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strain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27초

Half-Deck을 포함한 60 m 경간 PS 콘크리트거더의 정적 거동 연구 (A Study on Static Behavior of 60 m span Half-Decked PSC Girder)

  • 김태민;박종헌;김문겸;임윤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A호
    • /
    • pp.65-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SC 거더교의 장경간 적용을 위해 개발된 Half-Decked PSC 거더의 구조적 성능을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힌지-롤러의 지점 조건의 단순교로 설계된 60 m 경간의 실물 크기 거더를 제작하여 4점 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거더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5.5 m 씩 떨어진 위치에 가력장치를 설치 후 1 kN/sec의 속도로 하중을 재하하여 총 4단계에 걸쳐 반복하중을 가하였다. 1단계부터 4단계까지 1,000 kN, 1,200 kN, 1,500 kN, 2,000 kN의 하중을 재하하고 제거하기를 반복하며 거더의 변위, 콘크리트와 철근의 변형률, 균열 등을 확인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거더의 내하력을 평가하고 하중 제거 시 나타나는 복원력 등을 살펴보았다. 1,400 kN 인근에서 초기 휨균열이 발생하여, 이 시점부터 하중 재하 시 비선형 성이 나타나며 뚜렷한 잔류변형이 계측되었다. 초기 균열이 1등교 기준의 사용하중보다 2배 이상 큰 하중에서 계측되어 충분한 내하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의 검증을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결과 값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의 유사한 거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거더의 정적재하실험을 통하여 그 구조적 성능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Half-Decked PSC 거더 형식의 60 m 경간 실교량 설계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부산 임기광산 광미의 전단속도에 따른 링 전단특성 연구 (Shear-Rate Dependent Ring-Shear Characteristics of the Waste Materials of the Imgi Mine in Busan)

  • 정승원;지상우;임길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7호
    • /
    • pp.5-15
    • /
    • 2014
  • 휴 폐광산지는 산발생, 지하수 오염뿐만 아니라 침식 및 산사태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 지질재해에 노출되어 있다. 임기광산 폐석적치장 광미를 대상으로 링 전단시험을 수행하여 전단속도에 따른 전단특성을 조사하고 한다. 본 연구에 있어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링 전단상자 오링(O-ring)은 전단동안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1차 시험은 일정한 수직응력(50kPa)과 전단속도(0.1mm/sec) 조건에서 전단시간에 따른 전단응력을 조사하였다. 2차 시험은 일정한 수직응력 조건에서 전단속도를 0.01, 0.1, 1, 10, 50, 100mm/sec로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전단속도에 따른 전단응력을 조사하였다. 3차 시험은 일정한 전단속도(0.1mm/sec)하에서 수직응력을 20, 40, 60, 80, 100, 150kPa로 증가시켜 각 경우에 대한 전단응력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에 따르면, 배수조건에 관계없이 임기광산 폐석적치장광미시료는 전단연화거동(strain softening behavior)을 보였다. 특히 전단속도가 10mm/sec보다 작은 경우 잔류전단응력은 100~300초 사이에 일정한 값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와 3차 시험결과에 따르면, 배수조건에 관계없이 전단응력은 전단속도와 수직응력의 함수로 나타났다. 하지만, 배수조건에 따라 링 전단상자 전단부에서 상이한 입자파쇄 특성이 관측되었다. 배수조건시 전단상자 전단면에서 하단까지 넓은 전단띠가 형성된 것에 반해, 비배수조건시 전단면에 국부 전단띠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전단속도에 따른 입자파쇄 특성은 산사태 유동성을 높이는 중요한 인자로 판단된다.

조선해양 구조물 주판의 Butt welding joint 수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nsation margin on butt welding joint of large steel plates in shipyards)

  • 김정태;이대철;정효민;정한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461-466
    • /
    • 2013
  • 본 논문은 조선해양 구조물 주판의 맞대기용접 수축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였다. 주판의 맞대기 용접은 입 열과 냉각과정에서 수축 변형이 일어나 최종 완성된 모재의 치수와 설계 치수가 다르게 된다. 이는 선박의 블록 생산 품질 불량으로서 교정 작업이 필요하며 생산성 향상의 저해요인이다. 이에 대형 구조물 주판의 맞대기용접 수축 변형에 관한 실험을 통하여 I, Y, V 형상의 용접잔류응력 수축 변형 데이터를 확보하고 두께 11 t ~ 21.5 t 범위에서는 1 ~ 2 mm의 한정된 범위의 수축 량이 균일하게 나타나는 특징과 용접부의 열전달 영향이 Seam Line 한쪽을 기준으로 최대 약 1000 mm 이내에 국한되어 모재의 자중이 수축 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고 또한 수축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Groove 형상에 따라 수축마진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자기이방성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비파괴 응력 계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destructive Stress Measurement of Steel Plate using a Magnetic Anisotropy Sensor)

