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rieval

검색결과 4,778건 처리시간 0.031초

내용기반 이미지 및 비디오 검색 시스템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Content-based Image & Video Retrieval Systems)

  • 김성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7-11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미지 및 비디오 내용기반 검색 시스템 개념 및 유형을 분석 한 후 현재 상용중인 내용기반 검색시스템 5개를 선정해서 기존의 선행연구 및 각 시스템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성능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멀티미디어 정보검색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내용기반 검색과 주석기반 검색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역의 컬러특징과 적응적 컬러 히스토그램 빈 매칭 방법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Color Feature of Region and Adaptive Color Histogram Bin Matching Method)

  • 박정만;유기형;장세영;한득수;곽훈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64-366
    • /
    • 2005
  • From the 90's, the image information retrieval methods have been on progress. As good examples of the methods, Conventional histogram method and merged-color histogram method were introduced. They could get good result in image retrieval. However, Conventional histogram method has disadvantages if the histogram is shifted as a result of intensity change. Merged-color histogram, also, causes more process so, it needs more time to retrieve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new method using Adaptive Color Histogram Bin Matching(AHB) in image retrieval.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tested and verified through a number of simulations using hundreds of images in a database. The simulation results have Quickly yielded the highly accurate candidate images in comparison to other retrieval methods. We show that AHB's can give superior results to color histograms for image retrieval.

  • PDF

중복된 칼라 히스토그램과 공간 정보를 이용한 내용 기반 화상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L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the duplicated color histogram and spatial information)

  • 김철원;최기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89-898
    • /
    • 1997
  • Most general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s use color and texture as retrieval indices. Spatial information is not used to color histogram and color pair based on color retrieval techniques. This paper proposes the selection of a set of representative in the duplicated color histogram, the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lors and the image retrieval process based on the duplicated color histogram and spatial information. Two color historgrams for background and object are used in order to decide on color selection in the duplicated color histogram. Spatial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aximum entropy discretization. A retrieval process applies to duplicated color histogram and spatial to retrieve input images and relevant images. As the result of experiment of the image retrieval, improved color his togram and spatial information method hs increased the retrieval effectiveness more the color histogram method and color pair method.

  • PDF

Metadata Processing Technique for Similar Image Search of Mobile Platform

  • Seo, Jung-He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9권1호
    • /
    • pp.36-41
    • /
    • 2021
  • Text-based image retrieval is not only cumbersome as it requires the manual input of keywords by the user, but is also limited in the semantic approach of keywords. Howeve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enables visual processing by a computer to solve the problems of text retrieval more fundamentally. Vision applications such as extraction and mapping of image characteristics, require the processing of a large amount of data in a mobile environment, rendering efficient power consumption difficult. Hence, an effective image retrieval method on mobile platforms is proposed herein. To provide the visual meaning of keywords to be inserted into images, the efficiency of image retrieval is improved by extracting keywords of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metadata from images retrieved through a content-based similar image retrieval method and then adding automatic keywords to images captured on mobile devices. Additionally, users can manually add or modify keywords to the image metadata.

FRBR 모형 기반 서지검색시스템의 검색 효율성 평가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trieval Efficiency of the FRBR Based Bibliographic Retrieval System)

  • 김현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3-24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FRBR 모형 기반 서지검색시스템의 검색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두 개의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즉, FRBR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FRBR 기반 시스템과 일반 OPAC 기반 시스템을 387건의 KORMARC 기반 음악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그런 다음, 6개의 연구 가설을 세우고 28명의 피조사자와 표현형 질문 6개와 구현형질문 6개로 구성된 총 12개의 검색 질문을 이용하여 이 두 시스템을 재현율, 정확률 및 검색 시간을 측정 기준으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중다변량분석과 t-검증을 이용하여 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FRBR 시스템이 질문의 유형을 가리지 않고 평균 재현율이 OPAC 시스템 보다 단연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현형 질문의 경우 OPAC 기반 시스템이 FRBR 기반 실험시스템보다 평균 정확률이 조금 높았고 평균 검색 시간이 더 짧게 나타났다. 현 검색 환경에 FRBR 기반 시스템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서지적 연관성이 높은 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야에 적용될 때 OPAC 시스템을 대체하기보다는 이를 보완하면서 FRBR 시스템의 특성을 살려 질의 유형이 표현형인 경우 또는 높은 재현율을 요하는 경우 특히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주석 및 특징을 이용한 의미기반 비디오 검색 시스템 (A Semantics-based Video Retrieval System using Annotation and Feature)

