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aining time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6초

A novel technique for placing titanium mesh with porous polyethylene via the endoscopic transnasal approach into the orbit for medial orbital wall fractures

  • Bae, Seong Hwan;Jeong, Dae Kyun;Go, Ju Young;Park, Heeseung;Kim, Joo Hyoung;Lee, Jae Woo;Kang, Taewo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421-425
    • /
    • 2019
  • Background The endoscopic transnasal approach is widely used for reconstructing the medial orbital wall by filling it with a silicone sheet or Merocel, but this technique has the disadvantage of retaining the packing for a long time. To overcome this drawback, a method of positioning an absorbable plate in the orbit has been introduced, but there is a risk of defect recurrence after the plate is absorbed. Here, the authors report the results of a novel surgical technique of placing a nonabsorbable titanium mesh with porous polyethylene into the orbit through the endoscopic transnasal approach. Methods Fourte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using the endoscopic transnasal approach.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was used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bone defect due to the fracture, and the titanium mesh was designed to be shorter than the anteroposterior length of the defect and longer than its height. The titanium mesh was inserted into the orbit under an endoscopic view. The authors then confirmed that the titanium mesh supported the orbital contents by pressing the eyeball and finished the operation. Immediately after surgery, CT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Postoperative CT scans confirmed that the titanium mesh was well-inserted and in the correct position. All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s. Conclusions We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by inserting a titanium mesh with porous polyethylene into the orbit via the transnasal approach endoscopically.

선박예지정비모델 개발을 위한 LNG 선박 도크 수리 항목의 텍스트 분석 연구 (Study on Text Analysis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Dock Specification for Development of the Ship Predictive Maintenance Model)

  • 황태민;윤익현;오정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66
    • /
    • 2021
  • 다양한 산업에서 강조되고 있는 정비의 중요성은 각 분야에 다양한 정비전략을 적용하도록 만들었다. 해양산업 역시 그에 따른 정비전략의 변화가 있었으나 타 산업 대비 그 속도가 느려 실제 적용이 되지 않은 채 과거 시행되고 있던 방식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선박은 기존에 행해왔던 방식의 정비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편이며 해상의 조건에서 선박은 새로운 정비전략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있다. 이에 선박예지정비모델은 기기의 정비가 필요한 시점을 예지하여 조치 할 수 있는 정비전략으로서 선박이 항해 중에 처할 수 있는 정비 관련 위험요소들을 줄여 주는 모델이다. 본 연구는 선박예지정비모델의 개발을 위한 연구 중의 하나로서, LNG선박 입거사양서의 텍스트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과를 원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해석해보았다. 공통된 정비항목 조합을 도출하여 선박 내 다른 기기들 사이에 작용하고 있는 상호연관성을 발견하고 이를 앞으로 개발될 선박예지정비모델에 적용하고자 한다.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위한 저전력 반복 깨우기 기법 (Low-Power-Consumption Repetitive Wake-up Scheme for IoT Systems)

  • 강카이;김진천;은성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596-1602
    • /
    • 2021
  •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배터리로 동작하는 사물인터넷 장치는 저전력 소모가 필수이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 장치들은 주기적으로 수면 상태에 진입하여 전력 소모를 줄인다. 하지만 비동기 사용자 요구 환경에서는 응답시간을 줄이기 위해 듀티 사이클을 줄여야 하므로 전력 소모 절감 효과가 줄어든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전등 제어와 같은 비동기 제어가 필요한 환경에서도 장치의 전력 소모 절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반복 깨우기(repetitive wake-up) 기법은 스마트폰에서 깨우기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하고 사물인터넷 장치는 듀티 사이클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스마트폰 앱과 사물인터넷 장치를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반복 깨우기 기법이 기존의 동기적 수면/활동 기법보다 최대 5배 이상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무인항공기 영상 촬영을 활용한 벌목지역의 비탈면 안정성 평가 (Slope Stability in Logging Area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Imaging)

