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growth and yield

검색결과 1,093건 처리시간 0.044초

농업용수 수질기준 T-N 항목 설정을 위한 벼생육 실험 (Experiments of Rice Cultivation for Establishment of Total Nitrogen(T-N) Item of Agricultural Water Standards)

  • 최선화;김호일;윤경섭;최이송;오종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1-306
    • /
    • 2004
  • The present water quality standards for agricultural were established without considering the effects of water quality on the safety, growth, yield and quality of crop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rigation water quality on the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of rice, and to acquire basic knowledges to set up water quality standards for irrigation. The field and pot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irrigation water that was previously adjusted four concentrations (control, 5, 10, 20 mg/L) and six concentrations (control, 5, 10, 15, 20, 30 mg/L) by $NH_4NO_3$ solution and replicated three and four times with randomized block desig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organic nutrient of rice plant, rice protein contents and number of panicle tended to increase as the T-N concentration in irrigation water was increased. In addition, grain yield at T-N 10 mg/L and 20mg/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at the field experiment. From the pot experiment at T-N 30 mg/L, the percentage of head rice was slightly lower due to the increase of green kernel and white belly/core kernel.

장기간(長期間)의 비료연용(肥料連用)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ong-Term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 양의석;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33-43
    • /
    • 1986
  • 다년간(多年間) 동일(同一) 비료(肥料)를 시용(施用)한 논에서 시비조건(施肥條件)의 차이(差異)가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함과 아울러 수도(水稻)의 반응(反應)올 형태(形態), 생리(生理), 생육면(生育面)으로 분석검토(分析檢討)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무비구(無肥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는 엽면적(葉面積)과 평균(平均) 생장속도(生長速度)의 감소(減少), 출수지연(出穗遲延), 수수(穗數)와 단위영화수(單位潁花數)의 감소(減少)로 3 요소구(要素區)에 비(比)하여 수량(收量)이 각각(各各) 43%와 53%정도(程度) 감소(減少)되었다. 2. 무인산구(無燐酸區)에서는 토양(土壤) 및 도체(稻體)의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낮았으나 그 결핍증상(缺乏症狀)이 나타날 정도(程度)는 아니었으며 수량(收量) 감수(減收)도 적었다. 3. 무가리구(無加里區)에서는 토양(土壤) 및 도체(稻體)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이 크게 떨어졌으며 1 수영화수(穗潁花數)의 감소(減少)로 삼요소구(三要素區)에 비(比)하여 약(約) 9%의 수량(收量) 감수(減收)가 있었다. 4. 삼요소(三要素)+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는 토양중(土樓中)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및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높았으며 도체내질소(稻體內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이 증대(增大)되고 단위영화수(單位潁花數)와 수수(穗數) 증가(增加)로 삼요소(三要素) 시용구(施用區)보다 6~9% 증수(增收)되었다. 5.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는 질소(窒素), 인산(燐酸)의 흡수량(吸收量) 감소(減少)와 영양생장부진(營養生長不振), 수수(穗數) 및 영화수(潁花數) 감소(減少)로 과실(結實)의 양호(良好)에도 불구(不拘)하고 삼요소구(三要素區)보다 수량(收量)이 약(約) 30% 감소(減少)되었으나 무비료(無肥料)보다는 28%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다단식 시렁을 이용한 벼 어린모 육묘 기술 (Raising of Rice Infant Seedling Using of Shelve)

  • 김상수;전병태;박석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92-496
    • /
    • 1990
  • 비닐하우스 내의 좁은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일시에 대량의 어린묘를 육묘코자 비닐하우스 내에 다단식 시렁을 설치하여 각 시렁 위치별로 묘소질과 본답생육 및 수량 검정을 실시하였던 결과 1. 시렁간격 20cm에서는 육묘일수 10일까지는 시렁 위치에 따른 묘소질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12일 묘에서는 도장으로 이앙상태가 좋지 않았다. 2. 시렁간격 30cm에서는 육묘일수 12일에도 도장현상이 없었으나 문고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3. 관수일수간격 간에는 묘소질 및 이앙상태에 차이가 없었다. 4. 시렁위치에 따른 본답 생육 및 수량에도 차이가 없었다.

