 밭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지표피복재 적용 (Application of the Surface Cover Materials for Reduction of NPS Pollution from Actual Cultivation)

  • 신민환;장정렬;정영훈;금동혁;원철희;이수인;임경재;최중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3호
    • /
    • pp.31-38
    • /
    • 2014
  • Four actual cultivations were prepared and a variety of soybean was cultivated. A H-flume, an automatic water level gauge and an automatic water sampler were installed at the outlet of each plot equipped for the measurement of flow rate and its water quality. The amount of rainfall of the study area in 2013 was measured as 975.6 mm which was much lower than the annual average rainfall of 1,271.8 mm, resulting in less occurrences in rainfall-runoff events. Rainfall-runoff events were occurred three times during the rainfall event of 4~5 July, 23 and 24 August. The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ion discharge of the plots and the reduction effect of the selected BMPs were analyzed during these events. The reduction effect of straw mat and soil amendments (Polyacrylamide (PAM) and Gypsum) on runoff ratio ranged between 38.2 and 92.9% (average 71.6%). The NPS pollution load reduced between 27.7 and 95.1% (average 70.0%) by the application of rice straw mat and soil conditioner when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plot. Soybean yield (2,133.3 kg/ha) of the straw mat covered plots increased by 14.3% when compared with control (1,866.7 kg/ha). The effect of straw mat on the yield was not economically viable if the material and accompanying labor costs were considered.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on different soil textures and crop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fundamental reference for the expansion of the results to the application nationwide and the development of NPS pollution management policies.

유럽의 유기축산 사례 및 우리나라 유기축산의 발전 방안 (Case Studies of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Europe and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Korea)

  • 안종호;조익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5-92
    • /
    • 2003
  •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northern European regions has been expanded with the major animals of large ruminants using pastures and grass silages.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some European countries has been in rather short of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ivestock farming, however since the gap of productivity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livestock farming has been reported to be reduced when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would improve, organic livestock farming has a potential to develop as a clean livestock farming in the future. We expect that organic livestock farming be propelled to a future model of livestock farming in Korea too. As the schemes for realization of organic livestock farming in Korea, firstly a system for the consistent supply of organic feed should be established. Mountainous areas that represents 63 % of total area of Korea could be utilized for the production of organic forages. Uncultivated rice paddy and upland agricultural field could also be used for this purpose. The active application of organic agricultural by-products such as organic rice straw, organic rice bran and SO forth can be considered for organic livestock farming. Secondly, the replacement of anti-biotics for the management of animal diseases should be developed using natural products. Plants and microbes would be good sources of natural products. Thirdly, the realization of organic livestock farming may require a system for certification of the organic farms and consequently the experts to work on.

  • PDF

사질논에서 벼 재배기간 중 시비방법별 양분수지 (Nutrient Balance during Rice Cultivation in Sandy Soil affected by the Fertilizer Management)

  • 노기안;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3
    • /
    • 1999
  • 상수원 보호지역내 하성충적토의 사력질 벼 재배 논에서 표준시비 농가관행시비, 우분, 우분퇴비, 볏짚퇴비+화학비료감비, 볏짚환원+표준시비 그리고 무비구의 7처리를 하여 벼 재배 과정동안 시비관리방법에 따른 수량과 양분수지 특성을 조사하여 환경친화적 영농방법 설정을 시도하였다. 시비방법에 따른 정조수량은 추천시비구(100)와 우분구(100)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화학비료 감비구(98) 볏짚환원구(98), 우분퇴비(94), 농가관행구(94)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질소수지는 농가관행구에서 $+39kg\;ha^{-1}$였으며. 유기물 처리구는 $+44{\sim}76kg\;ha^{-1}$로서 동일 포장조건에서 유기물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양분수지의 +값이 커, 질소의 지하용탈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무기태 질소의 지하용탈량은 화학비료만 시용한 추천시비구($58kg\;ha^{-1}$)와 농가관행구($63kg\;ha^{-1}$)에서 가장 높았으며, 퇴비+화학비료 감비처리나 우분이나 우분퇴비로서 화학비료를 대체한 처리는($23{\sim}27kg\;ha^{-1}$) 화학비료 전용구(R. CF)의 절반 이하 수준($25kg\;ha^{-1}$)까지 줄일 수 있었다. 벼 재배기간중 인산의 지하용탈은 거의 없었다. 우분퇴비구(CMC)의 인산의 수지는 $+30kg\;ha^{-1}$으로 장기 연용에 따라 토양내 인산 축적이 가능성이 있을것으로 예측되며, 다른 처리의 인산 수지는 거의 0에 가까워 벼농사에서의 인산의 시비균형은 비교적 잘 이루어졌다. 칼리의 양분수지는 모든 처리에서 음(-)의 값을 보여 토양내 칼리가 용출되어 작물에 의해 흡수,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화학비료 위주의 추천시비 방식과 양평군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관행적 시비방법을 우분과 같은 유기질 비료로 적절히 대체 시용하거나, 볏짚퇴비의 환원 등을 통해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벼의 수량을 높이면서 오염물질의 지하 유출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 PDF

유기물 시용에 의한 벼논에서의 양분 유출경감 (Reduction of Nutrient Infiltration by Supplement of Organic Matter in Paddy Soil)

