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seed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43초

베트남 지방수집종 벼의 종실특성변이 (Variation of Grain Traits in Landraces of Rice Collected from Vietnam)

  • 김현호;조재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121-125
    • /
    • 1997
  • 베트남으로부터 수집된 총 437 벼 지역종을 사용하여 총 종자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SDS-PAGE와 phenol 반응을 수행하였다. 세 가지 다른 형태의 glutelin a subunit이 검출되었다. 60kDa의 분자량인 wx 단백질 수준은 세 그룹으로 분리되었는데, 이는 non-glutelin, intermediate, 그리고 glutelin 전분 유형이다 종자 저장 단백질과 wx 단백질의 변이에 의한 실험결과 지역종은 7그룹으로 구분된다. Glutelin a subunit의 A와 B형의 빈도분포는 벼 지역종이 수집된 위도에 따라서 변하였다. 페놀 반응에 대한 지리학적인 구배가 검출되었다.

  • PDF

벼 키다리병 방제에 관한 황토유황의 종자소독 효과 (Effect of Rice Seed Disinfection of Loess-sulfur on the Suppression of Bakanae disease caused by Fusarium fujikuroi)

  • 소현규;김용기;홍성준;한은정;박종호;심창기;김민정;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45-355
    • /
    • 2017
  • 본 연구는 황토유황을 활용하여 벼 키다리병 발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종자소독조건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키다리병에 이병된 '신동진' 품종 벼 종자를 공시하였고 황토유황 농도, 침지온도, 시간, 온탕여부를 구분하여 실내 및 온실검정을 통해 침지시간은 48시간, 침지농도는 1%로 최적 소독조건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모판과 포장시험을 수행하여 온탕처리 후 $20^{\circ}C$, 1% 황토유황에 48시간 침지 처리구와 $30^{\circ}C$, 1% 황토유황에 48시간 단독 침지할 때 가장 효과가 높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위 처리조건으로 소독한 종자가 육묘, 이앙, 출수기를 거치면서도 100%의 높은 방제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circ}C$에서 1% 황토유황으로 침지한 처리구에서는 포장에서 78.2%의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또한, 온탕소독만 수행한 처리구에서도 $60^{\circ}C$, 10분간 충실히 수행될 경우 효과적인 벼 키다리병 방제가 가능함을 보여주었지만 온탕처리 후 황토유황으로 추가 침지함으로서 많은 양의 종자를 소독할 때 좀 더 나은 키다리병 방제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농가에서 온탕소독기와 종자소독기 둘 중 한가지만 구비하더라도 황토유황을 이용하여 충분한 소독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보다 쉽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제조방법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황토유황의 특성상 농가의 경영비 절감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식량작물 종자세 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actical Methods to Control Seed Vigour in Several Food Crops)

  • 김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8-138
    • /
    • 1994
  • 발아의 신속성과 균일성을 높이기 위하여 벼, 보리, 콩 종자에 대하여 몇가지 화학물질처리와 종자의 흡습건조처리를 통하여 종자퇴화지연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한 생장촉진제 및 노화지연제간에 경미한 차이는 있었으나 GA$_3$가 벼의 발아율을 높인것 외에는 뚜렷한 종자세 개선의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노화종자를 PEG용액에 흡습건조처리할 경우 용액농도가 높을수록 평균발아일수가 길어지고 발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나 발아율 유지의 효과나 발아균일성향상의 효과는 없었다. 저온, 과습 및 삼투조건 등 불량한 환경에 대한 발아반응도 미미하였다. 어느 처리도 종자세 개선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GA$_3$ 처리가 전체적으로 발아반응이 그 중 좋은 편이었다.

  • PDF

Rice Gruel in Chinese Food and Culture

  • Fan, Zhihong
    •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동아시아의 주식문화
    • /
    • pp.55-60
    • /
    • 2003
  • R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ereal in China. The seed of rice unearthed from ancient tombs proved that rice cultural has a history of more than 7,000 years in south China. The word "rice" was found engraved on turtle-bone scriptures of 1,500 BC. tn many ancient Chinese scriptures, rice is among the most important "Five Cereals", which includes millet, wheat, soy bean, rice and sorghum.(중략)

