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ro cultur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마린 세르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지속가능 디자인 특성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in Marine Serre collection)

  • 이수현;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1호
    • /
    • pp.108-12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ustainable fashion design plans and directions by analyzing Marine Serre's collection. Previous research was reviewed to derive classification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is classification was then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Serre collection. Design analysis was conducted on Marine Serre's 2018 FW to 2023 SS collections. Marine Serre's sustainability characteristics are functionality, surprise, handicraft, and inclu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unctionality is the highest among the four characteristics and includes the functionality of movement, the functionality of form, and futurism. This characteristic was observed in the use of all-in-one body suits, pockets, and workwear, showing the will and values of designers who value daily activity. Second, surprise includes the scarcity of materials and the unexpectedness of composition. The value of the clothing is enhanced by the use of scarce materials not typically used in clothing. In addition, Marine Serre is highly regarded for expanding clothing into life by incorporating material upcycling into the theme of the collection. Third, handcrafted features include exaggerated decorations, logo, retro designs, and natural properties, and intentional utilization is differentiated. Marine Serre's signature pattern suggests a suitable expression for the fabric to use the crescent moon for the season. Fourth, the collection expresses themes of inclusivity and cultural divers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Marine Serre wants to contribute to a better future characterized by global coexistence.

시선유도시설 시인성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Visibility of Delineators by Survey)

  • 권성대;박제진;남창규;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45-451
    • /
    • 2012
  • 도로의 곡선부는 기하구조상 운전자의 시각변화가 현저하게 발생하고, 속도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직선부보다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1999년도 교통문화운동본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78%의 운전자가 안전표지판에 대한 불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만 요인으로는 시인성 부족이 2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야간 또는 기상 악화로 인해 시선유도시설의 시인성 마비는 도로선형에 관한 정보를 부적절하게 전달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도로의 서비스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시선유도시설물의 설치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 설치 운영 중인 재귀반사식 시선유도시설과 도로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 개발된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에 대해 운전자가 곡선부를 주행할 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고, 시인성이 향상된 시선유도시설물에 대해 1차, 2차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한 후, 교통안전을 향상시키는 최적의 시선유도시설물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재귀반사식 보다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에서 시인성, 속도감속 필요성, 안전성에 대하여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교통안전이 향상된 시선유도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운전자에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곡선부 교통사고 위험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치 줄기세포에 대한 다양한 규산칼슘계 재료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Various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with Stem Cells from Deciduous Teeth)

  • 윤지혜;유용욱;안은숙;이준;안소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5-9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 줄기세포에 대해 다양한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 (CSM)의 세포독성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Retro $MTA^{(R)}$ (RM), $EZ-Seal^{TM}$ (EZ), ENDOCEM $Zr^{(R)}$ (EN)의 powder를 세포 배지를 이용하여 용출시키고 filtering 하였다. 유치 줄기세포가 다양한 농도의 용출액 하 배양되었다. MTS assay를 통해 CSM 용출액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Flow cytometry analysis를 통해 세포 표현형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10% 농도의 용출액에서 배양된 유치 줄기세포의 흡광도 값은 RM > EN > EZ 순이었다(p = 0.0439). 그러나 유치 줄기세포는 재료에 관계없이 간엽줄기세포의 표현형을 유지했다. 세 종류의 CSM이 줄기세포 marker를 변형시키진 않았지만, EZ가 RM과 EN보다 세포적합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패션에 표현된 하이브리드 경향 연구 - 1990년대 후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ybrid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Focusing on the End of 1990s -)