  • PDF

벼의 생육기별 수분결핍장애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Stres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Transplanted Rice Plants)

  • 남상용;권용웅;권순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41
    • /
    • 1986
  • Knowledge of the degree of yield reduction due to water stress at different crop growth stages in rice production is important for rational scheduling of irrigation during periods of insufficient water supply. Previous studies to determine the degree of yield reduction duo to water stress suffered from interruptions by rain during experiment. Also the findings did rot relate the degree of water stress to the soil water potential and water deficit status of rice plants. In this study, two years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high yielding rice varieties, an Indica x Japonica (Nampoong) and a Japonica variety(Choochung). These were grown in 1/200$^{\circ}$ plastic pots placed under a rainfall autosensing, sliding clear plastic roof facility to control rainfall interruptio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The two varieties differed in the growth stage most sensitive to water stress as well as the degree of yield reductions. When rice plants were stressed to the leaf rolling score 4 and soil water potential of about - 20 bar at major crop growth stages which included heading, booting, non-effective tillering, panicle initiation and early tillering stages, the yield reductions in the Indica x Japonica variety were 58%, 34%, 27%, 22%, and 21%, respectively, whereas in the Japonica vairety they were 23%, 36%, 1%, 13% and 22%,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 that the recommended drainage during non-effective tillering is valid only for the Japonica variety. Sufficient irrigation at booting, heading and early tillering stages are necessary for both varieties. 2.The two varieties showed visible wilting symptoms when the soil water potential dropped to about - 3.0 bar. The Japonica variety showed more leaf rolling than the Indica X Japonica. However, it had a higher retention of leaf water content and greater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When the soil water potential dropped, the Japonica variety showed leaf rolling score (LRS) 1 at 0 soil-5. 0 bar and LRS 2 at 0 soil -6.0 bar while the Indica X Japonica showed LRS 1 at 0 soil - 5.5 bar and LRS 2at 0 Soil - 9.0 bar. The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was maximum at the second top leaf blade in both varieties at intermediate water stress of 0 soil - 4.5 bar. 3.The number of days that was required for the soil water potential to drop to-3. 0 bar and to - 20.0 bar after drainage of irrigation water from the 20cm deep silty clay loam soil in the pots were 6 and 13 days, respectively for booting stage, and 7 and 11 days, respectively for heading stage, 9 and 12 days, respectively for panicle initiation stage, and 12 and 19 days, respectively for early tillering stage. 4.Water stress during the early tillering stage recorded the longest delay in beading time, the largest reduction in panicle numbers and a substantial yield decrease of 20%. This calls for better water management to ensure the availability of water at this stage, particularly during drought periods. In addition, a reexamination of the conventional inter-drainage practice during the non-effective tillering stage is necessary for the high yielding Indica X Japonica varieties.

  • PDF

기후변화 대응 벼 극만기 재배에서 벼 생산성 향상을 위한 폿트육묘 재배 효과 (Effects of Pot Raising Seedling in Extremely Late Seasonal Cultivation for the Increase of Rice Production)

  • 구본일;최민규;강신구;박태선;김영두;박홍규;김보경;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41-448
    • /
    • 2012
  • 극만기 벼 재배시 적응 품종을 선택할 때 7월 30일 전후의 이앙시기에서 불시출수 현상을 보이지 않으면서 적당한 출엽수를 확보하는 품종 특성을 구비해야 하는데 금오벼1호나 만종벼는 후기작 이앙시기에서도 출엽수 감소가 적고 규칙적인 출엽 양상을 보여 극만기 벼 재배시기에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하였다. 관행 벼육묘상자 육묘에 비해 포트육묘로 벼의 생육단계를 진전시켜 이앙하면 후기작에서 출수기까지 1~3일의 생육기간이 단축되었다. 벼 폿트육묘상자를 이용했을 때와 좀더 공간이 큰 폿트육묘 상자를 이용하여 초기 벼 생육을 높여도 출수기 단축효과는 2일 이내로 크지 않았다. 따라서 벼 육묘상자와 폿트육묘의 출수기 단축효과는 초기 생육단계의 차이보다 이앙후 뿌리가 잘리지 않아 생기는 빠른 활착효과 때문으로 추정된다. $800^{\circ}C$ 이상의 등숙온도가 확보되는 출수시기는 익산은 9월 12일이었다. 폿트육묘를 할 경우 출수기가 1~3일 빨라지기 때문에 출수 후 50일간 평균온도가 조금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는데, 7월 26일 이앙에서는 $20^{\circ}C$에 근접한 온도가 유지되었고, 7월 31일에는 $19^{\circ}C$전후, 8월 5일에는 $17.5{\sim}18.0^{\circ}C$로 5일간 이앙시기가 지연됨에 따라서 등숙기 평균온도는 $1^{\circ}C$ 정도씩 저하되었다. 극만기 벼 재배에서 폿트육묘후 이앙한 경우 수량이 증대하였다. 폿트육묘하여 이앙하는 경우는 각 주별 식물체가 1~3개로 육묘상자로 육묘한 경우보다 적어 짧은 생육기간에 적정 수수를 확보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폿트육묘로 후기작 재배시에는 재식밀도를 높여야 수량 증대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자지도 이용 변량시비가 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ite-specific Fertilizer Application Using GPS and Digital Fertility Map on Rice Yield and Quality)

