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iratory symptoms

검색결과 1,294건 처리시간 0.048초

급.만성 기관지염 환자에서 엘도스$^{(R)}$(Erdosteine)의 임상효과 -염산 암브록솔과의 무작위 이중맹검 비교시험- (Clinical Efficacy of Erdosteine in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Bronchitis -A Randomized, Double Blind, Comparative Study vs. Ambroxol-)

  • 김석찬;이상학;송소향;김영균;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6호
    • /
    • pp.1296-1307
    • /
    • 1997
  • 연구배경 : Erdosteine은 만성 기관지염 급성 악화시는 물론 만성 폐색성 기관지염 치료제로 개발된 Thiol 유도체로서 점액조절작용, 항산화작용이 있으며, 특히 위장관 부작용이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효성 및 안전성이 입증되어 임상에서 많이 처방되고 있는 Ambroxol과의 비교임상연구를 통해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 환자에서 Erdosteine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무작위 이중맹검 비교시험으로서 전향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급 만성 기관지염으로 다량의 객담배출 혹은 객담배출곤란을 주증상으로 하는 80명을 무작위로 할당하여 Erdosteine 투여군에는 1일 2회, 1회 300mg, Ambroxol 투여군에는 1일 2회, 1회 30mg을 총 7일간 투여하였다. 1차 효과평가기준으로는 객담배출횟수, 객담량, 객담배출용이도, 객담점도, 기침정도, 호흡곤란을 포함한 자각증상이 평가되었고, 2차 효과평가기준으로는 동맥혈가스검사, 폐기능검사가 평가되었다. 안전성은 부작용과 임상병리검사로 평가하였다. 총 80명의 환자 중 61명(Erdosteine군 : 31명, Ambroxol군 : 30명)이 본 연구를 종료하였고 19명은 중도 탈락되었다. 결과의 분석은 paired t-test, ANOVA test, multivariate t2-test,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covariance, two sample t-test, Loglinear-Logit model analysis, Fisher's exact test를 이 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 과 : 1) 두 군간의 환자배정에 있어서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은 차이가 없었다. 2) 동맥혈가스검사, 폐기능검사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고, 자각증상에서는 Erdosteine군은 객담 배출횟수, 객담량, 객담배출용이도, 객담점도, 기침정도, 호흡곤란에서, Ambroxol군은 객담배출횟수, 객담량, 객담배출용이도, 객담점도, 기침정도에서 유의하게 호전을 보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Erdosteine군이 Ambroxol군에 비해 더 유의하게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alpha$=0.05). 3) 혈액학적검사, 혈액화학적검사 및 소변검사에서는 각 군 모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고 두 군간의 차이도 없었으며, 자각증상에서는 Ambroxol군에서만 4명이 연구 종료시까지 부작용이 소실되지 않았고 2명은 연구를 중단하였으나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4) 각 약제의 최종효과평가에서 Erdosteine군은 31명 중 아주좋은효과 11명, 좋은효과 12명, 경도효과 6명, 무효과 2명, 악화 0명이었고 Ambroxol군은 30명 중 아주좋은효과 6명, 좋은효과 14명, 경도 효과 5명, 무효과 4명, 악화 1명이었으며 Erdosteine군이 Ambroxol군에 비해 증상이 개선될 확률이 약 2.5배만큼 높았다 (p<0.05). 결 론 : Erdosteine은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 환자의 치료에 있어 그 효과와 안전성에 있어서 우수한 약물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정상 소아에서 최고호기유량계(peak flow meter)로 측정한 최고호기유량(PEF)와 기타 환기기능검사와의 상관관계 (Peak Expiratory Flow(PEF) Measured by Peak Flow Meter and Correlation Between PEF and Other Ventilatory Parameters in Healthy Children)

