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ction margin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초

폐암의 기관지 침습에 관한 CT의 정확도 (Accuracy of CT : Evaluation of Bronchial Invasion of Lung Cancer)

  • 나재범;최규옥;정경영;김세규;장준;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05-515
    • /
    • 1997
  • 배 경 : 폐암환자에서 기관지 침습에 관하여 CT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수술을 시행한 폐암환자에서 CT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들은 폐절제술을 시행한 95명과 엽절제술을 시행한 61명의 수술전 CT를 분석하였다. 엽절제술을 시행 환자중 7명에서는 절제한 기관지 말단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어 폐절제술을 시행했다. 또한 저자들은 충분한 생검을 한 수술못한 60명의 수술전 CT도 분석하였다. 3mm 이상의 기관지벽의 비후, 불규칙한 기관지벽의 비후 그리고 기관지 직경의 감소를 기관지 침습으로 정하였다. 절제한 기관지 말단의 암세포 발견(20명), 수술한 기관지 말단에서의 폐암재발(6명) 그리고 기관지 생검상 양성(수술 안한군에서 34명)을 기관지 침습으로 생각하였다. 결 과 : 기관지 침습에 관하여 CT는 예민도 (11.5%), 낮은 양성기대치 (38%), 그러나 높은 특이도 (96%), 그리고 비교적 높은 정확도 (84%)를 나타냈으며, 수술 안한 군에서는 높은 예민도(62%), 양성 기대치를 보였다. 결 론 : 시행한 폐암환자에서 CT는 폐암의 기관지 침습에 대하여 예민도와 양성 기대치가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기관지 침습에 대한 CT의 유용성은 제한적이라 생각되며, 수술전 기관지경에 의한 기관지벽 생검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신장세포암의 기관지내 전이 - 1예 보고 -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A case report-)

  • 김시욱;신윤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86-389
    • /
    • 2008
  • 폐장은 신장세포암의 흔한 전이 장기 중 하나이지만 기관지내 전이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신장세포암이 기관지내로 전이한 환자를 수술하였기에 보고한다. 8년전 신장세포암으로 좌측 신장 적출술을 받은 63세 남자가 반복적인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과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서 좌하엽 기관지로부터 이차 기관 분기부까지 자라는 폴립모양의 기관지내 종양이 발견되었고 생검 결과는 만성 염증 소견과 함께 괴사성 조직으로 진단되었다. 수술 중 종괴의 냉동 절편 조직검사에서 전이성 신장세포암으로 확인되었고 상부의 좌하엽 기관지의 점막 침윤이 없어서 좌하엽 절제술과 림프절 청소술을 시행하였다. 치종 병리학적 검사에서도 전이성 신장세포암으로 확진되었고 림프절 전이는 없었다. 환자는 수술 후 10일째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퇴원하였다.

기관분기부 편평상피 세포암에서 순차적 양측 개흉술을 통한 좌측 소매 전폐 절제술 치험 1예 (Left Sleeve Pneumonectomy Via Sequential Bilateral Thoracotomy in Carinal Squamous Cell Carcinoma -One case report-)

  • 김도형;강두영;백효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444-447
    • /
    • 2003
  • 기관분기부에 침범한 악성 종양의 치료로 이용되는 소매 전폐 절제술은 수술 후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동반하나 기관 분기부위의 악성 종양이 일측 폐를 완전히 허탈시키고 반대편 기관지의 허탈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좋은 수술적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64세된 남자환자는 과거력에서 13년 전에 승모판 협착증 및 삼첨판 폐쇄 부전증으로 타 병원에서 승모판 치환술 및 삼첨판륜 성형술을 시행 받았으며 2년 전에는 성대에 생긴 유두종으로 종양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최근에는 혈담을 주소로 내원하여 기관지내시경 및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하부 기관부터 좌측 주 기관지까지 약 3.5 cm의 악성 편평상피세포암이 관찰되었으며 좌측 주 기관지를 완전히 막고 있는 소견이 있었고 grade III의 삼첨판 폐쇄부전이 있었다. 심폐 바이페스 없이 순차적 양측 후측방 개흉술을 통해 좌측 소매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병리 조직검사에서 T4N0M0인 악성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인되었고 수술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Osteosarcoma of the jaws in Koreans: analysis of 26 cases

