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ran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34초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올과 헥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카테킨과 아스코르브산의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Catechin or Ascorbic Acid 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Hexane and Methanol Extracts from Rosemary, Sage, Oregano, and Ginger)

  • 안채경;한대석;이영경;이영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86-592
    • /
    • 2005
  • 역마이셀 미강유를 기질로 하여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올과 헥산 추출물 500ppm에 카테킨 또는 아스코르브산 200 ppm을 각각 첨가하여 Rancimat으로 유도기간을 측정하여 항산화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을 추출물에 카테킨 첨가시 모두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스코르브산을 첨가시 ginger를 제외하고는 항산화 상승효과를 보였다. 항산화 상승효과는 전반적으로 아스코르브산보다 카테킨이 높게 나타났다. 헥산 추출물의 경우, 카테킨 첨가시 oregano와 ginger에서 강한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ascorbic acid 첨가시, rosemary와 sage에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Fr.) Quel.)의 인공재배법 개발 (Artificial Culture Method of Coriolus versicolor (Fr.) Quel. Mushrooms)

  • 조우식;윤영석;류영현;박선도;최부술;엄재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25-30
    • /
    • 1998
  • 본 연구는 목재부후균류인 구름버섯의 인공재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과나무고목등 자연상태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지재료로는 경북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사과나무와 참나무, 버드나무, 육송을 이용하였는데, 화학적 특성중 C/N율이 사과나무톱밥 58.3, 참나무톱밥 54.2였다. YCV 균주로 톱밥배지 재배시험결과 사과나무톱밥의 경우 850pp병에서 배양일수 19일, 초발이소요일수 15일, 생체량은 28g이었으며, 자실체의 색깔은 갈색을 나타내었다. 구름버섯 균주로 원목재배 시험결과 지름 15 cm, 길이 20 cm의 사과나무원목에서 배양완성일수 83일, 자실체의 직경은 46 mm, 색깔은 짙은 갈색을 나타내었으며, 생체량은 270 g이었다. 구름버섯균주 YCV를 이용한 버섯재배는 일반 톱밥병재배나 원목재배로 가능하였다. 그러나, 균배양기간이 길고 배양후 일시에 고르게 발생시키는 기술과 버섯채취시기 및 이용법 등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하고, 균주의 선발 및 재배과정에 있어서 균의특성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전통주의 제조방법별 발효 특성 및 숙성후 품질변화 비교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Prepared by Different Brewing Methods and Their Quality Changes after Aging)

  • 김인호;박완수;구영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97-506
    • /
    • 1996
  •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changes of the typical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Kwahaju,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nd after aging, respectively. They were prepared by their own brewing methods with respect to the same contents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The consumed total sugar content of the alcoholic beverages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hich were brewed with the multiple input steps of seed mash and raw material (ABMI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lcoholic beverage (Kwahaju) which was brewed with the single input step (ABSIS). The pH values of all the beverages were similar and were ranged from 3.2 to 3.6. The acidity of ABMIS were lower than that of ABSIS, but alcohol concentration of ABMIS were higher. The fermentation period of the alcoholic beverages with triple input steps was the longest among them. The inner temperature and microbial growth in all the beverages increased at each of input steps of the raw materials. Fusel oil content of ABMIS was lower than that of ABSIS. Major components of the fusel oil were iso-amyl alcohol, iso-butanol, n-propanol, ethyl acetate and acetaldehyde, and its minor components were methanol and n-butanol. The results on quality changes of the alcoholic beverages after aging showed increase of alcohol in ABMIS, but decrease of sugar and acidity. Fusel oil contents of Kwahaju and Samhaeju decreased to be ranged from 3.1% to 13.9% after aging, but those of Sokokju, Baikhaju and Hosanchun increased to be ranged from 10.9% to 23.0%. Sensory evaluation of ABMIS showed better scores than that of AB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brewing method with multiple input steps of seed mash and raw material was one of the methods to increase fermentation efficiency for brewing the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 PDF

Effects of Dietary n-3/n-6 Fatty Acid Ratio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Profiles

