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paddies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9초

갯벌과 간척농지의 수질 및 대기조절가치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unctional Value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Atmospheric Regulation in Coastal Wetland and Rice Paddy Ecosystems)

  • 표희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0권1호
    • /
    • pp.95-126
    • /
    • 2001
  • Functional value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atmospheric regulation in coastal wetland and rice paddy ecosystems are quantified, and an illustration is given on how to integrate biophysical parameters into a valuation framework. This is one of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economic analysis for wetland preservation versus wetland conversion to agricultural use. This paper includes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estimating functional values of environmental ecosystems, and the integration of biophysical data and replacement cost method employed. Specific phys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data on ecosystem functions and services in coastal wetlands and rice paddies are addressed for evaluating their values in economic terms. In particular this paper indicates double counting problems and overestimation in the previous studies, and demonstrates how to avoid them and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valuation process involving a least-cost method, thus enables an accurate integration of the coastal wetland ecology and wetland economics. As a result which is far away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total economic present value of wastewater assimilation by coastal wetland is estimated at 7,484,640 won/ha, and the net present value of positive effect for atmospheric regulation, negative effects for air pollution and water pollution by rice paddy is estimated at -37,934 won/ha, assuming that resources are infinitely long-lived and the annual value and the rate of discount (10%) is constant every year. In conclusion, for furth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unctional values for natural resources it is very noteworthy that a general equilibrium framework that could directly incorporat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ecosystem functions and services would be preferred to the partial equilibrium framework.

  • PDF

묵논에 형성된 자운늪의 유형분류 및 기능 평가 (Wetland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an Abandoned Rice Paddy Ja-un Wetland)

  • 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70
    • /
    • 2003
  •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wetland types and evaluate functions of a wetland created by abandoned rice paddies. The case study area is Ja-un wetlan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this study, wetland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basic elements of wetlands such as hydrology,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upon field surveys, drawing maps and publication, and modified-RAM which can evaluate the general functions and conservation values of wetlands. The analysis shows that several types of wetlands were identified, such as Palustrine/ Perennial/ Hydrophytes, Palustrine/ Perennial/ Openwater, Palustrine/ Seasonal/Herbal, Palustrine/ Seasonal/ Shrub and Scrub, Palustrine/ Seasonal/ Hydrophye, and Riparian/ Seasonal/ Shrub and Scrub in the Ja-un wetland. The average level of functions of the wetlands is very "HIGH", and it is recommended that prompt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taken.

간질(肝蛭)의 중간숙주(中間宿主)인 애기물달팽이의 생태(生態) (The life history of lymnaea viridis, the intermediate host of fasciola hepatica, in the field)

  • 위성하;박승주;이정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15-518
    • /
    • 1991
  • A field study of Lymnaea viridis, the intermediate host of Fasciola hepatica, was carried out in the eastern Chonnam area. The snail was distributed all over the place. Their major habitats were rice paddies (60.8%), followed by brooks (23.2%), irrigation canals (8.6%), and drains (5.6%). Other minor habitats included natural ponds (1.5%), lakes (0.4%), and rivers (0.1%). L. viridis was living in wet clay soil, occasionally entering water. The snails discharged egg masses when the temperature was $15{\sim}20^{\circ}C$, and the number of the snails was the highest late in October. At $9^{\circ}C$ the snails were not found on the mud: they were present deep in water or at the base of rice stubbles. These hibernation sites were discussed with the epidemiology of fascioliasis.

  • PDF

Comparison of Methane Emissions by Rice Ecotype in Paddy Soil

  • Tae Hee Kim;Jisu Choi;Seo Young Oh;Seong Hwan Oh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5-145
    • /
    • 2022
  • South Korea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increased year by year, resulting in a total emission of 727.6 million tons of CO2 eq in 2018, a 2.5% increase compared to 2017. Among them, the agricultural sector emitted 21.2 million tons of CO2 eq., accounting for 2.9% of the total. Among the greenhouse gases emitted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a particularly problematic is methane gas emitted from rice paddies. Methane is one of the important greenhouse gases with a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that is about 21 times higher than that of carbon dioxide due to its high infrared absorption capacity despite its relatively short remaining atmospheric period. Since the pattern of methane gene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rice variety and ecological type, research related to this is necessary for accurate emission calculation and development of reduction technology. Accordingly,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greenhouse gas emission according to rice varieties and ecology types. As for the rice eco-type cultivar, early maturing cultivar (Haedamssal) and medium-late rice cultivar (Saeilmi) were used. Haedamssal was transplanted on May 25 and June 25, and Saeilmi was transplanted on June 10 and June 25. The amount of methane generated according to the growing da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planting period was earlier. The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was that Haedamssal showed higher methane production than Saeilmi. The total CH4 flux in the saeilmi was 18.7 kg·h-1(Jun 10 transplanting), 12.4 kg·h-1(Jun 25 transplanting) during rice cultivation. Lower methane emission was observed in Saeilmi than in Haedam rice. In addition, the earlier the planting period, the higher the methane emission.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first year of research, and it is planned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 between double cropping and single cropping using wheat cultivation after harvest for each ecological type.

