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rogradation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1초

수분 첨가량에 따른 절편의 노화도에 관한 연구 (Retrogradation Characteristics of Jeolpyon Prepared by Different Moisture Addition)

  • 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02-409
    • /
    • 2000
  • 수분의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제조한 절편의 저장기간에 따른 노화특성 및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색도는 저장기간에 따른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수분첨가량이 감소함에 따라 저장기간에 따른 수분의 손실로 황색도는 증가하고 명도는 감소하였다. 물성특성치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여 떡이 단단해 졌는데, 35∼45%의 수분첨가구가 저장 72시간째까지 일정한 값을 나타내어 물성적으로 가장 안정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노화속도는 35% 수분 첨가구는 노화가 다른 시험구에 비해서 가장 천천히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35∼45% 수분첨가구를 가장 선호하였다. 노화속도가 느린 35% 수분첨가구가 관능적으로도 우수하여 본 실험에서 가장 알맞은 수분첨가량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 PDF

콩절편의 소화율, 호화도 및 노화속도 (A study on Reducing Power,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Rate of Soybean Jeolpyon)

  • 정해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2-165
    • /
    • 1996
  •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한 우수 단백질원인 대두를 볶아서 절편에 첨가(0, 5, 10, 15, 20%)하여 제조한 콩절편의 소화율, 호화도를 조사하고 백절편과 콩절편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콩가루 5% 첨가군)에 대하여 노화 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콩가루의 양을 달리 첨가(0, 5, 10, 15, 20%)하여 제조한 콩절편의 환원력은 각각 54.8% , 58.3%, 62.3%, 66.7%, 72.1%로서 콩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분의 in vitro 소화율이 향상되었다. 2. 호화도는 백절편이 87.2%, 5% 콩가루 첨가군이 88.4%, 15% 콩가루 첨가군이 88.8%, 20% 콩가루 첨가군이 89%로 나타남으로써 호화도가 미세한 정도로 향상되었다. 3. 노화속도는 저장중 경도 변화로부터 분석하였으며 대조구와 5% 콩가루 첨가군에서 노화속도 상수는 0.528 day이었고, 이때 시간 상수는(1/k)는 1.89일이었다.

  • PDF

Wheat Quality and Its Effect on Bread Staling

  • Lee, Mee-Ryung;Lee, Won-Jae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53-161
    • /
    • 2012
  • Wheat is a very popular crop in all over the world due to the various use of wheat flour as staple foods, such as bread. As many food products are made from wheat, the property of wheat can be a determinant of the quality of final food products. Staled bread is not harmful to health but is normally rejected by consumers due to the absence of desirable sensory attributes. The phenomena of staling can be increased hardness of bread, the migration of moisture from center of bread to the crust of bread, loss of flavor and etc. The exact mechanism of staling has not been established completely. To delay or prevent staling, either addition of anti-staling agent, such as surfactant and enzyme or modification of wheat component, such as wheat starch has been adapted. The development of waxy wheat made it possible to reconstitute the starch component in bread. When the content of amylopect in was increased in bread, the loss of moisture was decreased and the reduction in softness of bread was decreased during storage. Increased retrogradation of starch did not always accompany the staling of bread indicating that the retrogradation of starch may not be a single indicator of bread staling. To find out the exact relationship between bread staling and starch retrogradation,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트레할로스 및 효소제 첨가가 백설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ed Trehalose and Enzymes on the Qualities of Backsulgie)

  • 오문헌;신형찬;박종대;이현유;김근성;금준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92-9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백설기의 품질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효소제(BS-300 0.3%)와 트레할로스(trehalose 3%, 6%)를 첨가한 6가지의 백설기를 제조하여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쌀가루의 RVA호화특성을 조사한 결과, 효소제와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쌀가루는 가공의 안정도가 높아지고, 노화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SC를 이용하여 백설기의 노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효소제와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시료에서 노화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효소제와 트레할로스 6%를 함께 첨가한 시료에서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다. 제조한 백설기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변화는 효소제와 트레할로스의 병행처리가 보수성을 향상시키며 색도 및 경도 변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설기의 품질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배합비는 효소제 0.3%와 트레할로스 6%가 함께 첨가된 백설기로 나타났다.

저장온도에 따른 쌀가루 겔의 노화 (Retrogradaion of Rice Flour Gels with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 김정옥;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44-48
    • /
    • 1996
  • 수분함량이 50%(건물당)인 쌀가루 겔을 $20^{\circ}C,\;4^{\circ}C,\;-18^{\circ}C$에서 1, 3, 6일 동안 저장하면서 ${\alpha}-$아밀라아제-요드법, 시차주사열량기, x-선 회절도를 이용하여 저장온도가 쌀가루 겔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쌀가루 겔의 노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저장초기에 증가폭이 켰다. 저장온도에 따른 겔의 노화도는 $4^{\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0^{\circ}C,\;-18^{\circ}C$ 순이었다. 시차주사열량기로 측정한 쌀가루 겔 분말의 엔탈피는 ${\alpha}-$아밀라아제-요드법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저장온도간의 차이는 ${\alpha}-$아밀라아제-요드법이 더 뚜렷하였다. $4^{\circ}C$$20^{\circ}C$에서 저장한 겔의 x-선 회절도는 $2{\theta}=17^{\circ}$$20^{\circ}$에서 피크가 관찰되었으나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를 구별할 수 없었다.

