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ort packagin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포장식품의 레토르트 공정 (Retort Processing of Packaged Foods)

  • 정동화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9-65
    • /
    • 2007
  • Packaged food products often undergo retort processing, a thermal processing in a pressurized vessel called a retort, to ensure their microbiological safety or shelf-stability under normal non-refrigerated conditions of storage and distribution. Retort processing is generally aimed to accomplish commercial sterility of packaged foods with acceptable nutritional and sensorial qualities. Fundamental principles on retort processing, such as thermal resistance kinetics of target microorganism, heat penetration theory, and methods for evaluating process sterility and food quality loss, were reviewed. Factors affecting process severity, heat transfer mechanism, and heat penetration efficiency were summarized. General features of retortable packaging formats including metal cans, glass jars, and plastic packages were also briefly reviewed.

  • PDF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를 적용한 레토르트 포장재 개발 (Development of Retort Packaging Material Using Cellulose Nano Fiber)

  • 이진희;최정락;구강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47
    • /
    • 2021
  • As modern society develops, it becomes very complex and diverse, and interests in the convenience of lif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re gradually increasing. Products used in our daily life are also chang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consumers, and food packaging is one of them. In particular, retort packaging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long-term preservation of contents, but the appearance of products suitable for recent environmental issues has been somewhat delayed.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eco-friendly and human-friendly products by replacing the metals used in the existing retort packaging materials,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on was examined using cellulose nanofibers, a natural material.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all functions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existing long-term storage characteristics for retort packaging films. In particular, not only oxygen permeability and water vapor permeability, which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but also heat resistance, which is heating durability, is evaluated as applicable to commercialization compared to products using metals currently in use.

국내 레토르트 삼계탕 제품의 포장 개선을 위한 소비자 기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Consumer Preferences for Improving Retort Food Packaging of Samgyetang on Domestic Market in Korea)

  • 이명호;김민휘;이윤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9-139
    • /
    • 2021
  • 최근 건강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름철 전통 보양식인 삼계탕의 소비 증대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삼계탕은 조리를 위해 다양한 재료 준비와 시간, 노력 등이 많이 드는 요리로 시장성 확대에 어려움이 있어 가정간편식 형태 중 하나인 레토르트 제품으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레토르트 삼계탕 제품개발로 장기 보존이 가능해지고 수출량이 증가하면서 레토르트 삼계탕 제품의 소비 및 시장성 확보를 하기 위해 삼계탕 가공 및 레시피, 디자인 선호도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비자의 기호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포장 선호도 조사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레토르트 삼계탕 제품의 포장 디자인 및 편의성 선호도 조사 연구를 기반으로 소비자들이 제품의 보호성과 편의성을 주는 포장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조리 편의성을 위해 별도의 용기 없이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한 레토르트 제품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국내 소비자의 레토르트 삼계탕 제품 포장 선호도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국외 수출 증대를 위한 레토르트 제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른 포장 소비 선호도 그리고 각 포장 재질과 편의성 개선에 따른 상품화 가능성 및 가격 변화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살균온도 및 포장재내 공기량이 레토르트 쌀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rilization Temperatures and Internal Air Volumes of a Pouch on the Quality of Retort Rice)

  • 고하영;박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0-154
    • /
    • 1990
  • 취반과 살균을 단일화하는 레토르트 쌀밥 제조방법개발을 위해 원료쌀과 밥짓는 물을 소정량 함께 충전 밀봉한 후 살균온도$(110^{\circ}C,\;120^{\circ}C,\;130^{\circ}C)$ 및 포장재내 공기량(함기 ; 31ml, 반진공, 13ml, 진공; -0.7ml)을 달리하여 시험하였다. 수분 15.8%인 원료 쌀과 물의 비율을 1:1.1로 하여 레토르트 살균한 경우 쌀밥의 수분은 59.0-63.3%이었다. 내용 쌀밥의 층별 수분분포가 가장 균일한 조건은 $130^{\circ}C$ 진공포장이었고, 가열온도가 낮고 함기량이 많을수록 층별 차이는 컸다. 퍼짐도는 일반취반밥에 비하여 켰으며, 층별로는 상층이 낮았고 하층이 컸으며. 파우치내 잔존공기량이 많을수록 퍼짐도가 적었다. 층간의 차이는 가열온도가 높고 잔존공기량이 적을수록 적었다. ${\alpha}$화도는 포장방법에는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나 살균온도가 높을수록 ${\alpha}$화도가 증가하였다. 색택은 가열온도가 높고 잔존 공기량이 적을수록 백색도가 높았으며, 가장 우수한 것은 $130^{\circ}C$ 진공포장 제품이었다. 밥알의 온전도는 함기포장인 것이 진공포장보다 월등히 높았다. 기호도는 진공포장의 경우가 색택과 퍼짐성에 있어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외관에서는 밥알이 대부분 찌그러지고 떡모양이 되어 좋지 않았다. 함기포장의 정우는 색택에서 다소 불량하나 온전밥알의 유지상태가 좋아 조직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기호도 검사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것은 $130^{\circ}C$ 반진공 제품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