  • PDF

외래잡초 미국좀부처꽃(Ammannia coccinea)의 확산과 생육지 특성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Exotic Weed Ammannia coccinea in Korea)

  • 황선민;길지현;김영하;김성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92-298
    • /
    • 2014
  • 본 연구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외래잡초이며 농경지에서벼와 경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좀부처꽃(Ammannia coccinea)의 분포와 생육지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여, 관리 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미국좀부처꽃은 자연상태의 생육지에서 넓은 면적으로 우점 분포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라남도,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등 전국적으로 흩어져 분포하고 있다. 생육지 유형은 크게 논 주변부, 묵논, 하천습지, 저수지 등 4가지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지점들 중 많은 지점이 농경지 주변의 습지 지역으로 벼농사를 위해 농수로가 연결되어 있는 환경이었다. 다수의 조사지점에서 농수로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미국좀부처꽃이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미국좀부처꽃은 물길을 따라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좀부처꽃의 생육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27과 51속 64종 5변종 등 모두 69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일년생식물(Th)이 36분류군, 52%로 가장 높게 출현하여 미국좀부처꽃의 생육지가 교란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Variation and Trends of Irrigation Requirements of Rice Paddies in Korea

  • Nkomozepi, Temba Darlington;Chung, Sang-Ok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33-239
    • /
    • 2013
  • Understanding the temporal variability of agricultural parameters derived from historical climate data is important for planning in agriculture. Therefore, this study assessed the magnitude and recent trends of the transpiration ratio defined as the crop water use per harvested yield for the period from 1980 to 2010. The crop water use was estimated using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s Crop Wat model for eight administrative provinces in Korea. The temporal trends and spatial uncertainty were explored using the Mann-Kendall and Theil Sen's methods. The regional average rice yield was $6.31t\;ha^{-1}$(range 5.9 to $6.9t\;ha^{-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ce yield in Korea increased by $26kg\;ha^{-1}yr^{-1}$. Overall, the regional average transpiration ratio was $1,298m^3t^{-1}$ (range 1,162 to $1,470m^3t^{-1}$). From 1980 to 2010, the transpiration ratio decreased by $8.2m^3t^{-1}$ (range 2.7 to $14.4m^3t^{-1}$), largely as a result of the increasing yield. The statistical approach to historical data used in this study also provides a basis for simulating the future transpiration ratio.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의 생리·생태학적 특성 및 논 잡초방제용으로 투입된 왕우렁이의 집단패사 원인 (The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and the Cause of Their Massive Death used for Weed Control in Wet Rice Paddies)

  • 이상범;이상민;고병구;이초롱;김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97-316
    • /
    • 2018
  •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생리 생태적 특성 및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의 집단패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3년 국내에 도입되어 양식과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왕우렁이의 종(species)은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Ampulariidae과, Pomacea속에 속하는 Pomacea canaliculata Lamarck이다. 왕우렁이의 생리 생태적 특성조사 결과 왕우렁이 성체들이 국내에서 월동되고 있으나 왕우렁이 알로는 월동되지 못하고 있다. 수컷과 암컷의 비율은 1:1.99~2.33배로 암컷의 구성비가 높았다. 생장량은 1일에 87.7 mg이었으며, 껍질은 각고가 0.31 mm, 각경이 0.33 mm씩 자랐다. 왕우렁이의 생장은 먹이의 조건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매우 빠른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건조에 대한 저항성은 매우 강하여 3개월까지 생존율이 약 80%에 달하였다. 왕우렁이 서식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다량의 서식 밀도에서는 약간의 영향을 줄 수는 있겠으나,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되는 밀도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벼 이앙초기에 투입되는 왕우렁이가 2~3일 이내에 일시에 집단 패사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미소생물인 패충류(참씨벌레)에 의하여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패충류 (참씨벌레)에 의하여 패사되는 비율은 밀도에 따라 2.86%와 5.71%로 매우 미미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은 벼 이앙시기가 빨라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추운 저온의 날씨로 인하여 논의 흙속으로 들어가서 죽거나 일부는 새의 먹이가 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다량이 죽은 것으로 오해되었다.