  • Kim, Dong-Hyeon;Amanullah, Sadar M.;Yoon, Hee;Lee, Hyuk-Jun;Kong, Il-Keun;Kim, Sam-Churl;Cho, Kyu-Woan;Kim, Sang-Bum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79-8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etary n-3/n-6 fatty acid (FA) ratio o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fermentation indices and FA profile. Rice bran was mixed with oil sources (cotton seed oil and linseed oil) to make the diets at 0.02, 0.29 and 0.61 of dietary n-3/n-6 FA ratio. These diets (0.5g) were placed into the incubation bottles with 40 ml of anaerobic culture medium, which contained rumen fluid and Van Soest medium at 1:2 ratio. Five replicates of each diet and two blanks were incubated at $39^{\circ}C$ for 48 hours. After incubation, the incubated contents were centrifuged. The residues were freeze-dried for DMD and FA analyses. The supernatant was used for pH, $NH_3-N$ and volatile fatty acid analyses. The concentrations of lactate (p<0.001) and iso-valerate (p<0.001)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dietary n-3/n-6 FA ratio, but acetate concentration (p=0.056) and the ratio of acetate to propionate (p=0.005) was increased linearly. The concentrations of n-3, n-6 FA and the ratio of n-3/n-6 FA in residues increased (p<0.001) linearly with increasing dietary n-3/n-6 FA ratio, but C18:1n-9 FA concentration was decreased (p<0.001) linearly. With these results, it could affec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FA profile of rumen content by dietary n-3/n-6 FA ratio.

줄알락명나방(Cadra cautella)과 미끌애꽃노린재(Tyrophagus putrescentiae)의 증식 최적화 조건 탐색 (Determin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Mass Rearing of Cadra cautella(Walker)(Lepidoptera: Phycitidae) and Orius laevigatus(Fieber)(Hemiptera: Anthocoridae))

  • 함은혜;최용석;이준석;박종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12-115
    • /
    • 2012
  • 줄알락명나방과 미끌애꽃노린재의 효율적인 대량생산을 위하여 온도 $23{\pm}2^{\circ}C$, 습도 $70{\pm}5%$, 광조건 16L : 8D의 실내사육실에서 증식 최적화 조건을 탐색하였다. 줄알락명 나방 생산효율은 $20{\ell}$ 사육용기에서 28.6배, $3{\ell}$ 사육용기에서 6.4배였다. 미끌애꽃노린재는 $5{\ell}$ 사육용기에 성충 1,500, 10 cm 채란식물을 10개 접종했을때 효율이 16.3배였다. 줄알락명나방은 모든 사료배합 실험구에서 알 수확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소맥피(43%), 쌀겨(43%), 이스트(14%)로 조성된 먹이사료에서 알 수확량(5.3 g/통)이 가장 많았고, 혼합한 사료도 비용면에서 경제적이었다.

배지조성에 따른 표고 톱밥재배의 생육 효과 (Effects of difference in medium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Lentinula edodes)

  • 이관우;전종옥;김민자;김익제;장명준;박혜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7-271
    • /
    • 2018
  • 봉지재배용 표고의 적합한 배지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참나무톱밥+미송톱밥+미강(40:40:20, v/v) 혼합배지인 T5에서 pH 5.3으로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며 C/N율은 71.8로 대조구 85.2 대비 낮은 경향이었다. 배양특성은 T5에서 대조구 대비 산조701호는 13일, 농진고는 18일 배양기간이 단축되었다. 자실체 특성조사 결과 산조701호 품종에서는 T5에서 대조구 대비 갓이 크고 두꺼웠으며, 대도 길고 두꺼워 개체중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농진고 품종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배지조성에 따른 혼합배지별 수량은 T5에서 대조구 대비 산조701호는 17%, 농진고는 19% 증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참나무톱밥의 50%를 미송톱밥으로 대체할 경우 배양기간이 단축되고 수량이 증수되며 또한 생산비 절감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발효기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봉지재배 경영사례 (Study Case on the Bag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Fermenter)