  • 옥철호;손계학;박기룡;조현명;장태원;정만홍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248-259
    • /
    • 2001
  • 연구배경 : 소아 기관지 천식 환자들의 진단이나 기도폐쇄 정도를 알기 위하여도 통상적으로 노력성 호기곡선이나 최대 호기류량곡선을 이용한 환기기능검사가 기본검사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호흡곤란이 있는 소아에서는 이러한 검사를 적절히 시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가 치료를 하는 환자들의 경과관찰이나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들은 검사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최고호기유링계로 최고호기유량(PEF)을 많이 측정한다. PEF는 절대값이나 증상이 없을 때의 최대치 혹은 추정정상치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는데 현재까지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최고호기유량계로 측정한 PEF에 관한 보고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에 건강한 소아에서 PEF의 추정정상치를 산출하고 이 값이 $FEV_1$을 비롯한 다른 환기기능검사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방 법 : 호흡기 증상이나 기왕 병력이 없는 5세에서 16세 사이의 건강한 소아(남자 196명, 여자 152명)을 대상으로 mini-Wright 최대호기유량계(Clement Clarke International Ltd. England)를 이용하여 3회 이상 PEF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Microspiro HI-501 휴대용 폐활량측정계(Chest Co., Japan)로 노력성호기곡선, 최대호기류량곡선을 측정 분석하여 $FEV_1$, FVC, $FEV_1$/FVC, $FEF_{25-75%}$, $FEF_{25%}$, $FEF_{50%}$, $FEF_{75%}$$FEF_{max}$를 구하여 각각의 추정정상치를 나이와 신자율 변수로 히여 구하였다. 또한 PEF를 변수로 $FEV_1$$FEF_{max}$를 구하는 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결 과 : 1. PEF(L/min)를 나이와 신장을 변수로 하여 구한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남자는 $12.6{\times}$age(year)+$3.4{\times}$height(cm)-263($R^2=0.85$), 여자는 $6{\times}$age(year)+$3.9{\times}$height(cm)-293($R^2=0.82$)이었다. 신장만을 변수로 하여 구한 회귀방정식은 남자는 $6.6{\times}$height(cm)-415($R^2=0.84$), 여자는 $5.1{\times}$height(cm)-382($R^2=0.82$)였다. 2. 최대호기류량곡선에서 산출한 $FEF_{max}$를 같은 단위로 환산하여 비교한 결과 PEF보다 평균 남자에서는 125(L/min), 여자에서는 118(L/min) 적였다. 3. PEF을 변수로 예측할 수 있는 $FEV_1$(m1) 값은 남자에서 $7.02{\times}$PEF(L/min)-550($R^2=0.82$), 여자에서는 $5.83{\times}$PEF(L/min)-146($R^2=0.81$)이었다. 결 론 : 건강한 소아 346명(남자 194명, 여자 152명)을 대상으로 최고호기유량계로 측정한 PEF의 추정정상치를 연령과 선장을 변수로 하여 구하였다. 여기서 측정한 PEF로 $FEV_1$$FEF_{max}$를 예측할 수 있는 수식을 구하였다. 그리고 측정기계 및 방법에 따라서 PEF값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는데 이런 점을 유의한다변 PEF의 측정은 향후 환기기능 장애를 환자 진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의 임상적 고찰 (Acute and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 현대성;여동승;김진우;이상학;이숙영;김석찬;서지원;송소향;김치홍;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795-804
    • /
    • 1998
  • 연구배경: 만성 호산구성 폐렴은 장기간의 호흡기계 증상, 흉부 엑스선상의 미만성 침윤, 폐 및 말초혈액의 호산구증 및 스테로이드 치료에 극적인 반응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만성적이고 재발되는 간질성 폐 질환이다. 급성 호산구성 폐렴은 만성 호산구성 폐렴과 유사하나 임상경과가 빠르고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되며 재발이 없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진단 기준을 포함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에 대한 재평가가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며, 급성 호산구성 폐렴의 진단 기준이 다소 제한적이라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저자 등은 본원에 내원한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환자의 임상적인 특정과 임상경과를 알아보고 서로 비교하여보았다. 방 법: 1992년부터 1997년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7개 부속 병원에서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으로 진단된 16예의 임상상을 요약하였다.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의 진단 기준으로는 기침, 발열, 호흡곤란의 호흡기계 증상이 있고, 흉부 X-선과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폐침윤이 있는 환자로, 폐 호산구증은 기관지 폐포 세척과 경기관지 폐생검 및 개흉 폐생검으로 진단하였으며, 호산구증을 일으키는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곁 과: 16명의 환자 중 급성 호산구성 폐렴환자가 7명 (남자 5명, 여자 2명), 만성 호산구성 폐렴환자가 9명 (남자 5명, 여자 4명) 이었다. 평균 연령은 AEP 환자 $24.6{\pm}7.9$세, CEP환자 $55.4{\pm}15.12$세로 CEP환자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0.05), $38^{\circ}C$ 이상의 고혈이 AEP 환자 100%(7/7), CEP환자는 11%(1/9)가 있었다. 내원 전 증상의 기간은 AEP환자가 $2.6{\pm}1$일, CEP환자가 $44.7{\pm}25.5$일이었다 (p<0.05). 흉부 방사선 소견상 양측성 폐렴 침윤은 AEP환자100%(7/7), CEP환자는 89%(8/9)가 있었으며, 흉수는 AEP환자86%(6/7), CEP환자 22%(2/9)가 있었다. 평균 말초 혈액 백혈구 수는 AEP환자 17, $186{\pm}8,134/mm^3$, CEP환자 $12,867{\pm}6,040/mm^3$이었고, 호산구분획은 AEP환자 $6.6{\pm}6.7%$(0~20%), CEP환자 $11.3{\pm}21.1%$(0~65%) 이었으며 AEP환자는 추적검사에서 내원 4~7 병일째 (23.7~51%) 가장 높았다, 평균 말초 혈액 호산구 수는 AEP환자 $939{\pm}1,042/mm^3$, CEP환자 $2,104{\pm}4,966/mm3^$이었다. 기관지 폐포 세척액 검사에서 평균 호산구분획은 AEP환자 $32.4{\pm}14.5%$(18~47%), CEP환자 $35.8{\pm}26.7%$(15.3~88.2%) 이었다. 동맥혈 가스 검사상 평균 $PaO_2$는 AEP환자 $44.1{\pm}15.5mmHg$, CEP환자 $62.7{\pm}6.9mmHg$로 AEP환자에서 더 낮았다 (p<0.05). 모든 환자에서 확진 전에 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확진 후에 AEP환자 7명 중 1명은 스테로이드 투여후 호전되었고, 6명은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지 않고서 호전되었다. CEP환자는 모두에서 확진 후에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으며 임상적 호전을 보였다. AEP환자들은 재발이 없었으며, CEP환자 중 3명이 스테로이드 투여 중단 또는 감량 후에 재발이 있었으며 이들중 2명용 천식의 병력이 있는 환자들이었다. 결 론: 급성 호산구성 폐렴은 만성 호산구성 폐렴에 비해 비교적 젊은 사람에게서 고열, 기침, 호흡곤란의 급성 호흡기계 증상을 동반하며, 저산소증이 심하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 하지만, 대증요법으로 호전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 질환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에서 노화에 따른 폐기능지표의 변화양상 (The Influence of Aging on Pulmonary Function Tests in Elderly Korean Population)

