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last disease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8초

Study of Thiazoline Derivatives for the Design of Optimal Fungicidal Compound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 Han, Won-Seok;Lee, Jin-Kak;Lee, Jun-Seok;Hahn, Hoh-Gyu;Yoon, Chang-N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5호
    • /
    • pp.1703-1706
    • /
    • 2012
  • Rice blast is the most serious disease of rice due to its harmfulness and its world wide distribution. $Magnaporthe$ $grisea$ is the cause of rice blast disease and destroys rice enough to feed several tens of millions of people each year. Fungicides are commonly used to control rice blast. But $M.$ $grisea$ acquires resistance to chemical treatments by genetic mutations. 2-Phenylimino-1,3-thiazolines were proposed as a novel class of fungicides against $M.$ $grisea$ in the previous study. To develop compounds with a higher biological activity, a new series of 2-phenylimino-1,3-thiazolines was synthesized and its fungicidal activity was determined against $M.$ $grisea$. The QSA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a series of 2-phenylimino-1,3-thiazolines. The QSAR results showed the dependence of fungicidal activity on the 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features of 2-phenylimino-1,3-thiazolines. Our results could be used as guidelines for the study of the mode of action and further design of optimal fungicides.

Internet-based Infor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Weather and Disease and Insect fast management for rice growers in Gyeonggi-do, Korea

  • S.D. Hong;W.S. Kang;S.I. Cho;Kim, J.Y.;Park, K.Y;Y.K. Han;Park, E.W.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8.2-109
    • /
    • 2003
  • Th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has developed a web-site (www.epilove.com) in collaboration with EPINET to provide information on agricultural weather and rice disease and insect pest management in Gyeonggi-do.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near real-time weather data monitored by automated weather stations (AWS) installed at rice paddy fields of 11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TC) in Gyeonggi-do, and weekly weather forecast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Map images of hourly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are also generated at 309m x 309m resolution using hourly data obtained from AWS installed at 191 locations by KMA. Based on near real-time weather data from 11 ATC, hourly infection risks of rice blast, sheath blight, and bacterial grain rot for individual districts are estimated by disease forecasting models, BLAST, SHBLIGHT, and GRAINROT. Users can diagnose various diseases and insects of rice and find their information in detail by browsing thumbnail images of them. A database on agrochemicals is linked to the system for disease and insect diagnosis to help users search for appropriate agrochemicals to control diseases and insect pests.

  • PDF

수도(水稻) 품종간(品種間) 도열병(稻熱病) 저항성(抵抗性)의 차이(差異)와 그의 지역변이(地域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to Blast and Its Regional Variation)

  • 박남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99-214
    • /
    • 1977
  • 본(本) 시험(試驗)은 우리나라의 각지방(各地方)에서 밭못자리 검정(檢定)에 의(依)한 수도(水稻) 품종(品種)의 도열병(稻熱病) 발생(發生) 양상(樣相)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여 저항성(抵抗性) 품종육성(品種育成)을 위(爲)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고자 도열병(稻熱病) 판별품종(判別品種) 및 주요품종(主要品種) 129개(個)와 잡종계통(雜種系統) 30조합(組合)을 수원등(水原等) 6개(個) 지역(地域)에서 1976~'77년(年)에 걸쳐 실시(實施)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3종(種)의 도열병(稻熱病) 판별품종(判別品種) Set를 사용(使用)하여 6개(個) 지역(地域)의 우점(優占) race의 차이(差異)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지역간(地域間) 우점(優占) race의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었으나 정확(正確)한 지대(地帶) 구분(區分)은 할 수 없었다. 2.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과 Indica${\times}$Japonica육성품종(育成品種)은 저항성반응(抵抗性反應)의 지역간(地域間) 차이(差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3. 수원(水原)과 임실(任實)에서 잡종계통(雜種系統)들의 도열병(稻熱病) 저항성반응(抵抗性反應)도 서로 달랐다. 4. 도열병(稻熱病) 밭못자리 검정(檢定)에서 조사(調査) 시기별(時期別) 저항성반응(抵抗性反應)의 진전(進展)에 의(依)하여 3종(種)의 품종군(品種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5. 엽도열병(葉稻熱病)에 고도(高度)의 저항성(抵抗性) 반응(反應)을 보인 품종(品種)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수수도열병(穗首稻熱病)이 거의 발생(發生)하지 않았으나 예외(例外)도 있었다.

