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ran oil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초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에서 바이오디젤 연료의 연소특성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Fue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 Diesel Engine)

  • 장세호;서정주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7
    • /
    • 2008
  • Biodiesel fuel(BDF) which is easily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such as soybean oil and rice bran oil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fuel in diesel engine. But biodiesel fuel can affect the performance and emissions in diesel engine because it has different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rom diesel fuel. To investigat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fue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 diesel engin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the three-cylinder, four stroke D.I. diesel engine with T/C. Experimental parameters adopted a conventional diesel fuel and a blend of biodiesel fuel derived from soybean. As a result of experiments in a test engine, BSFC with blend of BDF resulted in higher than with diesel fuel. The ignition delay decreased with blend of BDF than with diesel fuel.

  • PDF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 Agricultural Diesel Engine using Biodiesel Fuel

  • Ryu, Kyunghyun;Oh, Youngtaig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709-717
    • /
    • 2004
  • Biodiesel has great potentia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s that would reduce air pollution. It is a domestically produced, renewable fuel that can be manufactured from fresh or used vegetable oils, or from animal fats. In this study, a biodiesel fuel derived from rice bran oil was tested as an alternative fuel for agricultural diesel engines. The emissions were characterized for both neat and blended biodiesel fuels, and for conventional diesel fuel. Since this biodiesel fuel contained 11 % oxygen, it strongly influenced the combustion process. The use of biodiesel fuel resulted in lower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nd smoke emissions, without any increase in nitrous oxide emiss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biodiesel fuel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 renewable and environmentally innocuous fuel for agricultural diesel engines.

식물유(植物油)의 Triglyceride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4 보(報) : 쌀겨기름의 Triglyceride조성(組成)- (Studies o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IV. Triglyceride Composition of Rice Bran Oil-)

  • 최수안;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8-111
    • /
    • 1983
  • 쌀겨기름의 트리-글리세리드를 ${\mu}-Bondapack$ $C_18$를 column로, 메타놀과 크로로포름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한 HPLC에 걸면, 5개의 피이크로 분획(分劃)되었다. 이 5개의 분획분(分劃分)을 분취(分取)하여 5개군의 트리-글리세리드를 각각 얻었다. 이 트리-글리세리드들을 GLC로서 총탄소수별(總炭素數別)로 분석(分析)하였는데 $3{\sim}4$개의 피이크로 각각 분획(分劃)하였다. 쌀겨기름의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構成)하는 주요(主要) 지방산(脂肪酸)은 $C_{16:0}$, $C_{18:1}$$C_{18:2}$였으며, 산정(算定)된 주요(主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組成)은 $(1{\times}C_{16:0},\;1{\times}C_{18:1},\;1{\times}C_{18:2};16.64%)$, $(2{\times}C_{18:1},\;1{\times}C_{18:2},\;16.68%)$, $(3{\times}C_{18:1},\;13.7%)$, $(1{\times}C_{16:0},\;2{\times}C_{18:1},\;12.77%)$, $(1{\times}C_{18:1},\;2{\times}C_{18:2},\;9.16%)$$(1{\times}C_{16:0},\;2{\times}C_{18:2},\;6{\times}C_{18:2};6.42%)$이였다.

  • PDF

통일계(統一系) 및 일반계(一般系) 쌀겨의 지질(脂質) 성분(成分) (Lipid Components of Rice Bran of Tongil and Japonica Type Varieties)