  • 이재명;김은정;강민종;손지웅;이승준;김동규;박명재;이명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52-759
    • /
    • 2000
  • 연구배경 : 폐기능 검사는 민족과 인종 그리고 거주지역뿐만 아니라 연령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검사실에서 검사기기에 내장된 평균적 표준치를 기준으로 삼고 있는 실정이어서 노령인구에 대한 폐기능검사 표준을 조사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여 연령증가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표준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65세 이상의 남녀 각 100명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된 FVC, $FEV_1을 Windows용 SPSS 8.0 version을 이용하여 연령 및 사용하여 다중회기분석을 시행하였다. 노인들의 연령과 키를 현재까지 많이 쓰이고 있는 다중선형회기식으로 분석하여 저자들의 다중선형회기식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200예 중 남자노인의 평균연령은 $71.5{\pm}5.1$세였고, 평균신장은 $163.5{\pm}6.20$cm 였다. 이들의 평균 FVC는 $3.42{\pm}0.48{\ell}$, 평균 $FEV_1$$2.71{\pm}0.39{\ell}$였다. 여자노인의 평균연령은 $72.0{\pm}5.1$세였고, 평균 신장은 $149.1{\pm}5.93$cm 였다. 이들의 평균 FVC는 $2.22{\pm}0.42{\ell}$ 였고, 평균 $FEV_1$$1.83{\pm}0.33{\ell}$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선형적 연관성을 보인 연령과 신장을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식을 계산하였고 이를 기존의 다종선형회기식과 비교한 결과 $FEV_1$은 Morris등의 다중선형회기식에 의한 예측치가 실측치보다 낮게 예측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결론 : 65세 이상의 정상노인에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한 결과 연령의 증가에 따라 폐기능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의 폐기능 실측치를 다종선형회귀식을 도출하여 기존에 보고된 식들과 비교한 결과 기존의 다중선형회귀식이 한국노인의 표준을 대변할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 저자들의 다중선형회귀식은 노인 연령균에서 오차가 적어 한국노인의 폐기능을 예측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봉독약침 후 발생한 Anaphylaxis 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Anaphylaxis on Bee-Venom Acupuncture)