  • PDF

국내 주요 벼 품종의 한국과 필리핀 도열병 균주에 대한 저항성 평가 (Blast Reaction of Korean Rice Cultivars against Korean and Philippines Isolates)

  • 노재환;조영찬;오인석;김연규;한성숙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94-400
    • /
    • 2008
  • 한국에서 육성한 131개 벼 품종을 이용하여 한국과 필리핀 도열병 균주에 대한 저항성 양상을 조사하여 벼 도열병 저항성 육종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한국과 필리핀에서 밭못자리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체 품종의 평균 잎도열병 발병정도는 한국에서 4.6으로 필리핀에서 2.0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품종 가운데 양국에서 저항성 반응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 품종의 비율이 60.3%로 나타났다. 2. 양국에서 수집된 도열병 균주를 이용한 유묘접종검정 결과, 한국 수집 도열병 균주들이 필리핀 수집 균주들보다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험품종을 침해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던 균주는 한국 균주에서는 93-093, 필리핀 균주에서는 92329-9이었으며, 각각 68.7%와 47.3%의 품종 침해비율을 나타내었다. 3. 도열병 저항성 반응이 다른 9개 품종을 이용한 내구저항성 평가 결과, 팔공벼, 섬진벼, 태백벼, 삼강벼, 밀양23호 등 5품종은 한국 및 필리핀 균주를 이용한 연계검정에서 공히 낮은 병반면적율을 나타내어 내구저항성 품종으로 구분되었다. 4. 한국 연계검정에서 내구성이 낮았던 일품벼와 기호벼는 필리핀 균주를 이용한 연계검정에서 일품벼는 내구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호벼는 3차 파종부터 병반면적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품종의 내구저항성 평가는 환경에 존재하는 친환성 균주수와 균주와 품종간 친화성 정도가 병의 진전 및 확산에 함께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Breeding Hybrid Rice with Genes Resistant to Diseases and Insects Using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Evaluation of Biological Assay

  • Kim, Me-Sun;Ouk, Sothea;Jung, Kuk-Hyun;Song, Yoohan;Le, Van Trang;Yang, Ju-Young;Cho, Yong-Gu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272-286
    • /
    • 2019
  • Developing elite hybrid rice varieties is one important objective of rice breeding programs. Several genes related to male sterilities, restores, and pollinator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map-based gene cloning within natural variations of rice. These identified genes are good targets for introducing genetic traits in molecular breed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reed elite hybrid lines with major genes related to hybrid traits and disease/insect resistance in 240 genetic resources and F1 hybrid combinations of rice. Molecular markers were reset for three major hybrid genes (S5, Rf3, Rf4) and thirteen disease/insect resistant genes (ric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Xa3, Xa4, xa5, Xa7, xa13, Xa21; blast resistance genes Pita, Pib, Pi5, Pii; brown planthopper resistant genes Bph18(t) and tungro virus resistance gene tsv1). Genotypes were then analyzed using molecular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Biological assay was then performed at the Red River Delta region in Vietnam using eleven F1 hybrid combinations and two control vatieties. Results showed that nine F1 hybrid combinations were highly resistant to rice bacterial blight and blast. Finally, eight F1 hybrid rice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disease/insect were selected from eleven F1 hybrid combinations.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agricultural traits and yields were then investigated. These F1 hybrid rice varieties developed with major genes related to hybrid traits and disease/insect resistant genes could be useful for hybrid breeding programs to achieve high yield with biotic and abiotic resistance.

Changes in Endophyte Communities across the Different Plant Compartments in Response to the Rice Blast Infection

  • Mehwish Roy;Sravanthi Goud Burragoni;Junhyun J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3호
    • /
    • pp.299-309
    • /
    • 2024
  • The rice blast disease, caused by the fungal pathogen, Magnaporthe oryzae (syn. Pyricularia oryzae),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the global rice production. Understanding how this disease impacts the plant's microbial communities is crucial for gaining insights into host-pathogen intera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ommunities of bacterial and fungal endophytes inhabiting different compartments in healthy and diseased plants. We found that both alpha and beta diversities of endophytic communities do not change significantly by the pathogen infection. Rather, the type of plant compartment appeared to be the main driver of endophytic community structures. Although the overall structure seemed to be consistent between healthy and diseased plants, our analysis of differentially abundant taxa revealed the specific bacterial and fungal operational taxonomic units that exhibited enrichment in the root and leaf compartments of infected pla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dophyte communities are robust to the changes at the early stage of pathogen infection, and that some of endophytes enriched in infected plants might have roles in the defense against the pathogen.

도열병에 대해 성체식물 저항성을 지닌 벼 품종의 선발 (Screening of Rice Cultivars for Adult-Plant Resistance to Pyricularia oryzae)

  • 고영진;황병국;정후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9-81
    • /
    • 1986
  • 성체식물기에 잎도열병에 대해 저항성인 벼 품종 선발을 위해 한국에서 재배되거나 육종재배로 쓰이고 있는 32개의 벼 품종을 도열병검정 못자리에 공시하였다. 생육시기가 다른 각 잎에 자연감염된 발병율을 토대로 비교할 때, 16개의 통일형 품종들은 모두 고도 저항성이었으나 16개의 일본형 품종들은 잎도열병에 대해 다양한 저항성정도를 나타내었다. 잎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정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식물체가 성숙해 갈수록 양적저항성정도는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였다. 감수성에서 저항성으로 바귀는 엽위는 품종에 따라 달랐다. 도열병균에 대한 품종의 감수성반응이 상위엽에서 저항성반응으로 뚜렷하게 바뀌었다. 잎도열병에 대한 양적 저항성정도가 큰 품종일수록 하위엽에서 저항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생육후기에 도열병감염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품종인 아까바레, 팔금, 진흥, 올찰, 도봉 및 은하는 포장에서 잎도열병에 대해 성체식물저항성을 보였다. 성체식물저항성품종들은 식물체가 성숙해감에 따라 최적, 질적으로 잎도열병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벼 도열병 Epidemics에 미치는 재배 포장 실황기상 요인 (Real-Time Micro-Weather Factors of Growing Field to the Epidemics of Rice Blast)