  • 이종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1권4호
    • /
    • pp.95-102
    • /
    • 2004
  • 비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내용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질의를 처리할 수 있는 의미기반 검색 기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내용기반 비디오 검색 시스템들은 주석기반 검색 또는 특징기반 검색과 같은 단일 방식으로만 검색을 하므로 검색 효율이 낮을 뿐 아니라 완전한 자동 처리가 되지 않아 시스템 관리자나 주석자의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석기반 검색과 특징기반 검색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의미검색을 지원하는 에이전트 기반에서의 자동화되고 통합된 비디오 의미기반 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기본적인 질의와 질의에 의해 추출된 키 프레임의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에이전트는 추출된 키 프레임의 주석에 대한 의미를 더욱 구체화시킨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 프레임은 질의 이미지가 되어 제안하는 특징기반 검색 기법과 최적 비교 영역 추출을 통해 가장 유사한 키 프레임을 검색한다. 따라서 의미기반 검색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의 검색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자동 주석 갱신 및 멀티 분할 색상 히스토그램 기법을 이용한 의미기반 비디오 검색 시스템 (A Semantic-based Video Retrieval System using Method of Automatic Annotation Update and Multi-Partition Color Histogram)

  • 이광형;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C호
    • /
    • pp.1133-1141
    • /
    • 2004
  • 비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내용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질의를 처리할 수 있는 의미기반 검색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주석기반 검색과 특징기반 검색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의미검색을 지원하는 에이전트 기반에서의 자동화되고 통합된 비디오 의미기반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기본적인 질의와 질의에 의해 추출된 키 프레임의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에이전트는 추출된 키 프레임의 주석에 대한 의미를 더욱 구체화시킨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 프레임은 질의 이미지가 되어 제안하는 특징기반 검색기법을 통해 가장 유사한 키 프레임을 검색한다. 설계하고 구현한 시스템은 실험을 통한 성능평가에서 90%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음성정보 내용분석을 통한 골프 동영상에서의 선수별 이벤트 구간 검색 (Retrieval of Player Event in Golf Videos Using Spoken Content Analysis)

  • 김형국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674-679
    • /
    • 2009
  • 본 논문은 골프 동영상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로부터 검출된 이벤트 사운드 구간과 골프 선수이름이 포함된 음성구간을 결합하여 선수별 이벤트 구간을 검색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전체적인 시스템은 동영상으로부터 분할된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잡음제거, 오디오 구간분할, 음성 인식 등의 과정을 통한 자동색인 모듈과 사용자가 텍스트로 입력한 선수 이름을 발음열로 변환하고, 색인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된 선수 이름과 상응하는 음성구간과 연결되는 이벤트 구간을 찾아주는 검색 모듈로 구성된다. 선수이름 검색을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 기반, 단어 기반, 단어와 음소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적용한 선수별 이벤트 구간 검색결과를 비교하였다.

2단계 유사관계 행렬을 기반으로 한 순위 재조정 검색 모델 (A Re-Ranking Retrieval Model based on Two-Level Similarity Relation Matrices)

  • 이기영;은희주;김용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1호
    • /
    • pp.1519-1533
    • /
    • 2004
  • 웹 기반의 학술분야 전문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 요구 표현을 극히 제한적으로 허용함으로써 검색된 정보의 내용 분석과 정보 습득의 과정이 일관되지 못해 무분별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용어의 상대적인 중요 정도를 축소용어 집합으로 구성하여 검색 시스템의 높은 시간 복잡도를 해결할 수 있도록 퍼지 검색 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퍼지 호환관계의 특성을 만족하는 유사관계 행렬을 통해 사용자 질의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 검색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퍼지 검색과 문서 클러스터 검색의 유사도 결합을 통한 순위 재조정 검색 모델은 검색 성능을 표현하는 정확률과 재현율 척도에서 향상됨을 입증하였다.

이동 객체의 내용 및 개념 기반 검색을 위한 시공간 모델링에 근거한 시그니쳐 기반 비디오 색인 기법 (A Signature-based Video Indexing Scheme using Spatio-Temporal Modeling for Content-based and Concept-based Retrieval on Moving Objects)

  • 심춘보;장재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1호
    • /
    • pp.31-4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데이터가 지니는 이동 객체의 궤적(Moving Object's Trajectory)을 효과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는 시공간 표현 기법(Spatio-Temporal Representation Scheme)과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질의에 대해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새로운 시그니쳐 기반 접근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공간 표현 기법은 궤적을 기반으로 하는 내용 기반 검색(Content-based Retrieval)과 궤적에서 일어나는 위치 정보를 통해 얻어진 개념(의미)을 이용한 개념 기반 검색(Concept-based Retrieval)을 지원한다. 아울러, 제안하는 시그니쳐 기반 접근 기법은 데이터 파일을 직접 접근하기 전에 전체 시그니쳐들은 탐색하여 필터링을 수행한 후, 검색된 후보 시그니쳐들에 대해서만 디스크를 접근하기 때문에 순차 탐색에 비해 많은 수의 디스크 접근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검색 성능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검색 효과(Retrieval Effectiveness) 및 효율(Retrieval Efficiency) 측면에서 기존의 방법인 Li나 Shan의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