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quest for information(RFI)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Investigation on Uncertainty in Construction Bid Documents

  • Shrestha, Rabin;Lee, JeeH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7-73
    • /
    • 2022
  • Construction bid documents contain various errors or discrepancies giving rise to uncertainties. The errors/discrepancies/ambiguities in the bid document, if not identified and clarified before the bid, may cause dispute and conflict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Given the fact that bid document is a major resource in estimating construction costs, inaccurate information in bid document can result in over/under estimating. Thus, any questions from bidders related to the errors in the bid document should be clarified by employers before bid submiss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bid queries, i.e., pre-bid request for information (RFI), from state DoTs of the United States to investigate error types most frequently encountered in bid documents. For the study, around 200 pre-bids RFI were collected from state DoTs and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error types (e.g., coordination error, errors in drawings).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errors in bill of quantities is the most frequent error in the bid documents followed by errors in drawing. The study findings addressed uncertainty types in construction bid documents that should be checked during a bid process, and, in a broader sense, it will contribute to advancing the construction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by clarifying and classifying bid risk factors at an early stage of construction projects.

  • PDF

대기행렬 모형을 활용한 시공단계 BIM 코디네이터 업무 성과 분석 (Empirical Evaluation of BIM Coordinator Performance using Queuing Model in Construction Phase)

  • 함남혁;여옥경;지규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1-42
    • /
    • 2018
  • This study focuses on the BIM request for information(RFI) processing performance and quantitatively analyzes the performance of the BIM coordinator and the loss due to the waiting of the project participants. For these purposes, a metho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BIM coordinator was proposed using a queueing model. For the verification, two projects in which BIM was applied in the construction phase were selected, and the BIM RFI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IM monthly report and BIM coordinator work log of each project. In addition, the BIM input personnel, labor cost, and productiv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experts of the case projects. The analysis of the BIM RFI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BIM coordinator using the queueing model exhibited on a probabilistic basis that the waiting status of the project participants could vary depending on the preliminary BIM application to the design verification as well as the input number and level of the BIM coordinator personnel. In addition, the loss cost due to the waiting of the project participants was analyzed using the number of BIM RFIs waiting to be processed in the queueing system. Finally,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for the optimal BIM coordinator input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loss co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make decisions about the optimal BIM coordinator input and can provide grounds for the BIM return on investment (ROI) analysis considering the waiting cost of the project participants.

시공단계 BIM 적용에 의한 재시공 방지 효과분석 (Analysis of BIM Impact on Preventing Rework in Construction Phase)

  • 이명도;차민수;이웅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6
    • /
    • 2018
  • 본 연구는 시공단계에 적용된 BIM이 재시공 방지에 기여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BIM에 대한 적용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보다 현실적이고 신뢰성 있는 분석 방법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BIM 효과분석에 대한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이를 반영한 BIM 효과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 제시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재시공 방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례현장에서는 BIM 적용을 통해 약 370,519,593원의 재시공 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장 실무진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 및 효과분석 결과에 대한 적합성을 자문하였으며 충분한 신뢰성이 있는 결과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BIM 성과측정 연구에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지궤도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기상분야 요구사항에 관하여

  • 안명환;김금란
    • 대기
    • /
    • 제12권4호
    • /
    • pp.20-42
    • /
    • 2002
  • 한국의 '국가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의거하여 2008년에 첫 번째 정지궤도 통신해양기상위성(COMeS)을 발사하기 위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기상청은 이 위성의 기상분야 임무와 이를 완수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작성하고 있다. 좀더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요구사항을 작성하기 위해 1차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위성산출자료에 대한 요구(안)을 작성하여, 실제 센서를 제작할 수 있는 기관에 1차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요청하였다. 이들 기관에서의 답변과 다른 고려 사항들을 종합하여 2008년 발사에 필요한 수정된 요구사항을 작성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 수정(안)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한다. 수정된 안은 정지궤도위성의 가장 중요한 임무를 한반도 주변의 악기상 탐지 및 예측성 제고에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정지궤도위성에서 사용하고 있는 탐측기(Sounder)의 핵심 관측파장대를 성능이 향상된 영상기(Imager)에 수용하는 원칠을 두고 작성되었다. 이 경우, 원하는 대부분의 기상요소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모두 16 개 정도의 파장대에서 관측이 필요하며, 최소 12개의 파장대 관측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12개의 최소 파장대는 기존 정지궤도 영상기에서 활용되고 있는 6개의 채널에 2개의 가시채널, 1개의 근적외 채널, 2개의 수증기 채널, 그리고 오존흡수밴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관측자료로부터 기존의 정지궤도위성의 산출물과 수증기, 안정도지수, 바람장, 특이기상분석자료(황사, 해무 등) 등의 2차 산출물을 생산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시간적으로 고해상도의 자료를 얻기 위해서 영상기는 기본적으로 15분 이내에 전구관측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할 경우에는 제한된 지역을 집중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이 확보되도록 요구하고 있다. 요구되는 수평해상도는 가시영역의 경우 1km, 적외영역의 경우에는 2km를 경계값으로 하고, 목표값은 각각 0.5km와 1km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