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onsive web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4초

반응형 웹 사이트의 접근성 평가 및 분석 (Evaluation and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for the Responsive Web Sites)

  • 박성제;홍순구;김종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7-55
    • /
    • 2016
  • 최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접근 및 활용을 위한 반응형 웹 기술에 대한 연구와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반응형 웹에서의 접근성 준수 및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구현에서의 중요한 요소인 접근성과 반응형 웹을 접목하여, 국내의 대표적인 반응형 웹 사이트에 대한 접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미지 콘텐츠의 대체텍스트 제공, 키보드 접근과 사용, 포커스의 논리적 이동 및 적절한 제목 제공 등 접근성 오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웹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은 오류로서의 문제와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접근 및 사용하는 반응형 웹으로서의 목적 및 기능에도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 그 보완 및 수정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포털의 개별형 콘텐츠 검색 영역 데이터에 기반을 둔 효율적인 반응형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icient Responsive Web Design for Individual Search Contents of Korean Portal)

  • 임경규;조희준;이구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13-522
    • /
    • 2015
  • 비약적인 모바일 기기의 기술 발전에 따라 PC 모니터부터 스마트 워치까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웹 콘텐츠 생산자들은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할 필요성을 갖게 된다. 디바이스별 콘텐츠 제작 대응은 제작 시간과 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서 반응형 웹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화면의 크기가 자동으로 최적화되도록 조절되는 웹페이지를 의미한다. 국내 포털의 콘텐츠 검색 영역에서도 반응형 웹 방식이 많이 구현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PC용 또는 모바일용으로 이중으로 콘텐츠를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포털의 개별형 콘텐츠 검색영역의 반응형 웹 구현 형태를 조사하고, 반응형 웹이 적용되지 않은 콘텐츠에 대하여 효율적인 새로운 UI를 제안한다.

공간정보 웹 서비스의 반응형 웹 적용성 (Applicability of Responsive Web of Geo-Spatial Web Services)

  • 박한샘;이기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2-62
    • /
    • 2015
  • 최근 웹 제작 추세로 모바일 우선 방식이 강조되면서 모바일 단말의 유형이나 화면 크기, 해상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웹 사이트 제작 시 효율적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반응형 웹에 대한 실제적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 웹 매핑 분야에서 반응형 웹의 적용은 초기 단계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반응형 웹을 이용하여 실제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과 연계한 가변 레이아웃에 대한 실제 시험 구현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예시하였다. 또한 공간정보 웹 서비스 구축에서 반응형 웹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제한 사항과 고려 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험 구현 과정에서는 HTML5, JavaScript, CSS3 등과 같은 개발 환경을 OpenLayers와 연계하는 웹매핑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앞으로 공간정보나 위치정보 등으로부터 파생되는 콘텐츠의 모바일 서비스 개발에서도 반응형 웹을 이용한 연계, 적용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에 따른 프로토타입의 반응형 웹 (Responsive Web of Prototype based on Implementation Structure)

  • 장승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09-616
    • /
    • 2018
  • 본 논문은 인터페이스 구조를 근거로 프로토콜타입의 웹 사이트 설계 방식에 대한 반응형 웹의 설계에 필요한 기술들을 두고 서술하게 되었다. 반응형 설계는 프로토콜 타입의 요구사항을 인터페이스 기반사항에 근거로 분석하여 개발과정에 적용하는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개발에 있어서 우선원칙에 의한 설계방식을 수립하고 디자인공식에 의한 유연성과 가변성을 설정하여 사용자중심의 제1원칙과 제2원칙으로 나누어 인터페이스 구조로 정립해 나갔다. 그리고 압축기술을 논의를 통해 비동기적 스크립트를 결합방식의 방법을 모색하여 웹의 프로토콜 타입에 맞게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오늘날 웹 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은 장치에 관계없이 적응하고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해결방안으로 반응형 웹 사이트 설계방식에서 찾게 되었으며 반응형 웹 사이트 설계방식에 대한 인터페이스 구조와 이를 근거로 한 프로토콜 타입의 웹 사이트 설계방식에 대한 중요기법들을 마련하게 되었다.