  • Jeong, Hye-In;Lee, Mi Jee;Nam, Woong;Cha, In-Ho;Kim, Hyung J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5호
    • /
    • pp.312-317
    • /
    • 2017
  • Objectives: In order to assess clinical behavior, response to treatment, and factors influencing prognosis of Korean patients with osteosarcoma of the jaws (OSJ).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clinical, and pathological records of 26 patients with OSJ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1990 to March 2017. Results: Of 26 patients, there were 9 men (34.6%) and 17 women (65.4%). Twenty-one of 26 patients had osteosarcoma of the mandible, and 5 of 26 patients had osteosarcoma of the maxilla. The histopathology of OSJ is highly variable, ranging from chondroblastic type (6 out of 26), osteoblastic type (10 out of 26), fibroblastic type (2 out of 26), to the rare variants like mixed type, small cell osteosarcoma types and more. All patients underwent gross total excision and only a few patients underwent neoadjuvant chemotherapy. Postoperative chemotherapy was given to most of the patients as adjuvant treatment or in combination with radiotherapy.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73.1% with an overall 2-year survival rate of 83.3%. The overall 5-,10-,15-year survival rates in this study were 73.5%, 73.5%, 49%, respectively. Using Kaplan-Meier analysis with log rank tests, the size of tumor (T-stage), and resection margins were found to affect the survival rate significantly. The chemotherap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val rate. Conclusion: Surgical resection with a clear margi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isease survival. The role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OSJ remains controversial, and deserves further studies.

저 악성도 연골육종으로 악성 변화한 섬유성 이형성증으로 오진하여 치료방침의 오류가 발생한 연골 모세포형 골육종 - 증례 보고 - (Secondary Chondroblastic Osteosarcoma from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Initially Misdiagnosed as Low Grade Chondrosarcoma Provoking Fallacy in Treatment Strategy)

  • 이승준;고재수;원호현;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2-67
    • /
    • 2008
  • 섬유성 골 이형성증이 골육종, 연골육종, 섬유육종 등으로 악성 변환을 하는 것은 매우 드무나 잘 알려져 있다. 악성 변화가 흔히 일어나는 부위는 두경부, 근위 대퇴골, 상완골, 골반골, 경골, 및 견갑골 순이다. 41세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 환자가 상완골의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상 상완골 간부의 골 팽윤 및 파괴를 보였다. 생검 상 저악성도의 연골육종으로 진단하여 변연부 절제를 하였으나 7개월 만에 근위부에서 국소 재발 후 재 절제한 표본은 연골아세포형 골육종으로 진단하였다.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속발한 연골아세포형 골육종을 저악성도 연골육종으로 오진하여 치료방침에 오류가 있었던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두개인두종에 대한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Craniopharyngioma)

  • 장종희;장진우;박용구;정상섭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5호
    • /
    • pp.561-566
    • /
    • 200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amma Knife radiosurgery(GKS) as a treatment of craniopharyngioma and to investigate the proper dose planning technique in GKS for craniopharyngioma. Method : Between May 1992 and March 1999, seven Gamma Knife radiosurgical procedures were done for residual tumor mass of 6 patients with craniopharyngioma after microsurgical resection.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was not performed. In this study, their clinical, radiological and radiosurgical data were analyzed and the radiation dosage to the optic pathway, hypothalamus, pituitary stalk, and cavernous sinus were calculated and correlation with clinical outcome was evaluat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3.5 months(12.3-55.2 months). Result : The mean tumor volume was 4.4cc(0.4-18.0cc) and the maximum radiation dose ranged from 14 to 32 Gy(mean 20.9Gy). The radiation was given with isodose curve, 50-90% and the marginal dose varied within 8-22.4Gy(mean 12.7Gy). The mean number of isocenter was 4.3(1-12). The tumor was well controlled in all cases. In 5 of 7 cases, the size of tumor decreased to 10-50% of pre-GKS volume and remaining two showed no volume change. The mean dose to optic pathway was 5.7Gy(5.1-11.2Gy)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Conclusion : GKS seems to be effective for control of craniopharyngioma as an adjuvant treatment after microsurgical resection and even suboptimal dose for tumor margin is considered to be enough for tumor control. It is safe with careful dose planning to protect surrounding important structures, especially optic pathway. We believe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should be avoided because it has limitation for dose planning of additional treatments such as radiosurgery or intracystic instillation of radioisotope in case of recurrence.

  • PDF

흉부 거대 연골육종의 외과적 치료후 발생한 결핵성 종격동염-1례 보고- (Tuberculous Mediastinitis Developed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iant Chondrosarcoma on Chest Wall-one case report-)

  • 이재훈;양수호;김혁;정원상;김영학;이철범;강정호;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48-348
    • /
    • 1997
  • 48세 남자 환자의 전종격동을 깊게 침범하며 흉골에서 발생한 거대한 연골육종을 치료하였다. 환자는 흉골의 연골육종과 주변의 정상변연 4cm을 포함하여 광범 위 절제술을 받았으며 그 종양 자체 는 양측의 쇄골과제 1,2,3늑연골을 포함하는 15× 16X10cm크기였다.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후 남은 결손 부위는 매우 컸으며 흉벽 재건술을 Marled mesh와 methylmethacrylate와 wire steels로 겹싸는 sandwich식의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연부조직의 재건술 또한 대흉근을 이용한 근피 판 치환술을 시행하 였다. 그러나 환자는 수술후 결핵성 종격동염이 발생되었고 다량의 농이 배출되었다. 재수술은 흉벽 재건술시의 사용되었던 이물질 모두를 제거하고 괴사성 조직의 소파술과 배농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1 년간 항결핵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완치되었기에 문헌고찰과 보고하는 바이다.