  • 황유진;이병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149-159
    • /
    • 2000
  • Bee-venom Acupucture has good effect on pain control but We may be anxious about the problem of side-effect. Bee-venom components are composed of phospholipase $A_2$, hyaluronidase, melitin, apamin, MCD peptide, citrate and so on. Especially Apamin, MCD peptide and histamine cause severe reacting that is named Anaphylaxis. Anaphylaxis is a clinical syndrome characterized by the acute system reaction of multiple organ systems to an IgE-mediated immunologic mediator release in previously sensitized individuals. Respiratory and dermatologic manifestations are the most commonly expressed clinical features of anaphylaxis, and a majority of anaphylactic reactions initially appear to be localized to these two systems. Anaphylatic reaction of bee-venom are expressed clinically ulticaria, itching sensation, erythema, dizziness, nausea, hypotension and so on. Especially ulticaria and erythema are end points of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and vasodilatation at the other extreme of the clinical spectrum, Gastrointestinal mucosal edema and smooth muscle contraction can result in cramping abdominal pain, nausea, and vomiting. Therefore, we have observed anaphylatic reaction of bee-venom in 11 patients, who visited WonKwang University Kunpo Oriental Medical Center, treated bee veno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atient distribution ratio, in regard to sex, was shown to be 1 : 2.67 for male to females. In regard to age, it was shown that people in their 30's was the most predominant case, followed by people in their 20's, 30's, 50's and 60's, respectively. 2. When Anaphylaxis was occured, it was observed to abnormality of CBC, LFT, IgE, IgG. 3. In regard to patient condition, it was observed that fatigue was most frequent. 4. In regard to the number of times and quantity of bee venom inj., it was observed that anaphylaxis is most frequent at 7-10 times(1.6-2.0cc) 5. In regard to duration of reaction, it was observed that people in their l0min' was most frequent. In disappearing duration of anaphylaxic reaction, The results showed under 60min lcases(9%), 60-120min 7cases(64%) and 180-240min 3cases(27%). 6. In symptoms of anaphylaxis, The results showed hypotension 8cases(19%), itching sensation 7cases(16%), nausea 4cases(9%), erythema 4cases(9%) and dizziness 4cases(9%). In mentality, The results showed drowsy 8case(73%) and alert 3cases(27%). 7. Generally, patients were treated with Avil, Dexa IM and PDS, peniramine, cimetidine, Q-zyme per os after H/S, N/S inj. $O_2$ was supplied according to patient's symptom. In 1 severe case, Dopamine was iv injected.

