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last disease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5초

점접종원으로부터 벼 도열병 확산의 경사 (Disease Dispersal Gradients of Rice Blast from a Point Source)

  • 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1-136
    • /
    • 1987
  • 벼 품종 Brazos와 M-201의 도열병에 대한 단위시간당 감염속도와 점접종원으로 부터의 단위 거리당 확산경사는 밭논과 물논의 두 재배조건에 따라 크게 달랐다. 물논재배는 도열병의 감염속도를 늦추고 확산경사를 완만하게 하였다. 점접종원으로부터 거리별로 4지점에서 측정된 도열병의 감염속도는 거리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지만 점접종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품종별 감염속도는 Brazos보다 더 이병성인 M-201 품종에서 높았고 확산경사도 M-201 품종에서 가파른 경향이었다. 그러나 도열병이 진전함에 따라 생성된 이차전염원 때문에 도열병 확산경사는 두 품종에서 모두 완만해졌다. 조사된 확산형사의 두 경험적 모델 중에서 Kiyosawa와 Shiyomi 모델이 Gregory 모델에 비하여 통계적 적합성이 높았다. 밭상태에서 단위시간당 도열병 isopaths 이동거리는 Brazos와 M-201 품종에서 각각 0.2m/일와 0.4m/일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 도열병에 대한 품종저항성의 차이는 감염속도뿐만 아니라 확산경사의 측정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Outbreak of Rice Panicle Blast in Jeonbuk Province of Korea in 2021

  • Hyunjung, Chung;Woo-Il, Lee;Soo Yeon, Choi;Nak-Jung, Choi;Sang-Min, Kim;Ju-Yeon, Yoon;Bong Choon, L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1호
    • /
    • pp.136-140
    • /
    • 2023
  • Rice panicle blast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threatening stable rice production by causing severe damage to rice yields and quality. The disease is easy to occur under low air temperature and frequent heavy rainfall during the heading season of rice. In 2021, a rice panicle blast severely occurred in the Jeonbuk province of Korea. The incidence area of panicle blast accounted for 27.7% of the rice cultivation area of Jeonbuk province in 2021, which was 13.7-times higher than in 2019 and 2.6-times higher than in 2020. This study evaluated the incidence areas of rice panicle blast in each region of Jeonbuk province in 2021. The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heading season of rice, mainly cultivated rice cultivars, and the race diversity of the Jeonbuk isolates were also investigated. It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the rice panicle blast.

Alteration of Gas Exchange in Rice Leaves Infected with Magnaporthe grisea

  • Yun, Sung-Chul;Kim, Pan-Gi;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257-263
    • /
    • 2000
  • Infection with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grisea) significantly reduced foliar net photosynthesis (A) of rice cultivars: Ilpoom, Hwasung, and Choochung in greenhouse experiments. By measuring the amount of diseased leaf area with a computer image analysis system, the relation between disease severity (DS) and net photosynthetic rate was curvilinearly correlated (r=0.679). Diseased leaves with 35% blast symptom can be predicted to have a 50% reduction of photosynthesis. The disease severity was linearly correlated (r=0.478) with total chlorophyll (chlorophyll a and chlorophyll b) per unit leaf area(TC). Light use efficiency was reduced by the fungal infection according to the light response curves. However, dark respiration (Rd) did not change after the fungal infection (p=0.526). Since the percent of reduction in photosynthesis greatly exceeded the percent of leaf area covered by blast lesions, loss of photosynthetic tissue on an area basis could not by itself account for the reduced photosynthesis. Quantitative photosynthetic reduction can be partially explained by decreasing TC, but cannot be explained by decreasing Rd. By photosynthesis (A)-internal CO$_2$ concentration (C$_i$ curve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fungal infection reduced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Rubisco) activity, ribulose-1,5-bisphosphate (RuBP) regeneration, and inorganic phosphate regeneration. Thus, the reduction of photosynthesis by blast infection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TC and biochemical capacity, which comprises all carbon metabolism after CO$_2$ enters through the stomata.

  • PDF

우리나라 벼 도열병균의 대표 균주 및 벼의 저항성 유전자형 선발 (Selection of Representative Magnaporthe oryzae Isolates and Rice Resistant Gene Types for Screening of Blast-resistant Rice Cultivars)

  • 고재덕;김병련;이세원;노재환;신동범;정지웅;조영찬;한성숙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43-253
    • /
    • 2013
  • 벼 도열병은 안정적인 쌀 생산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병으로, 도열병 방제에는 저항성 품종의 육종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되었다. 병원균의 꾸준한 수집과 이들을 이용한 저항성 검정 테스트는 신품종 육성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과정이다. 1985년 이래 우리나라의 도열병균은 8개의 판별품종을 이용한 레이스 판별시스템을 구축하여 분류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판별품종은 유전자형이 연구된 바 없어 새로운 레이스 출현이나 병 저항성 붕괴 등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전자형이 밝혀진 단인자 저항성 계통과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200개 균주의 병원성 반응을 분석하여, 새로운 판별 품종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24개의 단인자 저항성 계통의 병원성 반응을 통해 9개의 대표 저항성 유전자를 선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10개의 대표균주 그룹과 그 저항성 반응을 인덱스화 하고 30개의 한국형 대표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도열병 저항성 검정 및 벼 신품종 육종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규산 및 삼요소 시비수준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licate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er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ice Plants and on the Incidence of Blast Disease of Rice Caused by Pyricularia oryzae Cavara)