  • PDF

비트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노화 억제 효과 (Effects of Beetroot (Beta vulgaris)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by Shelf-life of Sponge Cake)

  • 송가영;오현빈;장양양;정기영;김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96-70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of sponge cake added beetroot powder. Methods: Sponge cakes were prepared using 0%, 2%, 4%, 6%, and 8% of beetroot powder. The specific capacity, baking loss, and dough yield were calculated. Moisture content and pH were also measured. Color values were assessed using a color measurement spectrophotometer. The retarding retrogradation was calculated employing the Avrami equation. Results: The specific capacity increased in parallel to the addition of beetroot powder's elevation, but baking los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ough yield was high in 6% and 8% additions however moisture content did not differ. The pH was increased in 0-4% additions. L and b-value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beetroot powder.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a 4% addition had the effect of delaying the sponge cake's staling.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eetroot can be considered a good material to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ensory properties, and after the addition of 4% of beetroot powder was able to delay staling. Therefore, so it is assumed to improve the sponge cake shelf life.

분리대두단백질이 첨가된 증편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PI(Soybean Protein Isolate) on Retrogradation in Jeung-pyun)

  • 홍금주;김명희;김강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04-31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Jeung-pyun(JP) Retrogradation in samples containing 3% whole protein, 7S protein, or 11S protein(w/w) that were stored at $4^{\circ}C$ for 6, 12, 24 and 72 hr. Rheometery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pH of the dough de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but it increased after steaming. The JP prepared with soybean protein isolate(SPI) had higher pH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storage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P showed effects according to the additions of SPI. After 6 hr of storage, the JP samples containing soybean flour, whole protein, 7S protein, and 11S protein had lower hardness valuse. From 4 hr to 12 hr, higher springiness values were found in the samples containing whole protein, 7S protein and 11S protein. At 0 hr, the control group had the highest cohesiveness value, but after 24 hr it presented the lowest value. For gumminess, after 6 hr of storage, the control group offered the lowest value. Whereas after 12 hr of storage the whole protein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at 24 hr, the whole protein, 7S protein, and 11S protein groups had higher values. According to the DSC results, the 11S protein group had lower enthalpy values(${\bigtriangleup}H$) suggesting that adding 11S protein to JP might improve starch retrogradation. After 72 hr of storage, the control group had the highest onset temperature($T_{o}$) and peak temperature($T_{p}$) whereas the 7S and 11S protein JP samples had higher conclusion temperatures($T_{c}$). Therefore, based on the different analysis result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the addition of SPI to Jp had effects on retrogradation.

고구마 수침에 의한 변성 전분의 호화와 노화 특성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Modified Starch by Steeping Sweet Potato)

  • 이신경;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38-643
    • /
    • 1994
  • 조리와 식품 산업에 고구마 전분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고구마를 $40^{\circ}C$ 항온기에서 2, 4, 7, 10일간 수침시킨 후 전분을 분리 제조하고 이들 전분의 호화 특성과 노화 특성을 측정하였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호화 양상에서 무처리 전분의 피크 온도와 엔탈피는 각각 $73.7^{\circ}C,\;1.32cal/g$으로서 폭넓은 피크를 보였으며, 수침 전분은 피크 온도와 엔탈피가 증가하였다. 알칼리 호화 양상은 초기에 급격한 점도의 증가를 보이다 완만해했으며 무처리 전분에 비해 2, 4, 7일 수침 전분의 점도는 증가하였으나 10일 수침 전분은 감하였다. 호화액의 투명도는 모든 전분에서 저장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수침 기간이 길어질수록 투명도는 낮아졌다. ${\alpha}$-아밀라아제-요오드법에 의한 노화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수침 전분은 증가하였고, 노화 전분의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엔탈피도 4일 수침시킨 전분을 제외하고 수침에 의해 증가하였다. 무처리 전분과 분해 후 잔여 전분에 고구마 추출액을 첨가하여 호화시키며 노화도가 낮아졌으며 노화 억제 정도는 분해 후 잔여 전분이 더 컸다.

  • PDF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Bran Dietary Fiber Extract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Wheat Flour)

  • 김영수;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64-469
    • /
    • 1997
  •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이 밀가루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방법으로 열처리한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호화 및 노화현상을 RVA와 DSC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그결과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 첨가는 대조구에 비해 호화온도, 최고점도 및 최종점도를 증가시켰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을 DSC로 측정했을 때 To, Tp 및 ${\triangle}H$값들은 탈지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노화시 나타난 endothermic peak는 호화시보다 약 $15{\sim}20^{\circ}C$ 낮은 온도에서 폭이 넓은 형태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뚜렷한 endothermic peak를 보였다. 미강 식이섬유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들은 노화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5%와 10% 첨가시료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흑미 및 현미의 부분적인 대체가 절편의 물성과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Black or Brown Rice Flour on Textural Properties and Retrogradation of Julpyun)

  • 윤계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3-111
    • /
    • 2001
  • 흑미 및 현미를 0%에서 20%단위로 100%까지 대체하여 절편을 제조하고 이들의 texture 및 관능적 특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저장중 노화경향을 Avrami 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흑미 및 혼합절편의 수분함 량은 52.03% ~53.51 %로 현미 및 혼합절편보다 약간 높았고 관능검사결과 흑미나 현미 모두 대체율이 4 40%이하일 때 색깔, 풍미, 전체적 수응도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성을 보였다. texture 측정결과 견고도의 경우 흑미 및 현미 대체절편에서 모두 백미절편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고 접착성은 흑미, 현미 대체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더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혼합절편의 노화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저장기 간 동안의 견고도를 측정한 결과 100%흑미, 현미 및 40%흑미, 현미대체절편이 저장 전 기간을 통해 대체로 덜 단단함으로써 노화가 지연됨을 알수 있었고 이 결과를 Avrami 방정식에 의해 분석했을때 에도 시간상수가 더 길게 나타나 절편제조에서 흑미 및 현미 대체시에 노화가 지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