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ting spore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8초

Ornamented Resting Spores of a Green Alga, Chlorella sp., Collected from the Stone Standing Buddha Statue at Jungwon Miruksazi in Korea

  • Klochkova, Tatyana A.;Kim, Gwang-Hoon
    • ALGAE
    • /
    • 제20권4호
    • /
    • pp.295-298
    • /
    • 2005
  • The growth of subaerial microalgae on historic buildings or various cultural properties causes discoloration and physico-chemical deterioration of the surfaces. We collected a subaerial chlorophyte, Chlorella sp., from the stone Standing Buddha statue at Jungwon Miruksazi, which is a national treasure of Korea, and found dormant, thickwalled spores with regular pentagonal ornamentation along with the vegetative Chlorella cells. The morphology of Chlorella resting spores was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green algal resting cells. The ornamented spores and smooth-walled vegetative cells revived in 2 weeks in a liquid freshwater medium and started reproduction by autospores. To our knowledge, the ability of Chlorella to form ornamented dormant spores in drought condition was not previously recorded. The ornamentation of spores would supplement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this genus.

배추무사마귀병균 휴면포자의 발아 및 생존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 (Som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Germination and Survival of Resting Spores of Plasmodioprora brassicae)

  • 김충회;조원대;김홍모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66-71
    • /
    • 2000
  • 불활성 휴면포자율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휴면포자 발아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측정한 결과 $28^{\circ}C$에서 24시간 후에는 55.6%, 132시간 후에는 82.5% 발아하여 가장 양호하였으며, $24^{\circ}C$, $16^{\circ}C$의 순이었다. 발아 최적산도는 pH 6이었으며 pH 7, 8의 순으로 좋았고, pH 4, 9에서는 발아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휴면포자의 발아는 무, 배추 등의 기주작물과 강남콩의 뿌리 마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추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휴면포자의 불활성화에 미치는 고온 처리효과를 조사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처리 시간이 경과할수록 불활성 휴면포자의 수는 증가하였으나 $40{\sim}65^{\circ}C$ 온도범위내에서 1시간 후 불활성화 정도는 $40{\sim}60%$로 대체로 비슷하였다. 그러나 $70^{\circ}C$ 처리에서 불활성화율은 급격히 증가하여 60분간 처리시 불활성화율이 91.5%에 달하였다. 뿌리혹을 담수처리하면 불활성화된 휴면포자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9일 후에는 60.3%에 달하여 담수에 의하여 휴면포자가 급격히 불활성화되었다. 이병토양을 담수하여도 5개월 후에 30%이상 휴면포자 밀도가 감소하였다. 무사마귀병 방제약제중 후루아지남이 후루설파마이드에 비해 휴면포자 불활성화 효과가 좋았으나 두 약제 모두 아인산염에 비하여 그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ccurrence of Clubroot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in Baecheongchae

  • Kim, Wan-Gyu;Oh, Sang-Keun;Semunyana, Marc;Han, Man-Jong;Lee, Gyo-Bin;Cho, Weon-Dae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99-503
    • /
    • 2020
  • Clubroot symptoms were frequently observed on the roots of Baecheongchae plants grown in vinyl greenhouses of a farmer located in Yangpyeong area of Korea during a disease survey in June 2019. The incidence of diseased Baecheongchae plants ranged from 30 to 90% in the vinyl greenhouses investigated. Many resting spores were found in the tissue of root galls collected. The resting spores were hyaline and spherical and measured 2.5-4.2 ㎛ in diameter. Three inoculum suspensions of resting spores prepared from the root galls were inoculated to the roots of healthy Baecheongchae plants. All the inoculum suspensions caused clubroot symptoms to appear on the roots of the inoculated Baecheongchae plants. The symptoms on the roots induc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plants of the vinyl greenhouses during the disease survey. Resting spores of the pathogen were recovered from the root galls of the inoculated plants. Three root gall isolates obtained from the inoculated plants were used for molecular identification. Comparing the isolates to the Plasmodiophora brassicae strains in GenBank, the amplification products demonstrated 100% similarity with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2) sequences. The clubroot pathogen was identified as P. brassicae according to its morphological, pat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brassicae causing clubroot in Baecheongchae.