휴대용 기체분석기와 자동 개폐 챔버를 활용한 벼논에서의 메탄 플럭스 관측 (Observation of Methane Flux in Rice Paddies Using a Portable Gas Analyzer and an Automatic Opening/Closing Chamber)

  • 최성원;강민석;김종호;손승원;조성식;박주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6-445
    • /
    • 2023
  • 벼논에서 배출되는 메탄은 주로 폐쇄형 챔버법 또는 에디 공분산법을 이용하여 관측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측정법들이 갖고 있는 장점은 활용하고 단점은 보완할 수 있는 레이저 기반의 휴대용 기체 분석기(LI-7810)와 자동 개폐식 챔버(Smart Chamber) 를 결합한 새로운 관측 기술을 소개하였다. 벼의 최대 생장 높이에 맞춰 원통 형태의 칼라를 제작하여 측정 보조 도구로 활용하였다. 시범 관측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일대의 영농형 태양광 설비가 갖춰진 논에서 2021년 8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이루어졌다. 벼논에서의 메탄 관측을 통해 얻게 되는 가장 일반적인 그래프는 벼의 통기조직을 통한 배출로 인해 메탄의 혼합비가 일정한 기울기로 꾸준히 증가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측정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측정과 동시에 계산되는 메탄 플럭스 값도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측정이 끝난 후에는 'SoilFluxPro' 라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챔버법에서는 불가능했던 포집된 온실가스 농도의 연속적인 시계열 변화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새 관측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이다. 동시에 좁은 지역에 다양한 처리 조건을 가지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에디 공분산법보다 사용법이 더 간단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노력이 덜하다는 점에서 매력이 있다. 하지만 관측시스템이 여전히 고가이고 그 운용에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다양 한 관측 구역에 여러 개의 칼라를 설치하고 이동하며 측정하는데 인력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새로운 관측 방식이 벼논에서의 메탄 배출 경로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배출량을 정량화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질답(砂質畓)에서 객토원별(客土源別) 객토량(客土量)이 토양(土壤) 및 수도수량(水稻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d Earth Addition on Soil Properties and Rice Yields)

  • 민경범;신원교;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19
    • /
    • 1985
  • 사질답(砂質畓)에서 우량객토원(優良客土源)인 식양토(埴壤土)와 약간 불량(不良)한 양토(壤土)를 각각(各各) 3수준(水準)으로 객토(客土)하고, 객토(客土) 수준별(水準別)로 표준시비(標準施肥) 및 화학성(化學性) 개량(改良)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을 두어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에 대(對)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작토(作土)의 점토(粘土) 함량(含量)을 같은 수준(水準)으로 조절(調節)할 경우 객토원(客土源)의 점토(粘土) 함량(含量)이 낮더라도 객토량(客土量)이 많아지면 감수심(減水深)이 줄어졌다. 객사(客士)는 토양중(土壤中) CEC 및 $SiO_2$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켰고, 화학성(化學性) 개량구(改良區)에서는 pH가 높아지고 Eh는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점토(粘土) 함량(含量)이 낮은 양질(壤質) 객토원(客土源)을 50~80ton/10a 객토(客土)할 경우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에서는 약간 감수(減收)되었고 화학성(化學性) 개량(改良)은 2~4% 증수(增收)되었다. 반면(反面)에 우량객토원(優良客土源) 처리구(處理區)에서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는 1~4%, 화학성(化學性) 개량구(改良區)는 3~8% 증수(增收)되었다.

  • PDF

농약의 노출 평가를 위한 수계예측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Water Model for the Evaluation of Pesticide Exposure)

  • 손경애;김찬섭;길근환;김택겸;권혜영;김진배;임건재;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6-246
    • /
    • 2014
  • 농약은 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 독성 자료 및 환경행적 자료를 통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안전하게 관리가 가능하다면 등록이 결정된다. 환경중 행적을 예측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기상자료, 작물 재배력 및 토양통을 이용하여 butachlor, iprobenfos, carbofuran, tebuconazole을 대상으로 수계 중 잔류농도를 추정하였다. 예측모형으로 과수용 농약은 PA5를, 벼재배용 농약은 RICEWQ와 SCI-GROW를 이용하였다. 수계모니터링에서 butachlor와 iprobenfos의 최대값은 예측모형의 peak 농도보다 낮았고 최소값은 예측모형의 연평균농도보다 낮아 RICEWQ를 벼 재배환경 중 잔류농약의 농도 추정에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양흡착계수가 낮은 carbofuran은 RICEWQ와 SCI-GROW에 적용시 지표수계보다 지하수로의 이동량이 훨씬 많은 것으로 산출되어 RICEWQ는 지하수로의 수계노출농도를 예측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수계 모니터링에서 과수용 농약인 tebuconazole이 검출되지 않아 예측모형으로 산출한 값과 비교하기 어려웠으나 수계를 통한 잔류농약의 추정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