  • 김태완;유형식;박석인;김재홍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7호
    • /
    • pp.39-47
    • /
    • 2022
  • 본 연구는 도심지 내에 위치한 학교와 아파트 등 지반구조물들의 재해 위험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탈면붕괴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뒤편의 비탈면이 2018년 8월에 집중호우로 인하여 붕괴되었다. 일반적으로 장마철이면 비탈면 주위로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되겠지만, 붕괴 시 비탈면 표층에서 침투수의 다량 용출과 지표면을 따라 포화된 지층을 따라 얕은파괴가 진행되었다. 붕괴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직접 확인하지 못하는 비탈면 상부지역을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영상촬영을 하였다. 영상분석을 통해 경사도를 이용한 수치표고모형(DEM)을 수행하였고, 강우 흐름 방향, 벌목지역의 넓이와 폭, 길이를 계산할 수 있었다. 10일 동안 지속된 강우로 인한 붕괴사면의 시간별 불안정성에 대한 변화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광폭인장시험을 통한 지오그리드의 시간의존적 변형 거동 고찰 (Time-dependent Deformation Charateristics of Geogrid Using Wide Width Tensile Test)

  • 유충식;전한용;김선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71-8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보강토 구조물에 보강재로 적용되는 지오그리드의 시간 의존적 변형거동 특성에 대한 광폭 인장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다양한 보강재의 종류에 대해 인장속도에 따른 파단강도 및 강성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보강토 구조물이 사용연한 동안 받게될 다양한 하중 조건, 즉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을 작용시킬 수 있는 장비를 특수 제작하여 지오그리드의 시간의존적 변형거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 작용시 잔류변형은 보강재의 점성(viscous) 특성의 형태로서 쌍곡선 특성 곡선으로 잘 모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잔류변형은 시간의존적 점성거동의 측면에서 다루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 풍화된 화강풍화토의 불포화 응력-변형률 거동 특성 (The Unsaturated Stress Strain Behavior of CDG (Completely Decomposed Granite) Soils)

  • 함태규;안태봉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21-28
    • /
    • 2010
  • 화강풍화토는 가장 일반적인 흙의 종류이다. 비등방성 화강풍화토의 응력-변형-강도를 측정하는 것은 사면, 옹벽, 굴착의 변형과 안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불포화 강도특성을 알기 위하여 일련의 불포화 배수삼축압축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시료는 다짐방향에 각각 0, 45, 90도의 축방향각을 갖도록 하였다. 등방압축을 받는 시료의 축변형률은 다짐방향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이차압축과정에는 시간의존성은 다짐방향과 관계가 거의 없다. 삼축압축강도와 변형에 미치는 다짐방향의 영향은 저구속압과 포화토에서 더 확연한것으로 나타났다. 다짐방향과의 각도를 고려하는 불포화화강풍화토의 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레이더 영상을 이용한 연안 양식장 탐지 기법 분석 (Analysis of Offshore Aquaculture Detection Techniques Using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 황도현;정한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401-1411
    • /
    • 2023
  • 해양공간 이용 증가로 해양 공간을 활용하는 사람들간 갈등이 발생되며, 정부의 허가 및 규제로는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은 면허 제도로 운영되고 있는데, 지자체별로 관리하고 있어 정확한 실태 파악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을 이용하여 연안에 위치한 양식 어장을 모니터링하고 관리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Sentinel-1A 영상이며 시계열로 구성된 SAR 영상을 중첩하였다. 중첩 자료를 활용하면 양식 어장과 같은 작은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살리면서 노이즈만 제거할 수 있다. VH 편광 자료를 활용할 경우 연안에 위치한 양식 어장을 약 88%의 전체 정확도로 탐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계절별로 변하는 양식 품목에 맞춰 양식 어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 공간 활용에 대한 관리 주기를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온도 측정을 통한 상용 쑥뜸의 자극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승온속도 및 유효자극기를 중심으로 - (Experimental Study on the Stimulating Effect of Commercial Moxa Combustion through the Measurement of Temperature - Focused on ascending temperature gradient and effective stimulating period -)