하이브리드 프레임 워크를 위한 반응형 웹 콘텐츠 구현 (Implementation of Responsive Web Contents for Hybrid Framework)

  • 이현직;김윤호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5-50
    • /
    • 2013
  •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웹 어플리케이션 제작시 동일한 서비스를 디바이스 별로 따로 개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플랫폼들의 비통일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하이브리드 프레임워크와 이에 따른 반응형 웹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프레임워크에 대한 기술동향과 특성을 분석하고, 하이브리드 프레임워크 기반의 사용자 중심의 반응형 웹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플렉서블 박스의 반응형 웹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sponsive Web for the Flexible Box)

  • 김호진;김창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93-1094
    • /
    • 2015
  •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웹의 표현은 반응형 웹의 사용으로 좀 더 통일된 모습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 가변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최신 기술인 플렉서블 박스로 가변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그 장단점을 기술한다. 또한 플렉서블 박스 적용으로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 PDF

반응형웹 기반의 웹매거진 표현방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pression Types of Web Magazine in Responsive Web)

  • 김종희;이화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43-4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동일한 경험과 최적화 된 웹 매거진의 디자인 서비스 설계 연구를 위해 해상도 혹은 디바이스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되는 반응형웹 매거진의 표현방식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다. 웹 매거진의 표현방식은 멀티미디어, 인터랙티브 환경, GUI 디자인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점유율이 높은 대표 웹 매거진을 선정하여 표현 방식을 살펴본 결과 멀티미디어 요소에서는 동일한 디자인에 최적화 된 크기 변화를 주는 방법과, 협소한 해상도에서는 비교적 중요도가 떨어지는 디자인 요소를 숨기는 방식으로 설계 되었고, 인터랙티브 환경과 GUI의 변화에서는 요소들의 정렬의 변화로 동일한 시각적 이미지와 최적화된 이미지 배열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 PDF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반응형 웹의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 of responsive web on multi-device environment)

  • 강재신;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65-470
    • /
    • 2018
  • 본 연구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반응형 웹의 크기 변화에 따른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레이아웃을 배치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반응형 웹의 레이아웃 요소는 크게 콘텐츠에 따른 레이아웃 형식을 헤더, 메인 콘셉트 이미지, 그리고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 푸터로 구분하였다. 헤더요소는 화면이 작아지면 세로 메뉴 배치보다는 드로워의 활용과 스클롤링 메뉴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메인 콘셉트 이미지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시스템 폰트의 사용으로 가독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 메인 콘텐츠와 서브 콘텐츠는 세로 스크롤이 길어지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하며 그를 위해 카드 UI와 테이블 리스트 그리고 그리드 리스트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또 그 밖에 세로 스크롤의 문제는 더 보기나 새 콘텐츠 고침 등의 사용자 선택 메뉴를 배치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치기반 시맨틱 검색을 위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Responsive Web Application for Location-based Semantic Search)

  • 이수형;이용주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12
    • /
    • 2019
  • 기존의 Open API들과는 달리 링크드 데이터는 웹 자체를 하나의 거대한 지식베이스로 만들어 수준 높은 SPARQL 질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셋으로부터 서로 다른 정보들을 매쉬업하여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기반 시맨틱 검색을 위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링크드 데이터인 DBpedia와 Google에서 제공하는 GoogleMap API를 매쉬업하고 검색된 개체들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맨틱 브라우저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반응형 웹 디자인 사상을 적용하여 PC 및 모바일 등 다양한 접속 환경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시스템은 기능이 유사한 현존 시스템들과 기능 스펙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시맨틱 사용, 링크드 기반 브라우저, 매쉬업 기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본 시스템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Improving Device-to-Device Connectivity with Responsive Web Technology

  • Park, Min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25-30
    • /
    • 2022
  • Since Tim Berners-Lee introduced the idea of the web to the world in the late 1980s, the way information is produced, accessed and used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This was once again an era of upheaval after Apple's Steve Jobs introduced the smartphone to the world in the mid-2000s. Before the advent of smart devices, web browsing was mainly done using desktops. After the advent of this device, the era of solving almost all human needs with a small PC in the palm of your hand has arrived. The necessity of seamless connectivity between devices, which are constantly emerging and evolving, asks our attention more than ever. In this study, we will discuss a case of design and development of a national open access website, which is optimized for dynamic online user behaviors with diverse devices. Our goal is to provide one true web for people to use in their environment. Device makers need to provide products identical to the desktop environment as much as possible. Service providers should also provide services optimized for each device in hyper-connected environments. Providing a web, optimized for user's online context, will eventually result in a sustainable user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