  • PDF

한국산(韓國産) 주요작물(主要作物)의 종자전염성(種子傳染性) 진균(眞菌)에 관(關)한 조사(調査) (Survey on Seed-borne Fungi in Some Important Crops of Korea)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75-283
    • /
    • 1982
  • 우리나라 주요작물(主要作物)의 종자전염균(種子傳染菌)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벼, 콩, 보리, 참깨와 시판중(市販中)인 12종(種)의 주요채소류(主要菜蔬類)에서 모두 144개(個)의 종자시료(種子試料)를 수집(收集)하여 종자건전검사(種子健全檢査)를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벼, 콩, 보리, 종자(種子)에서는 각각(各各) 18종(種), 15(種), 7(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다. 벼의 변색종자(變色種子)에서는 Epicoccum purpurascens, Pyricularia oryzae, Trichoconiella padwickii가 많이 검출(檢出)되었고, 콩종자(種子)에서는 탄저병균(炭疽病菌)인 Macrophomina phaseolina가 우리나라의 콩에서는 처음으로 검출(檢出)되었다. (2) 참깨종자(種子)에서는 12종(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으며 그 중(中) Alternaria속(屬)과 Corynespora cassiicola가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3) 12종(種)의 시판(市販) 채소종자(菜蔬種子)에서는 모두 21종(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는데 특(特)히 Alternaria속(屬), Colletotrichum속(屬)과 Fusarium속(屬)이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공시(供試)한 시판(市販) 채소종자(菜蔬種子)의 시료중(試料中)에는 각종(各種) 병원균(病原菌)에 심(甚)하게 오염(汚染)되어 낮은 발아율(發芽率)과 유묘감염(幼苗感染)을 일으키는 것이 있었다.

  • PDF

Molecular and Cellular Studies of Seed Storage Proteins from Rice and Wheat

  • Kim, Woo-Taek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64-72
    • /
    • 1989
  • Near full length cDNA clones encoding the rice seed storage protein, prolamine, were isolated and divided into two homology classes based on cross-hybridization and DNA sequencing analysis. These cDNA clones contain a single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putative rice prolamine precursor(M.W.=17,200) possessing atypical 14 amino acid signal peptide. Clones of these two homology classes diverge mainly by insertions/deletions of short nucleotide stretches and point mutations. The deduced primary structures of both types of prolamine polypeptides are devoid of any major tandem repetitive sequences, a feature prevalent in other cereal prolamines. No significant homology teas detected between the rice prolamine and other cereal prolamines, indicating that the rice gene evolved from a different ancestor that gave rise to other cereal prolamine genes. Developing wheat and rice endosperms were examined using ultrathin sections prepared from tissues harvested at various days after flowering. By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techniques, wheat prolamines are localized within vesicles from Golgi apparatus and in homogeneous regions of protein bodies. The involvement of the goli apparatus in the packaging of wheat prolamines into protein bodies indicates a pathway which differs from the mode of other cereal prolamines and resembles the mechanism employed for the storage of rice glutelin and legume globulins.

  • PDF

Development of male sterile transgenic lines in rice by tapetum specific expression of barnase gene

  • Kumar, Pravin;Kaur, Kulwinder;Purty, Ram Singh;Mohan, Madan;Burma, Pradeep Kumar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364-371
    • /
    • 2017
  • The key to development of barnase-barstar transgene based hybrid seed technology is the availability of tightly regulated tapetum specific promoter, as any leaky expression of the barnase gene leads to several unintended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two different tapetum specific promoters i.e. promoter of the RTS gene isolated from rice cultivar IR64 and the OsG6b promoter from japonica rice cultivar Hayayuki to express the barnase gene in rice transgenic lines. While viable male sterile transgenic lines could not be obtained with RTS promoter we could develop single copy male sterile lines when the barnase gene was expressed under the OsG6b promoter.

앵미의 온도와 파종깊이 및 토양수분에 따른 발아와 유묘생육의 특성규명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ed Rice by Temperatures and Seeding Depths)

  • 조영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19-323
    • /
    • 2013
  • 앵미의 온도와 파종깊이 및 토양수분에 따른 발아와 유묘생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앵미 2종과 대안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조건에서 발아시험 결과 앵미가 대안벼보다 발아율이 높았고 발아속도도 빨랐으며 종자세가 우수하였다. 2. 저온조건에서는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발아율이 높았고, 중온조건에서는 토양수분 45% 조건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3. 영천앵미의 발아 특성은 파종심도 6 cm 처리구에서는 저온과 중온에서는 발아를 하지 않았으나 고온에서는 발아를 하였다. 4. 합천앵미와 영천앵미의 발아 특성중 영천앵미가 합천앵미보다 발아율 및 종자세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볍씨 최아 및 최아 손상정도에 따른 초기생육변화 분석 (Ric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Seed Germination Length and Damage)

  • 최명구;정재혁;이현석;양서영;이충근;황운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183-189
    • /
    • 2021
  • 볍씨 종자의 최아정도 및 최아 손상정도에 따른 출현율 및 초기생육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볍씨 최아 길이가 길수록 출현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18℃ 이상으로 높을수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최아 길이가 길수록 초장신장 속도가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21℃ 이상으로 높을 시 최아길이 3 mm에서 초장이 크게 감소하였다. 3. 최아길이에 따른 엽수변화는 없었으나 줄기 두께 및 줄기 건물중, 뿌리 건물중은 최아길이가 길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최아 손상정도가 증가할수록 출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폭은 증가하으며 엽수변화는 없었으나 줄기 두께 및 줄기 건물중, 뿌리 건물중은 최아 손상도가 길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최아 길이 및 종자 손상정도별 뿌리 건물중과 줄기 건물 중 변화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