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research paper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concern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ublished in PubMed during the last 5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clinical studies for treating COPD with Oriental medicine. Materials and Methods : We inspected 31 theses and scrutinized their objectives, periods, participants, materials and methods, methods of assessment, results and Jadad score. Results : The treatments in the studies were supplements, physical training, acupuncture, acu-TENS, Bojungikgi-tang (Buzhongyiqi-tang), counseling, breathing training, osteopathic manipulative treatment, reflexology, and distractive auditory stimuli. The aims of treatment were improvement of exercise capacity, lung function, quality of life, oxidative status, nutrient status, systemic inflammation, and cessation of smoking. The median for treatment period of study was 8 weeks, the median number of participants was 35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ean $FEV_1$ from groups were less than 10% in 22 studies. The methods of assessment were lung function test, exercise capacity test, muscle strength test, questionnaire of QoL, laboratory studies, and measurement of nutrient state. The mean of Jadad score was $2.4\;{\pm}\;1.03$, and 24 treatment were assessed as effective. Conclusion : Recent CAM studies of COPD have focused on various topics in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bjective studies for treatment of this disease with Oriental medicines.
연구배경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치료에 널리 적용되고 호흡재활치료는 폐기능을 호전시키지는 못하지만 호흡곤란 등의 증상과 운동능력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 운동능력 개선의 기전은 여러 각도에서 해석되고 있다. 저자들은 $^{31}P$ MRS를 이용하여 만성 폐질환 환자들을 호흡재활치료 전후 전박근의 대사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호흡재활치료 후 운동능력호전에 골격근 대사개선을 기여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총 9명의 만성 폐질환을 갖고 있는 남자 환지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58{\pm}11$세였으며, 이들의 기저 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 8예 및 폐유육종증 1예였다. 호흡재활치료는 근육강화운동, 답차운동(treadmill walking), 자전거 운동(stationary bicycle riding) 및 상지 운동력측정계(arm ergometer)를 이용한 상지운동으로 구성했으며, 호흡재활치료 전후로 폐기능 검사, 운동부하 검사, 상하지의 지구력 측정 및 6분 보행거리 검사를 실시하였다. $^{31}P$ MRS검사를 치료 전후 전박근을 대상으로 안정시, 운동시 및 20분간의 회복시에 시행하여 세포내 산소성 인산화 능력을 반영하는 Pi/PCr의 비와 pHi(intracellular pH)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호흡재활치료 후 환자의 폐기능과 가스 교환의 호전은 없었으나, 운동지구력 및 보행능력은 현저한 호전을 보였으며 최대산소섭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동 운동량에서의 분당환기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1}P$ MRS를 이용하여 재활치료 전후의 골격근 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치료 후 운동시 및 극심한 피로상태에서의 pHi는 유의하게 높았고 산소성 인산화 과정을 반영하는 지표인 Pi/PCr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안정시 및 회복기의 골격근 대사과정은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으로 만성 폐질환 환자에서 6주간의 호흡재활치료는 운동지구력 및 보행 호전시켰으며 이러한 운동능력 호전에는 골격근 대사의 개선으로 초래된 골격근 세포내의 산성화 지연으로 인한 환기량의 감소가 기여할 사료되었다.