  • 임영자;한윤숙
    • 복식
    • /
    • 제51권5호
    • /
    • pp.113-134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n objective to prepare the framework of conformity for the 21st century modern fashion, which is interactive with mankind, based on a position that the 21st century contemporary fashion with its amalgamating trend of diversified artistic forms may not be elucidated on a standpoint centering on one certain modality. The hybrid fashion trend of historical modality which provides freedom and satisfaction in creation of an individuals expressive power in expressing true desire of mans inside through man-centered thought of the times has made multifarious motives of the past and present fragmentary. It thus extracts inner divisions and the concept of consolidation through three-dimensional form. Modern fashion is newly interpreted by the material and details of high technologies. and is harmonized by mix and match with various expressions. By having it, it is being expressed together with many types of dresses and ornaments. Modern fashion is being expressed together with many types of dresses and ornaments by new interpretations with the material and details of high technologies and by being harmonized with mix and match with various expressions. The hybrid fashion design trend of regional elements formed by stimuli and contacts of diverse local culture by globalization of network that was achieved by scientific technologies of the contemporary information society has disintegrated varied boundaries in the conventional culture by the latest communication technology-new media on the basis of newly created culture. The fact that regional elements could be expressed as if they were interrelated without each being deprived of originality may be explained with an interpretation on pluralism. The hybrid fashion design trend of cultural aspect, which manifests in the background of scientific technological culture as it transcends the societal-cultural boundaries based on the de-centralization theory of Frederic Jameson, has supplemented the imperfect meanings through conversional correlation with other forms and internal program changes. The middle stratal and polyhedral characteristics are seen as each cultural element is dismantled and reassembled by application of 'multiple-time point expression'. Design forming method is not to bring destruction from outside, but to embrace instability and chaos through radical dismantling of the inside. and to pursue diversity and openness. Thus. it is implemented by an approach that takes the role of design process. In communication of discontinuity, continuity was dismantled through forms of mixing, overlap, perversion, insertion and coincidence.

  • PDF

현대복식에 표현된 신고전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o-Classicism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 추미경;김순자
    • 복식
    • /
    • 제40권
    • /
    • pp.121-13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of neo-classicism which appered in the modern fashion of the pluralistic society of the latter half of 20th century to understand that the product of societh such as fashion mode reflects the situation of society and culture. For this purpose, documentary studies about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neo-classicism, were preceded, and analyzed the occurrenc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of neo-classicism of the modern fashion after the 1980's, which showed up in post-modernism fashion.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expressed in modern fashion is as follows; First, they are expressed in modern fashion in forms of simplicity by means of minimizing process of sewing or ornamenting and deletion of dart. Second, retro-style in terms of concerning of the past, is featured in various styles of Greco-roman drapery and expresed in forms of mixing clothing elements of modern and classic in modern times. Third, the trend of ecology in terms of interest of the nature and the thought that the spiritual world is more important than the material world. It is expressed by using natural elements adn natural materials, which wanted to get the nature and human into one and search for the losed nature of modern men. Fourth, the pursuit of the beauty of the human body, is expressed in forms of body-prioity style through using see-through or elastic materials, which is knit, lycra, spandex, etc. In conclusion, we can recognize that the social product reflects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neo-classicism has the meaning of harmonizing the human and nature and the returing the humanity.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디지로그의 특징 (A Study on the Features of Digilog in Contemporary Fashion)

  • 유차향;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5호
    • /
    • pp.61-77
    • /
    • 2017
  • Fashion companies are increasingly becom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gilog as a response strategy to an emotional stimulus, in order to win the hearts of consumers, because the Digilog provides a new type of emotional value. The features of Digilog found in modern fashion ar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Image of Hybrid Nature" expresses nature in a new light or reinterprets existing expressions of nature, by using cutting-edge technology based on the psychological desire to return to, adapt with, and harmonize with nature. Second, the "Fashion Image of Nostalgia," which exhibits past forms of regressive fashion, is a fashion code that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trend. It has a digital exterior, with retro materials and old perfumes that reflect psychological comfort, as its expressive medium. Third, the "Lifestyle through the Technique of Interaction" is the sharing of information through consumer participation and delivery, or its interaction. Fourth, the "Fashion Design through the Technique of Customizing" allows consum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sign process. It reflects the consumer's desire to personally design fashion products. Fifth, the "Emotion Sharing through the Technique of Storytelling," which focuses on intangible values, is based on the senti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brand, thereby satisfying the inner values as well as the aesthetic demands of consumers. This study confirmed that digital fashion, which uses digital technology based on analog sentiments, has opened up a new environment for fashion culture and has also widened the boundaries of fashion.