  • 장현유;서규선;이수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169-18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Pleurotus ostreatus using fermenter with bag cultivati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1. While mushroom composts were being fermented in a fermenter,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fermented composts was getting better when there isn't any screw or revolving flies in the fermenter and the strength of pressing the composts was getting less. 2. The composts were fermented well as slaked lime of 1% density added to the composts.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our fermenting ways, composts were in the best condition after being fermented for 48 hours since the temperature in a fermenter has come to 60℃, which could be reached by heating the fermenter by 40℃ after putting compost materials and water into it. 4. The good condition of fermenting could be maintained by controlling the speed of revolving flies, therefore the speed be down when the temperature is above 60℃ and up bellow 60℃. 5. Since the composts had been added with 1.5~2% of cottonseed meal or rice bran, the fermented composts were in good condition and also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mushroom produced on the fermented composts were satisfied. 6. There were needed 7 hours of labour for 3days from the first day of putting composts into a fermenter for fermenting 3.5M/T(10,000~12,000bags of 750~800g per bag) of composts to the third day of finishing the fermenting work, and also the cost was 112,066₩(130$) including 52,066₩(60$) of electric charge and fuel expense.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의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De Canolle ex Fries) Quel.)

  • 이대진;김광포;이병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2-199
    • /
    • 2003
  • 큰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균사 생장이나 자실체 생장에 필요한 영양원과 수분 및 산소를 공급하는 최적 배지, 수확량과 품질 및 경영 효율을 좌우하는 최적 재배용기, 적정한 배양기간, 그리고 최적의 발이방법 등을 검토하였다. 배지의 주재료로서 톱밥 단일배지보다 톱밥+콘코프의 혼합배지에서 배양기간은 다소 지연되었으나 수확량과 품질이 좋았다. 톱밥과 콘코프의 배합비는 75 : 25(v/v)가 가장 좋았다. 배지 주재료로서 비트펄프의 배합은 균사생장이 저하되고 수확량도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배지 제조시 영양제로 미강과 밀기울 그리고 면실박을 각각 12 : 12 : 6(v/v)으로 혼합하면 수확량이 가장 많아 효과적이었고, 밀기울과 면실박을 각각 15% 혼합한 처리구는 수확량이 가장 낮았다. 배지 첨가제인 제오라이트, 패분과 건비지의 첨가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큰느타리 병재배시 polypropylene(PP) 병의 병구 직경이 크면 발이수는 많으나 유효갯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PP병의 용량이 클수록 수확량과 품질이 양호하였고 용량 1100 ml-병구직경 ${\phi}75\;mm$가 가장 양호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의 봉지재배시 투명 사각봉지에서 균긁기하지 않는 전면(全面)발생재배는 PP병재배보다 재배면적당 수확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발이상태는 $24{\sim}42$일간의 배양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기간이 짧으면 갓 형성과 수확량이 불량하였다. 적정배양기간은 $22{\pm}2^{\circ}C$배양시 약 35일 정도이었다. 균긁기 후 무피복 정치, 피복 정치 및 도치법의 발이방법 중 도치법이 과습방지와 낙하균의 오염방지로 가장 양호하였다.

증류수 혹은 0.25N NaClO$_2$에서 가열한 볏짚의 가금에서의 영양소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Straw Heated in Water or 0.25N-NaClO$_2$ on the Nutrient Utilization of Diets in Chicks)