  • 안태회;이종욱;김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2-200
    • /
    • 1984
  • 통일계(統一系)(풍산)와 일반계(一般系)(동진)의 쌀겨로부터 추출한 지질(脂質)의 조성(組成)을 관, 박충,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었다. 쌀겨의 전지질(全指質) 함량은 일반계(一般系)가 16. 13%, 일반계(一般系)가 16.97%였고 통일계(統一系)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은 75.20%로 일반계(一般系)의 73.69%보다 약간 높았고 당지질(塘脂質) 함량은 통일RP(統一系)에 16.71%로 일반계(一般系)의 22.80% 보다 월등하게 낮았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은 트리 -글리세리드, 더 글리세리드, 에스테르화 스테롤이 주성분이었고 당지질(糖指質)분 에스테르화 스테릴글리코시드가 가장 많았으며 그외 다른 구성 당지질은 미량성분이었다. 인지질은 포스파티딜 에타놀아민,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이노시톨이 주요성분 이었다. 전지질(全脂質)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이 주요성분이었다.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서 올레산의 함량은 통일계(統一系) (43.84%)가 일반계(一般系) (40.33%)보다 높은 반면 리놀레산의 함량은 통일계(統一系) (34.64%)가 일반계 (38.99%)보다 낮았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 조성은 전지질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고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이 올레산보다 많았으며 에스테르화 스테릴글리코시드에는 특이하게 팔미트산이 많았다.

  • PDF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 및 지방산 조성을 활용한 식용유지류의 판별 (Discrimination of vegetable oils by stable carbon isotope ratio and fatty acid composition)

  • 김재영;이상목;장문익;조윤제;채영식
    • 분석과학
    • /
    • 제27권1호
    • /
    • pp.66-7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식용유지에 대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국내 유통 식용유지의 순수 여부 등 과학적 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식용유지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은 참기름 등 $C_3$ 식물군, $C_4$ 식물군인 옥수수유,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는 미강유 등 총 3개 그룹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수거된 식용유지의 지방산 조성은 각각의 지방산 마다 식용유지별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만으로 구분이 어려웠던 $C_3$ 식물 기원의 식용유지는 지방산을 동시 활용한 산점도 분포 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저가 식용유지인 콩기름과 고가 식용유지인 참기름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율과 지방산 조성을 동시 활용하여 식용유지의 판별이 부분적으로 가능하였으며, 이는 추후 식용유지류 관리 방안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집 토끼의 Blood Cholesterol Level에 미치는 몇가지 식물성(植物性) 식용유(食用油)의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Vegetable Oils on the Blood Cholesterol Level of Rabbit)

  • 남현근;이용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7-81
    • /
    • 1980
  • 집토끼를 일정한 조건 하에서 기본 식이에 식물성 식용유를 첨가하여 콜레스테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였다. 1. 체중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의 평균 체중의 변화는 대조군(對照群)이 16.3g/day 이었고 들깨기름 급여군은 18.2g/day로 가장 성장률이 좋았다. 2. 간장의 무게는 대조군(對照群)이 30.35g이고 들깨 기름 및 미강유 급여군의 무게는 각각 38.25과 39.54g으로 나타났다. 3. 혈청 콜레스테롤 값은 대조군(對照群)이 71.55mg/100 ml 이었고 참깨기름 급여군은 112.0mg/1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간장 콜레스테롤 값은 대조군(對照群)과 들깨 기름 급여군이 각각 255.0 mg/100 ml 이었고 콩기름 급여군이 317.5 mg/1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혈청 단백질에 있어서 총(總) 단백질(蛋白質)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alpha-1-globulin에 있어서 대조군(對照群)은 0.60%인데 콩기름 및 미강유 급여군은 각각 0.35와 0.32%로 상당히 낮게 나타났고 alpha-2-globulin에 있어서는 대조군(對照群)이 0.68%인데 미강유 급여균이 0.26%로 나타났다. 6. 혈당은 대조군(對照群)이 40.34mg/100 ml인데 들깨 기름 급여군만이 77.0mg/100ml 로서 가장 높았고 다른군은 모두 낮았다. 7. 혈청(血淸) 콜레스테롤 값과 alpha-1-globulin 및 간(刊) 콜레스테롤 값 과 gamma-globulin 사이에 정 상관성을 보였고 혈당과는 별 상관이 없게 나타났다.