  • 이건목;이건휘;이승훈;양명복;고기덕;서은미;장종덕;황병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64-76
    • /
    • 2002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and effect of moxibustion objectively and to be used as the quantitative data for developing the new thermal stimulating treatment by observing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oxaes. Methods : We have selected two types(large-size moxa A(LMA), large-size moxa B(LMB)) among large moxaes used widely in the clinic. We examined combustion times, temperatures, temperature gradients in each period during a combustion of moxa. Results : 1. The ascending temperature gradient measured in the central point of non-contacted surface was fastest, the average ascending temperature gradient of both moxaes was $0.0384^{\circ}C/sec$, $0.0123^{\circ}C/sec$ respectively, 3.1 times faster in LMA. The maximum ascending temperature gradient was also about 2.9 times faster in LMA. The time required for the maximum ascending temperature gradient from ignition was 254sec, 411sec respectively. 2. The minimum descending temperature gradient in the retaining period was $-0.0250^{\circ}C/sec$, $-0.0090^{\circ}C/sec$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descending temperature gradient was $-0.0160^{\circ}C/sec$, $-0.0037^{\circ}C/sec$ respectively on the non-contact surface. 3. On the basis of the non-contact surface($A_I$), the time at which the effective stimulus period began to occur was about 264sec, 796sec respectively after an ignition, the time at which the maximum temperature began to occur was about 373sec, 1323sec respectively after an ignition, and the maximum temperature was $0.9^{\circ}C$ higher in LMA. The maximum ascending temperature gradient was also about 4.2 times faster in LMA. Conclusion : It was thought that not only the figure of moxicombustion device, but also the form and size of moxa had influence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deciding the performance of stimulus seriously.

  • PDF

흙의 급속 함수비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edy Water Content Measurement Method for Soils)

  • 박성식;김주영;이새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57-6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성토, 보조기층, 옹벽 뒤채움 토사의 함수비를 신속하게 측정할 목적으로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칼슘 카바이드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급속 함수비 측정방법의 정확도 및 신뢰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급속 함수비 측정방법에서 얻은 실험 결과와 항온 건조로 및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함수비시험에는 국내 현장에서 채취한 화강풍화토와 낙동강모래를 비롯하여 모래-카올리나이트 혼합토를 사용하였다. 먼저 급속 함수비시험에서는 20, 22, 24, 26, 28, 30g의 시료를 각각 1, 3, 5분으로 작동하여 시료 양과 작동시간에 따른 함수비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 양과 작동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급속 함수비도 일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작동시간보다는 시료 양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흙의 통일분류법 상 SM으로 분류된 화강풍화토의 경우에는 24g으로 3분 측정한 급속 함수비가 항온 건조로로 구한 함수비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SP로 분류된 낙동강모래의 경우에는 30g으로 3분 측정한 경우가 가장 유사하였다. 낙동강모래에 카올리나이트가 20-50% 함유된 인공 시료의 경우, 급속 함수비는 점토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암반비탈면 활동에 의한 도로 융기현상 사례 연구 및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대책공법 검증 (A Case Study of Road Upheaval caused by Slope Movement, and Verification of Reinforcement using Real-Time Monitoring)

  • 이종현;구호본;김승현;김승희
    • 지질공학
    • /
    • 제21권3호
    • /
    • pp.221-230
    • /
    • 2011
  • 암반비탈면의 활동에 의해 전방 도로부에 융기현상이 발생되었다. 국내의 대다수 비탈면은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구지역과 같이 암반비탈면 활동에 의한 도로 융기현상을 관찰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구성암 풍화와 지질학적 약대 형성이 진행된 암반비탈면은 불연속면을 따른 기하학적인 붕괴보다는 전체 구성암의 원호활동 지배를 더 크게 받을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을 통해 편암 등 이방성이 강한 암석이나 특정 방향의 불연속면이 비탈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경우에는 연속체 해석에 편재절리모델을 혼합하여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암반비탈면의 연속체 해석 수행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현장조사와 안정해석 결과를 근거로 본 비탈면의 안정화를 위해 계단식옹벽과 앵커공법을 제안하였으며, 보강 완료 후에는 계측기를 설치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적용 대책공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