  • 권재은;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8권4호
    • /
    • pp.199-206
    • /
    • 2002
  • 벼 도열병 발병 모의 실황 포장을 발병 상습지(안동대 실험포장; 산간 협곡 위치한 천수답)에 설정하여 벼 식물생육군락(일품벼 공시)의 실황 기상자료를 무인기상관측 장치를 통해 수집, 가공하여 도열병 발병에 미치는 기상요인의 가변값을 추정, 분석하였다. 기상요소 측정은 시험포장에 무인기상관측장치를 설치하여 매시단위로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강우량, 풍향, 풍속, 지온, 잎습전지속 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각 기상요인중 도열병 발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은 발병 전 10일간 평균최고기온으로 결정계수 0.95*을 나타냈으며, 도열병 발병에 영향을 가장 미치지 않은 요인은 풍속으로 결정계수 0.24$^{ns}$ 로 나타났다. 도열병 발병과 병 진전에 가장 높은 유의성을 보인 기상요인은 평균온도(T-ave), 최고온도(T-max), 상대습도(RH), 상대습도 90%이상인 누적시간(RD) 등이었으며, 이들을 이용한 통계적 모형은 아래와 같다. Y = -3410.91 - 23.91 $\times$ T-ave + 28.56 $\times$ T-max + 41.0 $\times$ RH - 3.75 $\times$ RD, ($R^2$= 0.99*), (T-ave >= 19$^{\circ}C$ and T-max - T-ave >= 5.2$^{\circ}C$ and RH% >= 90.4%. 발병모형과 발병심각도의 적합도 검정($\chi$$^2$)은 유의도 0.001로 발병모형이 실제 발병 심각도와 유사함을 나타내었다.

살균제의 벼 육묘상 처리에 의한 도열병 방제 효과 (The Effect of Fungicides against Rice Blast by the Nursery Treatment at Rice Seedling)

  • 강범관;민지영;김윤식;;정해연;조인준;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69-72
    • /
    • 2004
  • Carbosulfan과 합제로 개발한 isoprothiolane과 tricyclazole, 그리고 probenazole을 벼 육묘상자에 처리하고, 처리 당일에 본답에 이앙한 후, 잎도열병과 목도열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 가지의 살균제는 모두 이앙하고 3개월 후까지도 잎도열병을 방제할 수 있었다. 특히 tricyclazole 합제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효과가 더 상승하였으며, 9월 6일 조사 때에 85.5%의 잎도열병 방제 효과를 보였다. 목도열병에 대한 효과는 probenazole이 가장 우수하였는데, 10월 14일에 조사한 probenazole 처리구의 목도열병 이병수율은 6.9%로 78.7%의 무처리구에 비하여 91.2%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Isoprothiolane과 tricyclazole 합제는 잎도열병보다 목도열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저조하였으며, 두 처리구는 각각 47.5%와 61.1%의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처럼 침투이행효과가 우수한 살균제가 벼의 육모상 처리제로 개발이 가능해진다면 포장에서의 도열병 방제가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수도 도열병의 역학적 연구 II. 이삭 도열병 전염원으로서의 엽위별 병반분포의 의의 (Epidemiological Studies of Blast Disease of Rice Plant II. Significance of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Leaf Lesions at Different Location of Each Tiller as an Inoculum Source of Panicle Blast)

  • 박종성;류승헌;김공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7-282
    • /
    • 1983
  • 엽위별로 형성된 병반수나 병반면적율은 통일계품종에 있어서는 n-1에서 n-3까지 그리고 일본형수수품종에 있어서는 n-2에서 많았으나 통일계품종중에서도 고도로 감수성인 노풍에 있어서는 n-1(지엽)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병반의 분포도와 시비수준과의 관계는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뚜렸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엽위별로 보면 수잉기 이후 이삭도열병의 전염원으로는 n-1에서 n-5까지의 잎위의 병반이 관여하나 주로 n-1엽과 n-2엽의 관여도가 큰 것으로 고찰되었다. 수잉기 이후의 저온역에서의 변온$(24^{\circ}C\~16^{\circ}C)$은 잎위의 병반에서의 포자 형성량을 증가시키며 포자의 형성, 이탈, 비산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고 9월말까지도 다량의 전염원을 수에 공급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