배추무사마귀병균의 토양내 분포 (Distribution of lasmodiophora brassicae Causing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in Soil)

  • 김충회;조원대;김홍모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27-33
    • /
    • 2000
  • 심하게 이병된 배추포장내 무사마귀병균의 수직분포를 보면 토양의 심도가 깊어질수록 무사마귀병균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무사마귀병균의 97%가 지하 5cm 이내의 표토에 분포하였고 지하 40cm 토양에서도 소량 검출되었다. 수평분포를 보면 무사마귀병균은 배추포기중심에 모여 있다기보다는 전 포장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어서 한곳에 몰려 분포하는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평창의 23개 배추지역의 무사마귀병균의 밀도는 1$\times$$10^4$포자/g 토양 이하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부터 $10^{6}$ 토양이상의 밀도가 높은 포장까지 폭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작물을 재배하기 않은 처녀지 토양은 밀도가 $10^4$토양 이하로 극히 낮거나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심하게 이병된 배추밭의 밀도는 $10^{5}$/g 토양이상으로 대단히 높았다. 건전 배추밭과 배추 이외의 타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포장내 밀도는 이보다 상당히 낮아서 심고 있는 작물에 따라서 토양내 무사마귀병균 밀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작부체계별 밀도분포를 보면 다소 예외는 있으나 배추, 무 등의 기주작물을 연작한 곳일수록 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약초, 옥수수, 메밀, 기타 채소 등 비기주작물을 재배한 곳일수록 무사마귀병균의 밀도가 낮은 곳이 많았다. 배추, 무 등의 기주작물을 연작하면 토양내 무사마귀병균의 밀도는 점차 상승하는 경향이었고 반면에 당귀, 메밀 등 비기주작물로 윤작한 포장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어서 무사마귀병균의 토양내 생존은 작부체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량형광염색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토양내 휴면포자의 식별이 보다 용이해졌을 뿐만 아니라 그 검출효율도 증진되었고 조작이 간편하여 큰 숙련없이 밀도를 측정할 수 있어 향후 토양내 무사마귀병균의 동태를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다.

  • PDF

Occurrence of Clubroot on Pak-Choi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 Kim, Wan-Gyu;Moon, Mi-Hwa;Kim, Jin-Hee;Choi, Hyo-Won;Hong, Sung-Kee
    • Myc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69-71
    • /
    • 2009
  • Clubroot symptoms occurred severely on roots of Pak-Choi (Brassica campestris ssp. chinensis) grown in greenhouses in Gwangju city, Gyeonggi province, Korea in September, 2008.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symptoms reached as high as 90% in three greenhouses investigated. The root galls collected from the greenhouses were sectioned using a scalpel and observed by light microscope. Many resting spores were found in the cells of the root gall tissues. Suspension of resting spores was prepared from the root galls and inoculated to roots of healthy Pak-Choi plants. Each of five resting spore suspensions caused clubroot symptoms on the roots,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during the greenhouse survey. Resting spores of the pathogen were observed in the cells of the affected roots. The clubroot pathogen was identified as Plasmodiophora brassicae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Plasmodiophora brassicae causes clubroot of Pak-Choi.

배추무사마귀병 뿌리혹의 부패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 (Som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ecay of Root Galls in Club 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 김충회;조원대;김홍모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61-65
    • /
    • 2000
  • 배추 무사마귀병 뿌리혹의 부패에 미치는 온도 토양수분 담수, 토양미생물의 영향을 실내에서 조사하였다. 뿌리혹의 완전부패까지 소요일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서 $32^{\circ}C$ 이상에서는 3일, $16{\sim}20^{\circ}C$에서는 12일, $8^{\circ}C$에서는 28일이 소요되었다. 토양수분이 높을수록 뿌리혹의 부패도 빨라서 포화수분의 경우 $32^{\circ}C$에서는 3일, $24^{\circ}C$에서는 8일이 소요되었고, $32^{\circ}C$에서는 토양수분의 영향이 $24^{\circ}C$에서 보다 낮았다. 담수에 의한 뿌리혹의 부패촉진효과는 $32^{\circ}C$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24^{\circ}C$$12^{\circ}C$에서는 높았다. 뿌리혹의 부패에 대한 외부 토앙미생물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뿌리혹의 부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도였으며 온도가 비교적 낮을수록 다른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혹내 휴면포자는 뿌리혹의 부패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성숙도가 증가하였으며, 신선한 뿌리혹은 부패한 혹에 비하여 휴면포자의 밀도도 낮았고 그 성숙도도 저조하였다. 완전히 부패한 뿌리혹내 휴면포자의 밀도는 1 g 조직당 $6.5{\times}10^{6}$개였으며 성숙 휴면포자율도 95% 이상에 달하였다.