본 연구는 호흡근의 지속적 훈련이 필요한 경수손상 환자에게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호흡, 구강 운동 및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행되었던 프로그램의 참여자 중 경수 손상환자 군에 해당하는 3명의 결과를 선별하여 사후 데이터 분석 하였다. 프로그램에 사용할 취주악기로 호기와 흡기를 모두 활용하는 하모니카를 선택하였다. 기간은 총 6주간 주 1회 30 ~ 40분씩 시행하였고, 소그룹으로 진행 후 개별적으로 연습을 유지하도록 당일 진행내용이 자료로 제공되었다. 평가는 호흡관련 요소인 최대 호기량과 취주악기의 특징을 반영한 구강운동 그리고 조음검사로 시행하였고, 이에 대해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최대 호기량이 사전보다 평균 25ml 증가하였으며, 조음은 3.16점 증가하였다. 구강운동은 사전보다 사후에서 11.67점 움직임이 증가하였고, 세부항목 비교 시 입을 제외한 턱과 혀에 대한 점수에서 구강운동기능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경수손상 환자의 호흡재활 분야에 실천적이고 효과적 중재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 The effect of abdominal expansion maneuver (AEM) and abdominal draw-in maneuver (ADIM) on postural control in an unsupported position in stroke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 total of 36 persons with hemiplegic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AEM experimental group (n=12), an experimental ADIM group (n=12), and a control group (n=12). We collec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ll subjects and the pre-test results before the intervention and after 4 weeks of the intervention. The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of the ADIM and AEM group were performed 15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4 weeks, and general physical therapy was performed 2 times a day, 30 minutes per session, 5 times a week for all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received joint mobilizations, muscle strengthening, endurance strengthening, and gait exercises along with treatment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such as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mat, and gait training. The AEM is an inspiratory phase of tidal breathing expanding the lateral lower ribcage in a lateral direction with minimal superior movements of the chest. Then the lower abdomen expands and the navel moves in an anterior-caudal direction. The ADIM is a repeated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anal sphincter during inspiration. The navel pulls the lower abdomen to the direction of the spine without the movement of the trunk and pelvis.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medial-lateral axis movement distance, anterior-posterior axis movement distance, sway mean velocity, and sway area 95%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three groups (p<0.05). The post-hoc tes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dial-lateral axis movement distance, anterior-posterior axis movement distance, sway mean velocity, and sway area in the AEM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ADIM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In conclusion, both AEM training and ADIM training are necessary interventions to maintain the independent sitt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Ha, Min-Seong;Cho, Won-Ki;Kim, Ji-Hyeon;Ha, Soo-Min;Lee, Jeong-Ah;Yook, Jang Soo;Kim, Do-Yeon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제35권3호
/
pp.956-962
/
2018
Childhood obesity causes a higher risk of obesity, premature death and disability in adulthood. In addition, obese children experience an increased risk of respiratory problems,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insulin resistance and psychological eff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an exercise intervention affects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inflammatory-related blood factors in obese children after. We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positive effects on serum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connecting peptide(C-peptide) and resistin, as well as in muscle and cardiovascular-related physical capacities, after an exercise intervention in obese children. Thirty-seven obese children haveperformed health-related fitness tests and provided blood samples for the analysis of changes in circulating biomarkers, both before and after an 8-week exercise intervention, which includes stretching, aerobic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and sports games. The results indicate that exercise training beneficially affects body compositions, especially percentage body fat and muscle mass, without influencing to body weight and height. The results of the physical fitness tests show that muscle and cardiovascular capacity were increased in obese children in response to exercise training. Simultaneously, the exercise training decreased circulating levels of C-peptide, which equated to a "large" effect size.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s of IGF-1 and resistin, they show a "small" effect size. Theref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exercise intervention have beneficial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levels in obese children, whichmight be associated with the decline in circulating C-peptide.
Kim, Yoon Hee;Jung, Jae In;Jeon, Young Eun;Kim, So Mi;Hong, Su Hee;Kim, Tae Young;Kim, Eun Ji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제16권3호
/
pp.298-313
/
2022
BACKGROUND/OBJECTIVES: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compounds in improving athletic ability has attracted attention in both sports and research. 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leaves are used to mak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in Asia. The active components of G. pentaphyllum, dammarane saponins, or gypenosides, possess a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anti-fatigue effects from G. pentaphyllum extract (GPE) and its effective compound, gypenoside L (GL), remain to be determined. MATERIALS/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PE on fatigue and exercise performance in ICR mice. GPE was administered orally to mice for 6 weeks, with or without treadmill training. The biochemical analysis in serum, glycogen content,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of the liver and muscle were analyzed. RESULTS: The ExGPE (exercise with 300 mg/kg body weight/day of GPE) mice decreased the fat mass percentag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ExC mice, while the ExGPE showed the greatest lean mass percentage compared to the ExC group. The administration of GPE improved the exercise endurance and capacity in treadmill-trained mice, increased glucose and triglycerides, and decreased the serum creatine kinase and lactate levels after intensive exercise. The muscle glycogen levels were higher in the ExGPE group than the ExC group. GPE increased the level of mitochondrial biogenesis by enhancing the phosphoryl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coactivator-1α (PGC-1α) protein and the mRNA expression of nuclear respiratory factor 1, mitochondrial DN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δ, superoxide dismutase 2, and by decreasing the lactate dehydrogenase B level in the soleus muscle (SOL). GPE also improved PGC-1α activation in the SOL significantly through AMPK/p38 phosphoryl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GPE