  • 김대성;문홍득;유지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1호
    • /
    • pp.71-77
    • /
    • 2011
  • 최근 들어 자기이방성센서를 이용한 비파괴응력계측기법은 강교나 강관 등의 건설 분야에서 적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터널건설현장에서 이용되는 강지보재에 대해서도 적용한 사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개발된 자기이방성센서와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국산 강재인 SS400에 적합한 응력감도곡선을 도출하기 위해 강재하중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자기이방성센서를 이용한 비파괴 응력계측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추가 강재하중재하실험과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계측위치에 따라 자기이방성센서에서 측정된 출력전압과 스트레인 게이지로 측정된 응력의 평균을 이용하여 국산 강재인 SS400에 적합한 응력감도곡선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추가 강재하중재하실험과 수치해석을 비교한 결과, 자기이방성센서의 오차범위가 약 20MPa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자기이방성센서를 강재의 응력상태를 파악할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강재의 항복응력의 레벨(245MPa)을 고려하면 공학적으로 충분한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자기이방성센서는 계측 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강구조물에서 잔류응력을 고려한 현재상태의 응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강구조물의 유지관리에 편리하게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말뚝과 토목섬유로 지지된 성토지반의 아칭효과 (Soil Arching in Embarikments Suppoyed by Piles with Geosynthethics)

  • 홍원표;이재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3-66
    • /
    • 2007
  • 말뚝과 토목섬유로 지지된 성토지반의 아칭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일련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실험에서는 단독캡 말뚝을 상하이동이 가능한 철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토목섬유를 포설한 후 성토를 실시하였다. 모형실험에서는 침하판을 하강시킴으로써 연약지반의 침하를 모사하였으며, 침하판이 하강함에 따라 성토지반에 지반아칭이 발휘되었다. 성토지반과 토목섬유의 변형거동은 카메라로 관찰하였다. 또한 계측시스템을 통하여 말뚝캡에 작용하는 하중과 토목섬유의 인장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모형실험결과 연약지반부의 침하가 발생할 때, 지반아칭효과로 인하여 말뚝으로 전이되는 성토하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토목섬유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말뚝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값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반면, 토목섬유로 복합지지된 경우는 침하에 따라 말뚝하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일정한 값으로 수렴한다. 이것은 토목섬유에 의한 보강이 성토지반의 변형 억제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침하유발시 말뚝캡 사이의 토목섬유는 원호형태로 변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과 토목섬유로 지지된 성토지반에서 말뚝캡으로 전이되는 성토하중은 지반아칭효과와 토목섬유의 인장변형률을 고려함으로써 모형화할 수 있다.

Study of Sugarcane Pieces as Yeast Supports for Ethanol Production from Sugarcane Juice and Molasses Using Newly Isolated Yeast from Toddy Sap

  • Babu, Neerupudi Kishore;Satyanarayana, Botcha;Balakrishnan, Kesavapillai;Rao, Tamanam Raghava;Rao, Gudapaty Seshagiri
    • Mycobiology
    • /
    • 제40권1호
    • /
    • pp.35-41
    • /
    • 2012
  • A repeated batch fermentation system was used to produce ethanol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NCIM 3640) immobilized on sugarcane ($Saccharum$ $officinarum$ L.) pieces. For comparison free cells were also used to produce ethanol by repeated batch ferment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vidently showed that cell immobilization resulted in firm adsorption of the yeast cells within subsurface cavities, capillary flow through the vessels of the vascular bundle structure, and attachment of the yeast to the surface of the sugarcane pieces. Repeated batch fermentations using sugarcane supported biocatalyst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for at least ten times without any significant loss in ethanol production from sugarcane juice and molasses. The number of cells attached to the support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fewer yeast cells leaked into fermentation broth. Ethanol concentrations (about 72.65-76.28 g/L in an average value) and ethanol productivities (about 2.27-2.36 g/L/hr in an average value) were high and stable, and residual sugar concentrations were low in all fermentations (0.9-3.25 g/L) with conversions ranging from 98.03-99.43%, showing efficiency 91.57-95.43 and operational stability of biocatalyst for ethanol fermentation. The results of the work pertaining to the use of sugarcane as immobilized yeast support could be promising for industrial fermentations.

Short-term grazing behavior of cattle under indoor housing for a new-bred tetraploid ruzigrass (Brachiaria ruziziensis Germain et Everard)

  • Ishigaki, Genki;Nitthaisong, Pattama;Prasojo, Yogi Sidik;Kobayashi, Ikuo;Fukuyama, Kiichi;Rahman, Mohammad Mijanur;Akashi, Ry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5호
    • /
    • pp.748-754
    • /
    • 2018
  • Objective: The preference evaluation of cattle is an important factor for estimation and improvement of the grazing amounts of newly introduced or bred grasses or cultivars in bar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grazing behavior (the amount of grazing and/or the grazing speed) of cattle as indirect method using newly bred Brachiaria ruziziensis tetraploid strain 'OKI-1'(BR) hay as treatment group and Cloris gayana 'Callide' (CG) hay as control group. It also compared the feasibility of using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s one criteria for evaluating preference by Japanese black cattle in barn. Methods: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12 growing Japanese Black cattle including 6 males and 6 females. In each experiment, the four Japanese Black cattle (2 males and 2 females) were placed in separated stall and allowed to graze BR and CG in manger that was separated into two portions for about 30 min. The position and behavior of the cattle were recorded, and weighed the residual of each gay at 15 and 30 minutes after experiment start. Results: The BR was superior to CG in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rotein, fibers and non-fibrous carbohydrate. The cattle, over all, tended to prefer BR over CG in the first half 15 minutes in terms of the time spent and amount of grazing. Additionally, growing cattle exhibited neophilia for BR bred newl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e current approach could be applied for one of criteria to evaluate the preference of hay by Japanese black cattle under indoor housing environment.