청공축제의 청소년 관객 공감 양상 연구 - '제3회 청소년을 위한 공연예술축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pathy of the Teenage Audience at the Cheong Kong Festival - Focusing on the 3rd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Youth -)

  • 오판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609-635
    • /
    • 2019
  • 이 글은 제3회 청공축제 경연에 참여한 공식참가작 5편을 분석하여 청소년 관객의 공감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에 사용한 준거는 공식참가작의 '등장인물과 연기' 그리고 '배경과 주제'였다. 첫째 등장인물은 대체로 청소년인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이 주인공이었지만, 이와 달리 청소년과 성인의 관계에 초점을 두거나 청년에 주목한 공연도 있었는데, 청소년 관객들은 청소년이 주인공인 공연을 더 좋아했다. 그리고 연기는 신파극보다는 정극을, 정극보다는 뮤지컬을 더 선호했다. 또한 공연에서 다룬 사건의 배경은 청소년 관객과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청소년 관객이 공연에 공감하는 정도가 높았고, 주제 또한 청소년들의 관심사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합평회에서 발표된 청소년 평가단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첫째 관객 참여형 신파극장, '미스터리 엑스'에 관해서는 청소년의 범위를 20대 청년으로 확장하고, 부정적이며 무거운 현실을 재미있고 유익하게 보여준 공연으로 평가했다. 둘째 공감도 높은 반편견 청소년극, '거북이'에 관해서는 나와 다른 청소년의 모습에 대한 편견을 '가방'이라는 상징을 통해 설득력 있게 형상화하였다고 평가했다. 셋째 70년대 시간여행 복고풍의 청소년극, '콩나물 버스'에 관해서는 잘 만들어진 복고주의 청소년극이라고 평가했다. 넷째 관계의 미학을 절제와 상징으로 보여준, '개기월식'에 관해서는 천체들의 관계처럼 인간관계도 서로 비춰주고, 바라보는 것이란 메시지를 잔잔하게 보여 준 화면 구성이 뛰어난 청소년극이라고 평가했다. 다섯째 뮤지컬로 재탄생한, 'B사감과 러브레터'에 관해서는 100년 전 발표된 현진건의 소설을 뮤지컬로 적절하게 각색하였다고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합평회에서 나온 청소년 평가단이 바라는 공연의 특징은 크게 '공감성'과 '교육성'이 높은 공연이었다. 즉, 단순한 볼거리보다는 청소년의 정서와 생각에 공감할 수 있는 공연을 선호했고, 다른 한편 공감을 넘어서서 자기 세계를 벗어나 세상을 넓게 바라볼 수 있는 공연, 편견을 깨는 청소년극을 보고 싶어 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청소년극에 관한 청소년 관객의 평가를 참고하여 청소년극을 만든다면 관객들이 더 많이 공감하는 공연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의 인삼 소비문화 -대학생 소비자의 인삼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s' consumption culture of Panax ginseng -Focused on college student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 for ginseng, and related products -)

  • 김시월
    • 인삼문화
    • /
    • 제2권
    • /
    • pp.71-83
    • /
    • 2020
  • 대학생은 소득활동을 준비하는 잠재적인 소득계층으로 매우 중요한 미래의 주된 소비자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 소비자의 인삼 관련 소비문화의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인삼 제품과 서비스의 확대를 위하여 그들의 인삼 제품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구매현황 및 만족도, 그리고 구매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생 소비자의 인삼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삼에 대한 신뢰성, 경제성, 구매 경험, 주관적 관심도, 월평균 소득(아르바이트 포함), 월평균 용돈, 인삼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연령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대부분의 변수가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월평균 소득, 월평균 용돈, 연령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즉, 인삼에 대한 신뢰성, 경제성, 자부심이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았으며, 구매 경험이 많을수록, 인삼에 대한 주관적 관심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 역시 높았으나, 연령, 월평균 용돈, 소득 등은 높을수록 오히려 구매의도가 낮았다. 대학생의 인삼 제품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젊은 층을 위한 가격 인하, 질적인 측면에서의 고급화, 그리고 젊은 세대를 위한 제품의 다양화, 떫고 쓴 맛을 거부하는 부정적인 측면을 극복할 수 있는 맛 개선, 그리고 무엇보다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면이 필요하다. 또한, 젊은 층이 편리하고 쉽게 먹을 수 있는 제품 개발과 판매처의 증설 등을 통한 접근성 확대도 필요하다. 최근 젊은 소비자들은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제품, 디자인이나 포장이 독특하여 인증하기 좋은 제품, 과거의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제품 등에 관심이 많으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인삼 제품 소비와 관련된 홍보 및 정보제공을 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의 실용성과 편리성을 고려하고 다양한 생활환경에 맞추어 휴대가 편리한 제품 선호를 반영하며 다른 제품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개인 소비자의 취향 큐레이션 서비스 등의 고려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