  • 지정현;이재홍;김희동;최병열;박중수;박경열;정인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92-197
    • /
    • 2009
  •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세계적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정부의 친환경 농업육성 정책에 부응하는 정밀농업기술 중 GPS를 이용한 이앙과 동시 변량시비가 벼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전 후 토양 질소검정량에 대한 공간변이 정도를 나타내는 Nugget값은 관행 대비 변량시비 후 낮아졌고, 공간구조 강도를 나타내는 Q값은 두 처리 모두 없어 공간의 존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2. 분얼기부터 성숙기까지 초장, 경수, 수수 등의 생육량은 관행 대비 변량시비에서 증가되었고 생육 요인별 변이계수가 낮아 상대적으로 균일한 경향을 보였다. 3. 완전미 수량은 관행 450 kg 대비 변량시비에서 492 kg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 되었고 변이계수는 현저히 낮아졌다. 4. 아밀로스, 단백질 함량, 백도 등 품질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변이계수는 변량시비에서 낮아졌다. 5. 비료살포작업에 대한 투입노동력은 관행 11.8시간/ha 대비 변량시비에서 61%(7.2시간)가 절감 되었다.

Perlite 단용 및 혼용처리를 이용한 과채류 양액재배 기술 개발 I. 재배용기와 배지의 종류가 양액재배 오이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Hydroponic Technique of Fruit Vegetables Using Perlite and Mixtures with Perlite as a Substrate I. Effects of Containers and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 정순주;서범석;강종구;김홍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9-166
    • /
    • 1995
  • 본 실험은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양액 재배 배지로써 perlite와 구입이 용이한 왕겨 및 훈탄의 혼합배지를 이용하여 스티로폼 성형베드 및 상자, 플라스틱 자루, 폿트 등의 재배용기의 차이와 배지의 종류에 따른 양액재배 오이의 생육 및 수량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 다. 1. 스티로폼베드와 상자가 다른 용기보다 초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스티로폼 상자를 용기로 사용할 때 펄라이트 단용처리구가 275.5cm, 왕겨 혼합처리구가 277.0cm로 초장이 가장 높았다. 2. 엽면적은 스티로폼 성형베드와 상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루재배, 폿트재배의 순으로 나타났다. 스티로폼 성형베드와 상자의 경우에는 펄라이트 단용>왕겨 혼합배지>훈탄 혼합배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자루재배에서는 왕겨, 폿트재배에서는 왕겨 혼합배지에서 엽면적이 높게 나타났다. 3. 과실수량은 스티로폼 상자를 용기로 한 펄라이트 단용구가 2097.1g으로 가장 많았으며 과수도 13.4개로 높게 나타났다. 4. 상품과율은 스티로폼 베드와 상자에서 70%이상을 나타냈으나 자루재배와 폿트재배에서는 70%이하로 나타났다. 5. 곡과율과 선세과는 자루재배에서 10%이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스티로폼 상자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 PDF

방사오리의 접촉자극이 벼 생육, 내도복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sical Stimulation by Free-Ranging Ducks on Growth, Lodging Resistance and Yield of Paddy Rice)

  • 고병대;중서양효;만전정치;송영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2-237
    • /
    • 2001
  • 이상의 결과에서, 방사오리의 벼 접촉자극에 의해 줄기를 포함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건물중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벼초장, 간장 및 하위절간의 신장생장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이 인정되었다. 또한 오리 접촉자극에 의해 줄기의 좌절저항력은 크게 증가하는 반면, 휨 모멘트는 감소함을 보여 벼 도복억제 또는 도복경감의 효과가 시사되었다. 수량형질에 있어서 오리의 접촉자극에 의해 1이삭당 평균영화수, 등숙율 및 천립중은 대차 없었으나 유효분얼경수 및 포기당 이삭수의 현저한 증가가 인정되어 최종적으로 벼 수량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금후,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오리의 접촉자극과 벼 생장과의 메커니즘을 보다 과학적으로 해명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오리행동을 모방한 인위적인 접촉자극에 의한 영향 및 식물의 생장 반응에 영향하는 것으로 알려진 메치오닌, 에칠렌, 지베렐린 등의 식물생장호르몬과 접촉자극과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Rice Growth and Yield for Organic Rice Production on Pot Seedling type

  • Kwon, Young-Rip;Moon, Young-Hun;Sharma, Praveen Kumar;Kim, Dae-Hyang;Jee, Hyeong-Jin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35-138
    • /
    • 2011
  • In traditional organic rice culture practices, control of weeds is a big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rice production. Results showed that Plant height, SPAD, root length and weight were higher in pot raised seedling than broadcasting method except number of panicles. High plant density caused reduction in plant height, number of culm and chlorophyll content of the rice. No lodging was observed in both methods. Thickness of third internode and culm length was more in pot raised seedlings at both sites. When organic material was used rice yield increased by 3.81%. Higher rice production (10%) was recorded in the fields planted with pot raised seedlings. From the above study it could be conclude that the pot raised seedlings perform better than the seedlings raised by broadcasting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