  • 고태송;김해수;김성규;라채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0
    • /
    • 1985
  • 가금에서의 영양소리용성에 미치는 볏짚구성분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증류수 혹은 0.25N NaClO$_2$ 800$m\ell$당 볏짚 100g의 비율로 침지하여 135$^{\circ}C$ 3.2kg/$\textrm{cm}^2$ 압력밑에서 각각 30, 60 및 120분 autoclave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세척 건조(증류수 혹은 NaClO$_2$-30, 60 및 120-볏짚) NDF, ADF 및 리그닌량을 조사하였다. 갓부화한 단관백색 레그흔 숫병아리에 10일간 시판 병아리 사료를 급여하고 계속해서 8일간 밀기울(기초), 섬유소(선분), 무처리볏짚, 증류수-30-볏짚 및 NaClO$_2$-30-볏짚이 각각 17.0% 함유된 실험사료를 급여했다. 증류수-30, 60 및 120-볏짚의 건물손실율은 각각 9.7, 12.1 및 13.3%였으나, NaClO$_2$-30, 60 및 120-볏짚에서는 각각 8.8, 18.7 및 19.4%로, NaClO$_2$-60 및 120-볏짚에서는 증류수볏짚의 1.5배가 되었다. 증류수 및 NaClO$_2$ 볏짚의 건물손실은 주로 무처리볏짚의 세포내용물과 헤미셀루로스의 용출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는 무처리 혹은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에 비해서 증체량이 높고 사료요구량이 낮았다. 질소밸런스 및 축적율은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것에서 무처리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에 비해서 높았고, 조지방소화율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무처리, 증류수-30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의 MEn/GE는 각각 71.9, 72.9 및 70.4%였으며, 대사체중(kg 0.75)당 MEn섭취량은 각각 307.3, 296.2 및 291.4 KCal가 되었다. 이때 kg 0.75당 1일 단백질축적량은 각각 1.647, 1.969 및 1.560g이었다. 한편 증류수-30-볏짚을 급여한 병아리의 단백질 1g 축적에 상당하는 MEn는 30.56Kcal로써 무처리 및 NaClO$_2$-30-볏짚을 급여한것의 36.90 및 37.58Kcal보다 낮았다. 따라서 무처리볏짚에는 에너지 이용성 혹은 단백질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혹은 성질이 존재하며, 이것은 볏짚을 끓임으로써 제거된다는 것을 시모고 있다.

  • PDF

유색미 겨 추출물의 품종간 발암과정 억제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Inhibitory Effect of Rice Bran-extracts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on Carcinogenesis)

  • 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78-83
    • /
    • 1998
  • 12품종의 유색미에 대한 항변이원활성 및 항암활성을 in vitro에서 일품벼를 대조구로하여 조사하였다. 각 품종별 쌀겨를 0.5%의 TFA를 포함한 80% 에탄올, 또는 n-hexane으로 추출하여 각각 색소분획과 헥산분획을 제조한 다음,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변이원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각 분획의 DNA strand scission 및 발암 promoter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이들이 가지는 발암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색소분획의 항변이원활성은 LK1B4-12-1-1 >상해향혈나 > HP833-1-3-1-1 > Chokoto14 > 자광도 > 자진 > 길림흑미 > Tiwan-Tsi-C > 흑진미 > Linsia-Shoea-Dau > 수원425 >수원415의 순서였으며, 헥산분획에서는 LK1B4-12-1-1 상해향혈나 > 일품벼 > HP833-1-3-1-1 > Chokoto14 > 자광도 > 자진 > Linsia-Shoea-Dau > Tiwan-Tsi-C > 흑진미 >수원425, 길림흑미 >수원415의 순서로 활성이 나타났다. 색소분획물이 가지는 DNA strand scission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실험결과, HP833-1-3-1-1 > Tiwan-Tsi-C > 자진 > Chokoto14 > 수원425 > 흑진미 > LK1B4-12-1-1 > 수원415 > 자광도 > 길림흑미 > Linsia-Shoea-Dau > 상해향혈나의 순서로 활성을 보인 반면, 헥산분획에서는 LK1B 4-12-1-1 > 수원415 > 길림흑미 > Chokoto14 > 흑진미 > 자진 > 수원425 > Tiwan-Tsi-C > 상해향혈나 > Linsia-Shoea-Dau >자광도 > HP833-1-3-1-1 > 일품벼의 순서로 활성을 보였다. 발암 promoter의 단기검출법을 이용한 실험결과, 발암 promotor TPA에 대한 색소분획물의 억제활성은 Linsia-Shoea-Dau > 길림흑미 > HP833-1-3-1-1, 수원425 > 흑진미 > 자진 > Chokoto 14 > 상해향혈나 > 수원415 > LK1B4-12-1-1 > Tiwan-Tsi-C > 자광도의 순서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