  • 백수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7-109
    • /
    • 1975
  • 수도 도열병의 종합적 방제체계 확립의 일환으로서 합리적인 비료 시용에 의한 효과적 방제 가능성을 알고다 규산, 질소, 인산 및 가리 등 여러 비료를 시용하여 이들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수도품종 및 균주간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71년과 1973년에 수도묘에 도열병균을 인공접종 및 자연발병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규산을 시용하면 수도 엽신내 규산함량은 크게 증가하고 전당함량과 가리함량도 증가하나 전질소 및 인산함량은 감소되었다. 2) 규산의 시용으로 도체내 C/N 율과 $SiO_2/N$율 및 $K_2O/N$율은 향상되었으며 이들과 도열병 발병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규산시용으로 도열병 발병지수는 저하되었다. 4) 도체내 규산함량은 질소질비료를 과용하면 감소되고 전질소함량은 증가되며 전당함량은 감소하여 도열병 저항성을 크게 저하시켰다. 5) 규산함량은 인산질비료를 많이 시용하거나 도체내 인산함량이 증가하면 감소되어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을 저하시켰다. 6) 가리질비료를 다시용하면 규산함량은 증가되었고 전질소함량은 감소되었으며 $K_2O/N$율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가리함량이 비교적 낮은 상태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과 유의적인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7) 도열병 발병지수는 공시된 균주범위내에서 진흥이 적었고 풍옥이 가장 컸으며 풍광 팔달은 비슷한 정도였다. 도열병균의 병원성은 $P_1,\;P_2,\;and\;P_3$의 순으로 강하였으나 풍옥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을 찾아볼 수 없었다. 엽위별로는 5-6엽기의 묘에서 상위 제2엽이 발병이 많았고 제1엽과 제3엽은 비슷한 정도였다.품종이기 때문인 것 같다. (4) 벼의 수량은 무처리 5,814kg/ha에 비하여 Carbofuran 6,649kg, Cytrolane 6,340kg, BPMC 6,315kg, Chlorphenamidine 6,265kg, Cartap 6,164kg, Diazinon 5,944kg, Diazinon 입제 수면시용 6,102kg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벼의 수량이 가장 높았다. (5) Carbofuran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인 것은 Carbofuran 처리구에서 멸구, 매미충류의 밀도가 낮았고 오갈병의 발병율이 낮은데서 온 결과인 것 같다.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음성학자가 있다면, 이 또한 안되는 일입니다. 문의 구성과 어휘 요소와 아무 관련이 없는 말소리의 차이가 무슨 소용이 있으며, 통사 구조를 표현하고 저달하는 말소리를 연구하지 않고 어떻게 통사론을 연구할 수 있겠습니까? 다시 간추리면, 언어는 본질적으로 소리말이고, 언어의 특성과 사용 및 습득도 모두 소리말 형태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영국의 대학은

  • PDF

A Rice Blast Fungus Alpha-N-Arabinofuranosidase B Elicits Host Defense in Rice

  • Kim, Sun-Tae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3-23
    • /
    • 2015
  • Rice blast disease caused by M. oryzae is the most devastating fungal disease in rice. During the infection process, M. oryzae secretes a large number of glycosyl hydrolase (GH) proteins into the apoplast to digest host cell wall and assist fungal ingress into host tissue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novel M. oryze arabinofuranosidase B (MoAbfB) which is secreted during fungal infection. Live-cell imaging exhibited that fluorescent labeled MoAbfB was highly accumulated in fungal invasive structures such as appressorium, tips of penetration peg, biotrophic interfacial complex (BIC), as well as invasive hyphal tip. Deletion of MoAbfB mutants extended biotrophic phase followed by enhanced disease severity, whereas, over-expression of OsMoAbfB mutant induced rapid defense responses and enhanced rice resistance to M. oryzae infection. Furthermore, exogenous treatment of MoAbfB protein showed inhibition of fungal infection via priming of defense gene expression. We later found that the extract of MoAbfB degraded rice cell wall fragments could also induce host defense activation, suggesting that not MoAbfB itself but oligosaccharides (OGs) derived from MoAbfB dissolved rice cell wall elicited rice innate immunity.