  • 노기안;김필주;강기경;안윤수;윤성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6-203
    • /
    • 1999
  • 상수원 보호지역내 하상충적토, 사력질의 벼 재배 논에서 표준시비, 농가관행시비, 우분, 우분퇴비, 볏짚퇴비+화학비료감비, 볏짚환원+표준시비 그리고 무비구의 7 처리를 하여 벼 재배 과정 동안 비료성분의 지하 용탈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정수중의 질산태 질소의 농도는 인근 농경지로부터 시비질소의 유입이 시작된 이앙일에는 $1.3mg\;l^{-1}$, 물떼기 이후에는 $0.4mg\;l^{-1}$로 낮았으나 벼생육기에는 $4{\sim}6mg\;l^{-1}$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벼 재배기간 동안 침출수 중 질산태 질소의 농도는 농가관행구가 가장 높았으나 최고 농도는 $7.1mg\;l^{-1}$로서 음용수의 질산태 질소 한계농도인 $10mg\;l^{-1}$보다 낮았다. 표준시비, 농가관행, 퇴비+화학비료 감비, 볏짚환원+표준시비, 우분, 우분퇴비, 무비구의 벼 재배기간중 질소의 총 투입량은 각각 163, 202, 181, 224, 147, 153, $44kg\;ha^{-1}$이었으며 처리별 질소의 지하 용탈량은 각각 59, 63, 25, 41, 24, 27, $17kg\;ha^{-1}$로서 퇴비+화학비료 감비나 우분이나 우분퇴비로서 화학비료를 대체한 처리는 표준시비나 농가관행 시비구에 비교하여 질소의 지하 용탈을 50%나 줄일 수 있었으며 볏짚환원+표준시비구는 화학비료만 시용한 표준시비구에 비교하여 투입된 질소의 양은 많았지만 지하 용탈량은 30%나 적었다. 또한 화학비료만 사용한 표준시비구나 농가관행구를 제외한 나머지 유기물 시용구에서는 관개수로 논에 곰급된 질소의 양보다 논으로부터 지하로 용탈된 질소양이 $13-46kg\;ha^{-1}y^{-1}$나 적어 화학비료와 함께 유기물을 투입하거나 우분이나 우분퇴비로서 질소비료를 대체한 경우 벼농사는 수질 오염보다는 오히려 질소성분을 $13-46kg\;ha^{-1}y^{-1}$나 정화하는 공익적 기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전처리구의 침출수와 관정수에서 인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칼리는 화학비료 시용량이 많은 추천시비구에서 공급량의 약 57%가 용탈되었고 유기물 처리에 의해 칼리의 용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벼 재배기간 중 기존의 화학비료 위주의 시비체계에서 축산분뇨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서 화학비료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볏짚등 유기자원의 환원을 통해 양분의 지하용탈에 의한 수계오염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참외 연작장해(連作障害) 대책(對策)을 위(爲)한 효과적(效果的)인 토양관리(土壤管理) (Soil Management Measures for Continuous Melon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

  • 전한식;강상재;박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1-356
    • /
    • 1997
  • 시설(施設) 참외는 이른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繼續) 재배(栽培)하여 높은 소득(所得)을 올릴 수 있으나 뿌리혹선충(線蟲) 발생등(發生等) 연작(連作) 장해(障害)로 인(因)하여 계속(繼續) 재배(栽培)가 불가능(不可能)하여 그 원인(原人)과 효과적(效果的)인 토양토양관리(土壤土壤管理) 방법(方法)을 연구(硏究)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참외연작지(連作地)의 시비량조사(施肥量調査), 토양분석(土壤分析), 객토실시(客土實施) 효과(效果) 및 참외 수확(收穫) 후(後)의 토양관리(土壤管理) 방법(方法)에 따른 효과(效果)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참외 연작장해(連作障害)는 3, 4년(年) 이상(以上) 연작시(連作時) 심해지며 장해(障害) 요인(要因)으로 염농도(鹽濃度) (EC)는 2.50 dS/m 이상(以上)에서 연장 재배가 불가능하였으며 연작장해(連作障害) 대책(對策)으로 실시(實施)하는 객토(客土)는 10a당(堂) 500 M/T를 넣고 토양시비(土壤施肥) 관리(管理)는 볏짚은 30%, 3요소(尿素)는 10% 정도(程度) 더주었을때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그때 상품과(商品果) 및 당도(糖度)는 적어도 2년(年) 동안 각각(各各) 10%, $2.6^{\circ}$(Brix)증가 하였다. 참외 수확후(收穫後) 토양관리(土壤管理)는 참외를 6월하순(月下旬)에 수확(收穫)한 후(後) 벼재배(栽培) 하는 것이 연작(連作) 장해(障害)를 막는 방법(方法)으로 가장 좋았다. 부득이한 경우(境遇) 참외를 7-8월에 수확(收穫)한 후(後) 고온기(高溫期)에 40일간(日間) 담수(湛水) 태양열(太陽熱) 처리(處理)하거나 참외를 9-10월에 수확(收穫)한 후(後) 포크레인으로 심토(心土) 50cm이상(以上)까지 반전(反轉)하면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