  • PDF

동해 북동부해역 제 4기 후기 퇴적물의 규조 산출과 고해양학적 변화 (Occurrence of Diatom in the Late Quaternary Sediments of the Northeastern East Sea (Sea of Japan) and its Paleoceanographic Changes)

  • 신유나;;윤호일;김예동;우경식;김부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4호
    • /
    • pp.305-319
    • /
    • 2000
  • 동해 북동쪽에 위치한 홋카이도섬 서부해역에서 채취된 중력시추코아 GH98-1223의 45개 퇴적물 시료들로부터 휴면포자를 제외한 총 31속 50종 1아종의 규조류가 동정되었다. 최대 산출종은 Thalassionema nitzschioides로 전시료에서 29${\sim}$59%의 높은 산출빈도를 나타냈으며, 그 외에 비교적 개체 보존이 양호한 Denticulopsis seminae와 Pseudoeunotia doliolus를 비롯한 대부분의 종들은 평균 산출빈도가 5% 이내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 시료에서 한류종의 산출빈도가 난류종보다 상대적으로 우세하였으며, 수직분포는 각 종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층준에서 난류종과 한류종의 산출빈도는 서로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표적인 한류종인 D. seminae와 난류종으로 쿠로시오해류(Kuroshio Current)의 지류인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의 지시종인 P doliolus의 전체적인 변화양상은 뚜렷하게 상반되며, 이것은 규조온도지수(T$_d$)의 수직적인 변화와도 서로 일치한다. 규조온도지수는 150 cm깊이를 기준으로 코아의 상부에서는 평균 이상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하부에서는 평균 이하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경향은 동해의 북부지역에 위치한 본 연구지역에 대마난류의 영향이 홀로세의 후빙기를 거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된 것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하층부에서 규조온도지수는 지그재그형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는 규조류가 서식하는 해수의 환경이 불안정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산성과 용승의 정도를 지시하는 Chaetoceros resting spores는 5.3${\sim}$40% 정도의 산출빈도를 보이는데 , 최대값은 80 cm 보다 상층부에서 나타났다. 퇴적물의 생물 기원물질의 상대적인 양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Chaetoceros resting spores/Chaetoceroe vegetative cells도 80 cm 보다 상층에서는 높게 나타나 규조온도지수 분포와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상의 규조군집 분석 결과에 의하면, 홀로세의 후빙기동안 본 연구 지역인 동해 북동부에는 대마 난류의 유입이후 현재와 유사한 환경이 우세하게 발달했으나, 난류종 P. doliolus의 변화는 동해내에서 대마난류의 세기가 반복되었음을 지시하고 있다.

  • PDF

남극 엽층리 퇴적물로부터 규조 종을 이용한 고기후 변화 연구 (Diatom Succession Representing the Paleoclimatic Change from Laminated Sediments around Antarctica)

  • 박영숙;윤호일;유규철;이영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0-197
    • /
    • 2015
  • 남극 브랜스필드 해협의 동부분지로부터 획득한 GC08-EB01 코어퇴적물의 고해상 엽층리로부터 규조를 이용하여 고기후변화를 연구하였다. 규조 정량 분석의 결과 규조 개체수 농도는 $0.4-4.2{\times}10^8g^{-1}$로 매우 풍부하게 산출되었으며, 엽층리는 생물기원의 규조가 풍부한 층과 육성기원 퇴적물이 풍부한 층으로 구분된다. 규조 엽층리는 Corethron crilophilum, Eucampia antarctica, Fragilariopsis curta, F. kerguelensis, Odontella weissflogii, Proboscia inermis, R. styliformis, Thalassiosira antarctica와 Chaetoceros resting spores 등의 번성이 특징적이며, 육원성 엽층리에서는 규조 군집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홀로세 후기 동안 Fragilariopsis curta+F. cylindrus)/Thalassiosira antarctica의 산출 수직 분포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구간은 해빙의 확장을 지시하며, 연구 코어 GC08-EB01 코어퇴적물이 퇴적되는 동안 적어도 5번의 한랭기가 있었음을 알려준다.

Diversity and Active Mechanism of Fengycin-Type Cyclopeptides from Bacillus subtilis XF-1 Against Plasmodiophora brassicae

  • Li, Xing-Yu;Mao, Zi-Chao;Wang, Yue-Hu;Wu, Yi-Xing;He, Yue-Qiu;Long, Chun-L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313-321
    • /
    • 2013
  • Bacillus subtilis XF-1, a strain with demonstrated ability to control clubroot diseas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was studied to elucidate its mechanism of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 brassicae. Fengycin-type cyclopeptides (FTCPs), a well-known class of compounds with strong fungitoxic activity, were purified by acid precipitation, methanol extraction, and chromatographic separation. Eight homologs of fengycin, seven homologs of dehydroxyfengycin, and six unknown FTCPs were characterized with LC/ESI-MS, LC/ESI-MS/MS, and NMR. FTCPs (250 ${\mu}g/ml$) were used to treat the resting spores of P. brassicae ($10^7/ml$) by detecting leakage of the cytoplasm components and cell destruction. After 12 h treatment, the absorbencies at 260 nm ($A_{260}$) and at 280 nm ($A_{280}$) increased gradually to approaching the maximum of absorbance, accompanying the collapse of P. brassicae resting spores, and nearly no complete cells were observed at 24 h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ells could be cleaved by the FTCPs of B. subtilis XF-1, and the diversity of FTCPs was mainly attributed to a mechanism of clubroot disease bio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