  • PDF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분석 및 비타민 C와 catalase 투여 효과 분석 (Studies of Exercise-Induced Allergy Anaphylaxis Mechanisms and the Effects of Vitamin C and Catalase Supplementation in Exercise-Induced Allergy Anaphylaxis Models)

  • 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1-518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운동이 알레르기 질환을 증가 시켜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은 운동 중과 운동 후 혈관부종, 두드레기, 호흡, 위와 장계의 증후 및 아나플락시스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의 분석 및 비타민 C와 catalase 투여에 대한 항 알레르기 효과와 활성 산소종 생성 조절제 들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전반적인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무병원성환경에서 사육한 생후 7주령의 BALE/c마우스(Female)를 그룹핑 하여 통제군과 훈련군에게 각각 알레르기를 유발한 후, 서로 다른 기간의 운동 효과를 분석하였고,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군에게 비타민c와 catalase를 투여하여 투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은 훈련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과 쇼크사는 복강 림프구에서 발현하는 ROS는 큰 연관이 있다는 것, 그리고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치료 효과는 catalase를 투여하는 것 보다 비타민을 투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기전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Chloromethylisothiazolinone (CMIT)과 Methylisothiazolinone (MIT)의 건강영향에 대한 고찰 - 가습기 살균제 폐 손상을 중심으로 - (Review of Health Effects Caused by Chloromethylisothiazolinone (CMIT) and Methylisothiazolinone (MIT) - Focusing on Humidifier Disinfectant-associated Lung Injury (HDLI) -)

  • 박동욱;김지원;류승훈;박지훈;권정환;이소연;박소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2-323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toxicity, and legal regulation of chloromethylisothiazolinone (CMIT) and/or methylisothiazolinone (MIT), review the health effects caused by exposure to CMIT/MIT, and evaluate the individual association of lung injury with the us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HD) containing a mixture of CMIT and MIT. Metho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searching keywords such as CMIT, MIT, health effect, dermatitis, asthma, and lung injury, either singly or combined. Results: Both CMIT and/or MIT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everal types of adverse health effects. In particular, respiratory diseases including asthma, nasal symptoms, cough, and rhinitis were caused by the use of products including CMIT or/and MIT. The mixture of CMIT/MIT has been banned in cosmetics. As of the end of 2017, nine patients who were confirmed to have HD associated lung injury (HDLI) were found to have used only an HD brand containing CMIT and MIT. Their responses regarding the name of the HD used could be trustworthy based on the short duration of HD use (less than six months) before the onset of HDLI and frequent use of HD per day. Conclusion: According to the toxicity and HDLI cases, the use of HD containing CMIT and /or MIT can cause fatal lung injury. Further study with manufacturers' assistance is necessary in order to obtain more clear evidence on the causal relationship since HDLI cases are being reported continuously.

Effects of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 on Sprague-Dawley Rats after 13 Weeks of Inhalation Exposure

  • Kim, Yong-Soon;Lee, Sung-Bae;Lim, Cheol-Ho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7-14
    • /
    • 2017
  •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 is used in many types of biocidal products including tableware, carpets, humidifiers, and swimming pools, etc. In spite of increased chances of DDAC exposure through inhalation, studies on the inhalation toxicity of DDAC are not common even though the toxicity of DDAC might be significantly higher if it were to be administered through routes other than the respiratory system. DDAC aerosols were exposed to Sprague-Dawley rats in whole body exposure chambers for a duration of 13 weeks. The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s of the DDAC aerosol were $0.63{\mu}m$, $0.81{\mu}m$, and $1.65{\mu}m$, and the geometric standard deviations were 1.62, 1.65, and 1.65 in the low ($0.11{\pm}0.06mg/m^3$), the middle ($0.36{\pm}0.20mg/m^3$) and the high ($1.41{\pm}0.71mg/m^3$) exposure groups, respectively. Body weight was confirmed to be clearly influenced by exposure to DDAC and mean body weight was approximately 35% lower in the high ($1.41{\pm}0.71mg/m^3$) male group and 15% lower in the high ($1.41{\pm}0.71mg/m^3$) female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ssay, the levels of albumin and lactate dehydrogenase had no effect on DDAC exposure. The lung weight increased for the middle ($0.36{\pm}0.20mg/m^3$) and the high ($1.41{\pm}0.71mg/m^3$) concentrations of the DDAC exposure group,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interstitial pneumonia were partially observed in the lungs of the middle ($0.36{\pm}0.20mg/m^3$) and the high ($1.41{\pm}0.71mg/m^3$) exposure groups. However, severe histopathological symptoms, including proteinosis and/or fibrosis, were not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hanges in the body weight and lung weight, it is considered that the NOAEL (no-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for the 13-week exposure duration is $0.11mg/m^3$.