흉부 거대 연골육종의 외과적 치료후 발생한 결핵성 종격동염 -1례 보고 (Tuberculous Mediastinitis Developed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iant Chondrosarcoma on Chest Wall -one case report)

  • 이재훈;양수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48-252
    • /
    • 1997
  • 48세 남자 환자의 전종격동을 깊게 침범하며 흉골에서 발생한 거대한 연골육종을 치료하였다. 환자는 흉골의 연골육종과 주변의 정상변연 4cm을 포함하여 광범 위 절제술을 받았으며 그 종양 자체 는 양측의 쇄골과제 1,2,3늑연골을 포함하는 15$\times$ 16X10cm크기였다.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후 남은 결손 부위는 매우 컸으며 흉벽 재건술을 Marled mesh와 methylmethacrylate와 wire steels로 겹싸는 sandwich식의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연부조직의 재건술 또한 대흉근을 이용한 근피 판 치환술을 시행하 였다. 그러나 환자는 수술후 결핵성 종격동염이 발생되었고 다량의 농이 배출되었다. 재수술은 흉벽 재건술시의 사용되었던 이물질 모두를 제거하고 괴사성 조직의 소파술과 배농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1 년간 항결핵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완치되었기에 문헌고찰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복막전이를 동반한 위암에서 광범위절제의 효과 (Effect of Radical Removal of Primary and Metastatic Lesions in Gastric Cancer with Peritoneal Seeding)

  • 김영식;이상호;최경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3호
    • /
    • pp.136-143
    • /
    • 2001
  • Purpose: The prognosis for gastric cancer with peritoneal seeding is very poor, and the role of surgical intervention is limited. We evaluated the effect of radical removal of primary and metastatic lesions on survival in gastric cancer with peritoneal seeding.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89 to March 1999 at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115 patients revealed gastric cancer with peritoneal seeding but without liver or lung metastasis and without follow-up loss. The study group included 86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radical removal of primary gastric and metastatic peritoneal lesions. The control group included 29 patients who experienced incomplete removal of primary or metastatic lesions. Both groups received intra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using mytomycin or cisplatin, and 25 patients underwent postoperative intravenous chemotherapy. Results: The median survival times in the study and the control groups were 13 months and 4 months, respectively (p<0.0001). The 1-year, 2-year,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respectively, $50.6\%,\;18.1\%$, and $11.3\%$ in the study group and $14.8\%,\;3.7\%$ and $0\%$ in the control group (p<0.0001). In the study group, neither postoperative intravenous chemotherapy nor microscopic invasion of the resection margin had any effect on survival, but intra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nd degree of peri-toneal seeding, especially the amount of peritoneal seeding, had an effect on survival. In the control group, neither intraperitoneal nor intravenous chemotherapy had any effect on survival, but resection of the primary gastric lesion improved survival. Conclusion: Radical removal of primary gastric and metastatic peritoneal lesions improved the survival rate for gastric cancer with peritoneal seeding. However,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correctly evaluate the effect of intraperitoneal or intravenous chemotherapy.

  • PDF

위 아전절제술 후 소화관 문합방법에 따른 조기 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arly Postoperative Results after a Billroth I and a Billroth II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 정희석;김경종;차윤정;김선필;김권천;장정환;민영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2호
    • /
    • pp.96-100
    • /
    • 2002
  • Purpose: The proper reconstructive technique after a partial gastrectomy for an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is often debated, but few data exist to clarify the iss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trospectively the early postoperative results and complications after different anastomoses used during a partial gastrectomy for a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hospital records of 218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subto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7 and July 2000. Of the 218 subtotal gastrectomies performed with curative intent, 127 reconstructions were Billroth I gastrectomies and 91 were Billroth II gastrectomies. The following data were analyzed: age, sex, tumor size, gastric resection margin, timing of removal of the nasogastric tube, first bowel movement, resumption of oral feeding,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he timing of removal of the nasogastric tube was significantly earlier in the Billroth Igroup than in the Billroth II group ($27.9\pm13.9$ hours and $69.7\pm68$ hours, respectively)(P<0.05). Resumption of oral feeding was possible on day $4.6\pm1.5$ in the Billroth I group and on dsy $5.2\pm1.5$ in the Billroth II group (P<0.05). There were no anastomotic leakage, postoperative bleeding, and postoperative mortality among the patients in either group. Conclusions: the Billroth lgastrectomy should be considered for patients undergoing a partial gastric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due to its physiological benefits and acceptable rate of compl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