  • PDF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식물성 유지내 유리 지방산의 신속한 스크리닝 (Rapid Gas Chromatographic Screening of Vegetable Oils for Free Fatty Acids)

  • 김정한;김경례;채정영;오창환;박형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78
    • /
    • 1993
  • 식물성 유지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과 유기산들을 고상추출법으로 분리 농축하여 안정하고 휘발성이 큰 TBDMS 유도체로 전환한 후 GC와 GC-MS로 분석하였다. 고상 추출하기 전 유지를 dichloromethane에 용해시키고 $NaHCO_3$, 포화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지방만 회수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DMS 유도체화하기 전 유기산들을 triethylammonium염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미량의 휘발성 유기산의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 대두유, 미강유. 참기름, 들기름 등을 분석한 결과 탄소수가 많은 유리지방산들이 주로 동정되었으며 정제하지 않은 참기름에서는 탄소수가 홀수인 지방산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산들이 확인되었다.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아라키드산과 vanillic acid를 각각 들기름과 참기름에서 발견하였으며 참기름에 존재하는 유리상태의 올레산에 대한 리놀레산의 양적비율은 $1.02{\sim}1.18$로 문헌에 보고된 전체지방산 중의 함량비율인 1.19와 상당히 유사했다. 유리상태로서의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함량비는 참기름의 adulteration 여부를 판정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지의 유기산 조성을 단순화된 막대그래프 형태의 RI spectra로 표현한 결과 각 유지의 패턴분별이 매우 용이했다.

  • PDF

토끼의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지방의 포화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in degree of saturation of fats on serum cholesterol level in the rabbit)

  • 남현근;성하진;장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7
    • /
    • 1981
  • The effect in degree of saturation and unsaturation of dietary added oils o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in the rabbit was studied for a kperiod of 4 weeks using isocalories and isonitrogenous diets. The subject rabbits were divided into 10 feeding groups such as control-1 (Basal diet only), A group (Basal+sesame oil), B group (Basal+perilla oil), C group (Basal+soybean oil), D group (Basal+rice bran oil), Control-A(Basal+casein), A-1 group (Basal+sesame oil+ casein), B-1 group (Basal+perilla oil+casein), C-1 group (Basal+soybean oil+casein) and D-1 group (Basal+rice bran oil+casei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t gains per week of the perilla oil fed group were higher than anyother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2. Food efficiency ratios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fed were 1.041, 0.781, 0.520 and 0.431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3. In the group of perilla oil and Casein fed, food efficiency ratios for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0.887, 0.823, 0.489 and 0.437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4. It is investigated that the food efficiency ratio for perilla oil fed groups was higher than the group of perilla oil and casein fed. 5. Calorie efficiency ratios for perilla oil fed group were 0.018, 0.036, 0.024 and 0.020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Calorie efficiency ratios for perilla oil and casein fed group were 0.028, 0.030, 0.024 and 0.020 for 1st, 2nd, 3rd and 4th week, respectively. 6. Serum cholesterol was 72.8mg%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6gr) and casein(6gr) fed, and liver cholesterol was 460.5mg% for the same group. 7. Serum triglyceride was 130.7mg% for the group of perilla oil (6gr) and casein (6gr) fed. 8. Blood glucose was 40.34mg% for control-l and 96.4mg% for control-A, respectively. Blood glucose was 120.4mg% for group Band 1l0.7mg% for group B-1, respectively. 9. The degree of saturation/unsaturation for perilla oil (SFA/USFA) was 7.8/92.2 and nonessential fatty acid/essential fatty acid(NEFA/EFA) was 26.3/73.7. In this conditions, serum and liver cholesterol was lower than anyother conditions for this experimental period. 10. For the perilla oil fed group, serum cholesterol was 105.5mg% for pleic acid/linoleic acid(18.5/58.5) and 72.8mg% for linoleic acid/linolenic acid(15.2/58.5). In this group, triglyceride was 132.5mg% for oleic acid/linoleic acid and 130.5mg% for linoleic acid/linolenic acid. 11.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cholesterol and saturated fatty acid $({\gamma}=0.78)$, and unessential fatty acid $({\gamma}=0.41)$.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cholesterol and unsaturated fatty acid$({\gamma}=-0.78)$ and essential fatty acid$({\gamma}=0.77)$, respectively. 12. The range of most effective diet for serum cholesterol level lowering was nonessential fatty acid/essential fatty acid(26.3/73.7), saturated fatty acid/unsaturated fatty acid(7.8/92.2) and added oil (6gr)/added casein protein(6g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