반복하중을 받는 짧은 I형 보의 횡-비틀림 좌굴의 일반적 응답에 관한 고찰 (General Response for Lateral-Torsional Buckling of Short I-Beams Under Repeated Loadings)

  • 이상갑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1호
    • /
    • pp.119-132
    • /
    • 1992
  • 반복하중을 받는 짧은 I보(Beam)의 횡-비틀림 좌굴(Lateral-Torsional Buckling)에 대한 광범위한 Parametric Study를 수행하여 보의 좌굴현상을 좀 더 깊이 고찰하고자 한다. 유한한 비틀림변형의 뒤틀림(Warping)이외에 미소한 절단변형의 뒤틀림도 고려한 기하학적(완전) 비선형의 일차원 보를 해석적 모델로 사용하고, 또한 금속의 주기적소성(Cyclic Plasticity)거동을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 다축 주기적소성모델을 Consistent Return Mapping Algorithm과 결합시켜 적용한다. 기준치 근방에서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Parameter Study를 수행하므로써 반복하중을 받는 짧은 I보의 횡-비틀림 좌굴의 일반적 응답을 고찰한다 : 재료의 강복강도, 강복플래토(Yield Plateau), 변형율경화, 이동경화(Kinematic Hardening), 잔류응력, 작용하중의 절단중심에 대한 편심률, 작용하중의 보 단면에 대한 높이, 작용하중의 보 길이방향의 위치, 보 단면의 치수, 작용하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지단의 고정도.

  • PDF

초초임계 석탄발전 보일러 튜브(SA213 TP347H) 용접부 안정화 열처리 효과 (Effect on the Stabilizing Heat Treatment to Weld Joint for the USC Coal Boiler Tubes(SA213 TP347H))

  • 안종석;박진근;이길재;윤재연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3권4호
    • /
    • pp.30-36
    • /
    • 2015
  • Austenite stainless steel(SA213-TP347H) has widely been used for the superheater & reheater tube in USC(ultra-supercritica) coal boiler because of its high creep rupture strength and anti-oxidation. But recently, the short-term failures have happened frequently in heat affected zone for only 4,000~15,000hours of service. Many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ilure mechanism. The root cause of failure was comfirmed to "strain induce participation hardening crack" or "reheat cracking". This mechanism often occurred due to weld residual stress and precipitation of the Cr, Nb carbides in the stabilized stainless steel such as TP347H.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failure tube and effect of the sample tubes that conducting stabilizing heat treatment in site after 11,380hours & 16,961hours of service. Visual inspection was performed. In addition, microscopic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by O.M, SEM, and hardness tes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heat treatment effects. Failures seem to happen because of being not conducted stabilizing heat treatment in site. And another cause is inadequate weld parameter such as pass, ampere, voltage, inter-pass temperature. Thus,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describe that how to prevent similar failures in those weld-joints.

복합재 평판에 삽입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의 스펙트럼특성과 응력유도복굴절 (Spectrum Characteristics and Stress Induced Birefringence of Fiber Bragg Grating Embedded into Composite Laminates)

  • Lee, Jung-Ryul;Kim, Chun-Gon;Hong, Chang-Sun
    • Composites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30-38
    • /
    • 2002
  • 다른 광섬유 센서와 마찬가지로 광섬유 브래그 격자센서도 삽입가능의 장점을 가진다. 삽입가능과 관련된 실제적 가티를 높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 평판에 삽입된 브래그 격자센서의 안전성과 스펙트럼특성이 연구되었다. 피복광섬유와 피복이 벗겨진 광성유의 삽입 환경이 현미경 분석에 의해 수행되어졌고 이 현미경 사진들과 성형모니터링 (cure monitoring)의 결과를 기초하여, 저복굴절(Li-Bi) 광섬유에 새겨진 브래그 격자의 단일 브래그 조건을 붕괴하는 주원인이 성형 잔류음력임을 확인했고 이로 인해 광성유가 겪게 되는 응력/변형률 상태를 정략적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성형모니터링은 브래그 공진파장이 어떻 게 분리되어져 가는지 묘사하였고 횡응력 미감도 브래그 격자(TIG)가 재코팅 방법에 의해 쉽게 획득되어짐을 보였다. TIG는 실시간 신호 처리와 관련하여 중요만 장점으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