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aining wall

검색결과 735건 처리시간 0.026초

주문진 모래로 뒤채움한 선반식 옹벽의 수평토압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for Lateral Earth Pressure on Retaining Wall with Relieving Platform backfilled with Jumoonjin Sand)

  • 문인종;김병일;유완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16-3922
    • /
    • 2014
  • 일반적으로 옹벽은 높이가 높아질수록 안정성이 작아진다. 하지만 선반식 옹벽은 선반 설치로 인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의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다른 옹벽과 비교하면 안정성 및 경제성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선반식 옹벽의 수치해석 연구에서와는 다르게 옹벽의 종류, 선반의 길이, 선반의 위치 등의 조건을 변화시켜 총 15가지의 해석 조건으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비교하여 선반식 옹벽의 수평토압 감소효과를 확인하였고, 또한 모형시험의 결과와 이론해를 동시에 비교하여 수평토압의 감소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선반식 옹벽은 캔틸레버식 옹벽에 비해 수평토압 감소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고, 선반의 위치, 선반의 길이 등에 따라 수평토압의 크기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반식 옹벽의 수평토압에 관한 모형시험과 수치해석 비교 (Comparison of the Lateral Earth Pressure on the Retaining Wall with the Relieving Platform by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 유완규;김병일;문인종;박용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82-2389
    • /
    • 2012
  • 일반적으로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옹벽의 안정성과 경제성은 작아지는데 이런 경우 선반식 옹벽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선반식 옹벽의 선반은 전체 토압을 감소시켜주어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켜준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선반이 설치되는 위치인 지표면으로부터 0.4H지점에 선반을 설치한 선반식 옹벽과 캔틸레버식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분포에 대한 모형시험 결과를 수치해석 프로그램과 이론해를 이용한 토압과 비교하여 선반식 옹벽에 발생하는 토압 경감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형시험결과와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및 이론해에 의한 토압산정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선반식 옹벽은 캔틸레버식 옹벽에 비해서 수평토압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선반을 설치하여 발생하는 토압의 감소효과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립식 격자 옹벽의 변형거동에 관한 모형실험 연구 (A Study on the Deformation Behavior of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Using Scaled Model Tests)

  • 배우석;권영철;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7권5호
    • /
    • pp.350-359
    • /
    • 2007
  • 노천광산이나 도로 철도의 대절토사면 등은 급경사를 형성하며 대부분이 토양층을 포함하지 않는 암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암반 비탈면은 풍화와 파쇄가 발달해 있으며 경사가 심하여 표면침식에 의한 탈락과 붕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암반 비탈면의 붕괴억제 등 토압의 지지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토류 구조물로는 현장 타설식 콘크리트 옹벽이나 석축 등이 있으며, 기존의 옹벽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구조물로 기성 부재를 결합하여 시공하는 조립식 격자옹벽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립식격자옹벽의 변형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배면 strecher의 형상과 벽체의 높이와 경사에 따른 실내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을 통해 옹벽경사의 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변위를 측정하고 위치별 변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옹벽을 구성하는 header와 strecher 중 상부하중 전달의 역할을 수행하는 rear strecher의 유 무와 rear strecher의 형태에 따른 옹벽의 거동특성, 옹벽 배면채움재의 변위 특성 및 작용점의 위치를 측정하고 조립식 격자 옹벽의 하중-변위 특성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조립식 격자 옹벽의 파괴는 옹벽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파괴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최대변형률의 크기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동일한 경사와 높이에서 rear strecher의 형태는 최대수평변위 발생위치와 변형의 크기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벽체의 경사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ao-3 algorithm for the weight optimization of reinforced concrete cantilever retaining wall

  • Kalemci, Elif N.;?kizler, S. Ban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0권6호
    • /
    • pp.527-536
    • /
    • 2020
  • The paper represents an optimization algorithm for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design. The proposed method, called Rao-3 optimization algorithm, is a recently developed algorithm. The total weight of the steel and concrete, which are used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were chosen as the objective function.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05) and Rankine's theory for lateral earth pressure were considered for structural and geotechnical design, respectively. Number of the design variables are 12. Eight of those express the geometrical dimensions of the wall and four of those express the steel reinforcement of the wall. The safety against overturning, sliding and bearing capacity failure were regarded as the geotechnical constraints. The safety against bending and shear failure, minimum and maximum areas of reinforcement, development lengths of steel reinforcement were regarded as structural constraints.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was evaluated with two design examples.