  • PDF

리보플라빈을 함유한 바이오닥터TM 처리에 따른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 억제효과 (Riboflavin-based BioDoctorTM Induced Disease Resistance against Rice Blast and Bacterial Leaf Blight Diseases)

  • 강범용;한송희;김철홍;김영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202-207
    • /
    • 2016
  • 쌀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작물 중의 하나이지만 충분한 비타민을 제공하지 않고,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병해이다. 리보플라빈, 비타민 B2는 인간의 건강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식물의 병원균에 대한 식물의 방어 활성화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oDoctor (Hyunnong Co., Ltd., Gokseong, Korea)라는 리보플라빈 기반 제품을 벼에 경엽살포했을 때, 주요 병해에 대한 저항성 유도 및 벼 체내에 비타민 함량이 증가되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온실검정에서 BioDoctor 제품 500배와 1,000배로 희석하여 경엽처리 결과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대해 현저한 병 저항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BioDoctor를 처리한 알곡과 잎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리보플라빈 함량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타민인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BioDoctor가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대해 병 저항성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쌀 곡류 내에 비타민 함량을 증가시키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orecasting of plant disease and insect for an agricultural complex and farm i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of Rice (Oryza sativa L.)

  • Cha, K.H.;Oh, H.J.;Park, R.D.;Jung, W.J.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23-126
    • /
    • 2011
  • To investigate the forecasting of plant disease and insect for an agricultural complex and farm i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of Ric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five complexs and five farms were selected in Youngam and Naju area, Jonnam, Korea. Preventation objects of plant disease and insect were leaf blast, neck blast, sheath blight, bacterial leaf blight, and hopper. Factors of sheath blight occurrence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complex were a fast transplanting time and a narrow planting density. Bacterial leaf blight in rice occurred severely in the area under water. Rice growth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complex was decreased heavy drying by hopper appearance.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우리나라의 벼 도열병 발생 개황 분석 (Analysis of Rice Blast Outbreaks in Korea through Text Mining)

  • 송성민;정현정;김광형;김기태
    • 식물병연구
    • /
    • 제28권3호
    • /
    • pp.113-121
    • /
    • 2022
  • 벼 도열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여 쌀 수확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주요 식물병이다. 벼 도열병은 한국에서도 주기적으로 대발생하여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힌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병 발생 예찰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병 발생에 대한 역학 조사는 식물병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재 도열병 예찰 및 역학 조사는 주로 작물의 생육량, 기상 환경 요인 등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있다. 정형 데이터와 함께 도열병 발생과 관련한 텍스트 자료들도 많이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역학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한다면 도열병을 포함한 앞으로의 식물병 관리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도열병 관련 뉴스 기사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벼 도열병이 다발생한 연도와 지역을 조사하였고, 해당 지역의 평균 기온, 합계 강수량, 일조시간, 공급된 벼 품종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20년 평년에 비해 낮은 기온과 일조시간 및 높은 강수량이 전국적인 도열병 다발생의 원인에 기여했고, 2021년 전라북도와 경상북도 일부 지역의 다발생은 비슷한 기상학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더하여 같은 벼 품종의 연작에 의한 도열병 다발생 가능성과 질소 비료의 시비량이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속에서 관련 기사를 종합적으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얻은 결과로 특정 키워드들이 많이 관찰될 때 적극적 방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는 추후 딥러닝 기술과 접목되어 벼 도열병 역학 조사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얻은 유의미한 정보를 기존의 정형 데이터 기반의 모델과 결합한다면 농업현장에서 병발생 예측 또는 방제기술 개선에 필요한 고품질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수도 도열병의 역학적 연구 I. 수잉기 엽초내의 이삭 도열병 감염 (Epidemiological Studies of Blast Disease of Rice Plaint 1. Infection of Panicle Blast in Leaf Sheaths during Booting Stage)

  • 박종성;유승헌;김홍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3-211
    • /
    • 1980
  • 실험포장에 있어서의 도열병발생상은 잎도열병의 발생량이 경한데 비해 통일계품종의 이삭도열병은 결발형이었고 일본형품종의 그것은 역시 경하였다. 시비수준간의 도열병 발생량의 차이는 통일계품조의 경우 잎도열병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이삭도열병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지엽(n-1)이나 그 아래에 있는 n-2엽, n-3엽 등에서 강우수나 엽상의 노적수에서 만들어지 포자현탁액이 엽신에서 엽초의 봉합부를 거쳐 엽초내에 침투하고 수에 접착한 다음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자연환경하에서나 인공환경아래에서도 엽초내에 포자현탁액을 주입하면 수의 각부분이 감염되었으며 자연환경아래에서 생육중인 수도의 수잉기엽초내에는 도열병균과 그밖에 여러가지 진균의 포자가 검출되어 수잉기엽초내에서의 수열병 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실험포장에서의 통일계품종의 이삭도열병의 발병은 $90\%$내외이며 이 중에 수잉기 감염이 출수후 감염보다 훨씬 많으며 0.5N 시비구에서는 $6\~15$배, 1.0구에서는 $10\~40$배, 1.5N 구에서는 $7\~20$배 가량이 많았다. 한편 일본형수도품종에 있어서는 이삭도열병의 감염율은 $3\%$에 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