만성 긴장성 두통 환자의 경추 방사선 소견과 일반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 and Roentgenographic Finding of the Cervical Spine in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 김민정;이기수;곽병민;이은경;최은희;박양춘;강위창;이진우;이상봉;홍권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59-70
    • /
    • 2009
  • Objectives : Although CTTH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 in primary headache, the mechanism and treatment is not defin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 and roentgenographic finding of the cervical spine in CTTH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cervical spine and headache.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93 patients with CTTH. By roentgenographic finding,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 HNP, Spondylosis, Sprain, Normal. Then the HNP group was divided again into two groups - singer type and multiple type. Results: 1. Among 93 patients with CTTH, 69(74.19%) patients had abnormal cervical spine by roentgenographic finding. 2. There were HNP, spondylosis, sprain in abnormal roentgenographic finding. And a great majority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cervical sprain.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ur groups on sex, weight, height, blood pressure, pulse, respiratory rate. But on ages, the HNP group showed the highest average while the sprain group showed the lowest. 4. The patients in HNP group had more frequent, severe pain, longer onset and higher onset-age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group. 5. The patients in Multiple-type HNP group had severe pain, longer pain-duration, longer onset, more pre-symptoms and younger onset-age than those of the Single-type HNP group. Conclusions : A great majority of the patients with CTTH had abnormal cervical spines. Also, we found out that the worse the grade of HNP, heavier the level of headache.

  • PDF

유기인계 농약 중독 환자에서 초기 적혈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Implic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 Acute Organophosphate Poisoning)

  • 김훈;한승백;김준식;이미진;박준석;권운용;어은경;오범진;이성우;서주현;노형근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1
    • /
    • 2008
  • Purpose: Acute organophosphate (OP) poisoning may be monitored by measuring the acetylcholinesterase (AChE). It is important to assess severity and establish prognostic tests in the early stage of OP poison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linical aspects of the OP poisoning, prognostic indicators of OP poisoning including 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 (SAPS) 3, and the associated changes in AChE levels. Methods: Clinical data and initial AChE levels from thirty-seven patients with OP poisoning were prospectively reviewed from 12 teaching hospitals in South Korea from August 2005 to July 2006. Clinical manifestations at the time of arrival such as miosis, respiratory abnormality, salivation, urinary incontinence, GCS score, AVPU scale, need for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requirements were recorded. SAPS 3 was calculated using clinical data and laboratory results. Results: The median level of AChE was 9.8 (1.3-53.6) U/gHb.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E levels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cholinergic symptoms. The median level of AChE of the patients who required intubation and those who did not were 3.5 U/gHb and it 19.7 U/gHb respectively (Mann-Whitney test; p<0.001). The AChE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007) in patients who needed mechanical ventilation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with AChE levels found to be 3.1 U/gHb and it was 14.8 U/gHb, respectively. Level of consciousness assessed using the AVPU scale was correlated with AChE levels (Kruskal-Wallis test; p=0.013). GCS score were correlated with AChE levels (p=0.007, Spearman's rho = 0.454). In addition, the lower the level of initial AChE, the longer the ICU stay (p=0.029, Spearman's rho=-0.380). SAPS 3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 AChE (p<0.001, Spearman's rho=-0.633). Conclusion: In the acute OP poisoning, low AChE levels appear to help indicate the severity of poisoning. The initial AChE level may be a useful prognostic parameter for acute OP poiso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