현장모형실험을 통한 AER옹벽의 지주보의 역학적 효과 (Mechanical Effects of Back Supporting Beam of Assembled Earth Retaining Wall on Field Model Tests Results)

  • 김홍선;임종철;최중현;서민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343-355
    • /
    • 2017
  • AER옹벽은 사면안정에 적용하는 억지말뚝을 옹벽에 결합한 구조로서 새롭게 개발되었으며, 종래의 옹벽보다 안정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 되었다. AER옹벽에 적용된 억지말뚝은 지주보로 명명하고, 지주보에 의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어 현장모형실험과 3D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현장실험의 결과, L형 옹벽에 비해 토압이 상당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3D 수치해석을 통해 일반적인 L형 옹벽과 AER옹벽을 비교한 결과 최소 29.85%의 수평변위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AER옹벽의 지주보의 뛰어난 역학적 안정성을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재하중 재하에 따른 역 T형 옹벽의 활동거동에 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f Cantilever Retaining Wall Sliding Behavior due to Surcharge Loading Condition)

  • 유남재;이명욱;박병수;이승주
    • 산업기술연구
    • /
    • 제21권B호
    • /
    • pp.205-212
    • /
    • 2001
  • This paper is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earch about the sliding behavior of cantilever retaining walls resisting surcharge loads. In experimental research, centrifuge model tests at the lg and 40 g-level were performed by changing the location of model footing and its width. Bearing capacity of model footing and characteristics of load-settlement and load-lateral 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were investigated. Test results of bearing capacity were compared with modified jarquio method, based on the limit equilibrium method with elasticity theory. For the numerical analysis, the commericially available program of FLAC was used by implementing the hyperbolic constitutive relationships to compare with test result about load-settlement and load-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bearing capacity of strip footing.

  • PDF

보강토 옹벽 전면블록의 연결강도 및 마찰특성 평가 (Assessment of Connection Strength and Frictional Characteristic for The Segmental Retaining Wall Unit)

  • 김진만;조삼덕;오세용;이대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62-1571
    • /
    • 2005
  • The use of geogrid for SRW systems and bridge abutment has increased rapidly over the past 10 years in Korea. The concept of segmental retaining walls and reinforced soil is very old and for example The Ziggurats of Babylonia(i.e. Tower of Babel) were built some 2,500 to 3,000 years ago using soil reinforcing methods very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current design. Modern SRW(Semental Retaining Wall) units were introduced in 1960's as concrete crib retaining wall systems. In this paper, the friction properties between segmental concrete units and geogrid are investigated by performing various tests.

  • PDF

옹벽파괴에 의한 사면붕괴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landslide resulted from earth retaining wall failure)

  • 김형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084-108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example of landslide triggered by the failure of earth retaining wall. Close examinations such as visual inspections and non-destructive testings revealed that the earth retaining wall does not have enough strength to resist active earth pressure and ground water pressure. This fact is proved to be a direct initiation of landslide. Numerical studies including slope stability analyses and seepage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material properties obtained by geophysical explorations and laboratory tests. The results of numerical studies show that the overturning of the earth retaining wall affects the slope stability, leading to landslide consequently.

  • PDF

프리캐스트 옹벽 마이크로 파일의 보강 효율 (Reinforcing Efficiency of Micro-Pile with Precast Retaining Wall)

  • 문창열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7호
    • /
    • pp.61-7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좁게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옹벽 배면에 상재하중을 재하 하였을 경우 마이크로파일의 수평저항 거동에 대한 설치 효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형시험과 수치해석을 수행 하였다. 실내모형시험은 모형토조에 기초지반 조성 후 모형옹벽을 설치하였으며, 옹벽 배면에 상재하중을 재하 하여 마이크로파일의 설치간격 및 길이 등을 각각 변화시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강된 마이크로파일이 프리캐스트 옹벽에 발생하는 수평방향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파일의 간격을 좁게 설치하고 파일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보강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파일의 길이가 0.5H 설치간격은 7D에서 최적의 보강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시공단계를 고려한 비탈면의 안정성 검토를 통한 비탈면 활동원인 연구 (A Study on the Collapse Reason by Slope Stability Analysis Considering Construction Stages)

  • 변요셉;장현길;정경식;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8호
    • /
    • pp.25-31
    • /
    • 2011
  • 최근 우기 시 집중호우로 인한 보강토 옹벽 및 비탈면의 붕괴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더욱 인명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보강토 옹벽의 붕괴된 사례를 통해 보강토 옹벽의 균열 및 비탈면활동의 원인을 분석한 내용을 다루었고, 시공단계를 고려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비탈면의 파괴원인 분석 및 거동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집중호우에 의한 보강토 옹벽의 변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증가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말뚝 항타로 인해 보강토 옹벽의 붕괴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