supplementation enhances exercise performance and has anti-fatigue activity. In addition,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was elucidated. Therefore, GPE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and enhancing the exercise capacity and anti-fatigue activ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dyspnea,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in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Method: This quasi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time series. Twenty three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ineteen to the control group. The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breathing retraining, inspiratory muscle training, education, relaxation and telephone contacts. This program consisted of 4 sessions with inpatients and 4 weeks at home after discharg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a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at the time of discharge. The outcomes were measured by the Borg score, 6MWD and the 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estionnaire(CRQ).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yspnea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ut not among time sequence, or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ime sequence. Als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foun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s: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may be a useful intervention to reduce dyspnea, and increase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r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Kegel exercise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for 2 weeks on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MVV)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based on previous studie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healthy female students in their 20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Eleven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EG) and 9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CG). Subjects measured MVV with a spirometer. In hooklying position, transverse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of the dominant side were measured using ultrasound. For the measurement value, the average value of three times was adopted. After 2 weeks of intervention, the measurements were measured in the same way. In the EG, pelvic setting training using PBU was performed before Kegel exercise. The PBU was first placed at the waist in the Kegel exercise position and the starting pressure was set at 40 mmHg and adjusted to 60 mmHg through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After performing pelvic control using PBU, Kegel exercise was performed with 8 seconds of contraction, 8 seconds of relaxation, and 3 sets of 10 reps per set. A significance level of 𝛼=.05 was us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In the variable of MVV, a significant increase was confirmed in the EG (p<.05). In the abdominal muscle thickness variable, significant increases were confirmed in IO and TrA in the EG (p<.05). In addi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IO was confirmed in the CG (p<.05). Significant increases in IO and TrA were confirmed between groups (p<.05). Conclusion :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confirmed that Kegel exercise using a PBU had a positive effect on MVV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based on a 2-week interventi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ystematically the effects of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atients using qualitative synthesis. Methods: Studies design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dentified to extract data and to assess the quality of studies in 8 domestic and 3 foreign search engines, and hand search reference reviews. Results: A total of 9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Overall,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ranged from average to poor.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consisted of exercise, education,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Several exercises such as aerobic, strength, re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flexibility were used in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for COPD patients. Upper muscle exercise and walking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exercises. The most common topics for education were 'knowledge of the illness' and 'drug management'. Walking distance test (WDT) and quality of life (QoL) were the most frequently measur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o evaluate rehabilitation outcomes, followed by pulmonary function test (PFT) and dyspnea. WDT was the most effective outcome, followed by dyspnea, QoL and PFT. Conclusion: This study informed about the details of scientific and effective home 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in COPD patients for future researchers and clinicians. These findings can help expand the recognition and accessibility of home based rehabilitation in COPD patients.
Background : Hyperornithinemia-hyperammonemia-homocitrullinuria (HHH) syndrome is a rare, autosomal recessive metabolic disorder which is caused by genetic mutations that disrupt the urea cycle. It is characterized by variable clinical presentation and the age of onset. Patients may present with gait disturbance and progressive paraplegia and muscle tightness in the lower extremities. The use of botulinum toxin in metabolic disease has rarely been discussed. We describe a case of a 14-year-old-boy with HHH syndrome, who presented with a several - month history of gait disturbance and lower extremity weakness. Case presentation : A 14-year old male had a history of recurrent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occasional vomiting, loss of appetite, and general weakness, all of which started since he was 10 months old. He was diagnosed with HHH syndrome at one year of age. At the age of 14, he was referred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his gait disturbance and aggravated weakness of the lower extremities. Brain MRI, electrodiagnostic study and blood test were performed to exclude any lesions related to neurologic dysfunction. Botulinum toxin type A were injected into muscles of adductor longus, adductor magnus, lateral and medial hamstring, and lateral and medial gastrocnemius muscle heads under needle electromyography guidance to reduce lower limb spasticity. Intensive physical therapy including gait training and stretching exercise of adductor and calf muscles were also provided. After intensive physical therapy and botulinum toxin injection to reduce lower limb spasticity, he was able to ambulate for 20 meters independently without any walking aids. There were no adverse events after the injection. Conclusion : Botulinum toxin injection is a safe and effective therapy for patients with HHH syndrome who suffer from gait disturbance.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