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roductive maturity stage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4초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개조개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Reproductive Biology of the Purplish Washington Clam, Saxidomus prupuratus in the East China Sea)

  • 김영섭;김영혜;김종빈;장대수;이동우;강현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1-265
    • /
    • 2010
  • 개조개 표본은 동중국해의 진해만에서 잠수선에 의해 어획된 것을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20개체씩 채집된 것이다. 생식소 발달단계는 비활성기 (11월-12월), 초기활성기 (11월-이듬해 1월), 후기활성기 (12월-이듬해 2월), 성숙기 (2월-5월과 10월), 산란기 (4월-12월) 등 5단계로 구분되었다. 주산란시기 6월부터 8월까지이었다. 성숙각장은 71-85mm로 추정되었다. 암컷과 수컷 성비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므로 1:1이었다.

한국 남해에 서식하는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 (Herzenstein)의 재생산 연구 (Reproduction of the Shotted halibut in the southern Korean waters)

  • 차형기;강수경;최정화;오택윤;서영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3호
    • /
    • pp.194-202
    • /
    • 2011
  •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captured in South Korean waters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09. Gonadosomatic index began to increase in December, and reached maximum between January to March. After spawning it began to decrease from May. Reproductive season was estimated to January-April, with peak in February. Fecundity wa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emale, with the clutch size varying from 170,000 eggs in the smallest female (total length, 28.9cm) to 1,300,000 eggs in the largest (total length, 41.5cm). Size at 50% sexual maturity (TL50), determined from mature females, was 28.8cm. Annual reproductive cycles of this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six successive stages; immature stage (May-October), nucleolus stage (November-January), yolk vesicle stage (January-February), vitellogenic and ripe stage (January-April) and spent stage (April-May).

한국 서남해에 서식하는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 문성용;백근욱;진수연;김희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667-675
    • /
    • 2023
  • The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fish specie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his specie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fork length (FL), maturity stages, and gonadosomatic index (GSI). Moreover, we measured the in FL at sexual group maturity of 50%, 75%, 97.5%, and sex ratio (female vs. male). The overall sex ratio of female and male was 1:0.8. GSI value showed the highest peak in May; however, the spawning period revealed by the microscopic analysis of gonad tissue of S. niphonius was from April to August 2020. The main spawning seasons for the entire populations was from May to June. The fork length at 50% group maturity was 53.3 cm for females and 53.1 cm for males. These results of spawning period of Spanish mackerel highlight the influences of water temperatures that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past, an increase in resource levels, and the level of Pacific anchovy resources flowing into the spawning ground.

한국 서해산 홍합, Mytilus coruscus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Hard 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in Western Korea)

  • 이일호;정의영;손팔원;신문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9-208
    • /
    • 2007
  •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전북 부안군 격포리에서 월별로 채집된 홍합, Mytilus coruscus를 대상으로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홍합은 자웅이체이며, 난소는 수많은 난소소낭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정소는 다수의 정소소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식소지수 (GI) 와 생식소중량지수 (GSI) 의 월별 변화는 2월에 최고값에 도달한 이후, 4월까지 점차 감소하였으며 GI 값과 GSI 값의 월별 변화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비만도지수 (CI) 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지수와 생식소중량지수의 변화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세 가지 지수로부터 홍합의 산란기는 2-4월로 판단된다. 조직학적 조사에 의한 홍합의 산란기는 2-4월이었으며, 주 산란기는 2-3월이었다.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1-1월), 후기활성기 (11-2월), 완숙기 (12-4월), 부분산란기 (2-4월), 퇴화기 (4-10월), 휴지기 (6-12월) 로 구분되었다. 각고에 따라 홍합의 군성숙도를 조사한 결과, 각고 40.1-50.0 mm인 개체들은 군성숙도 50% 이상 (암컷 71.4%, 수컷 78.9%) 이었고, 각고 50.1 mm 이상인 개체들은 군성숙도 100%이었다. 12개월간 채집한 총 개체들의 성비를 검증한 결과, 암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x^2\;=\;0.63,\;p\;>\;0.05)$.

  • PDF

한국 남해에 서식하는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 (Forsskal)의 생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sharp toothed eel in the southern Korean waters)

  • 차형기;서영일;오택윤;김희용;이선길;최문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3호
    • /
    • pp.217-226
    • /
    • 2012
  • Reproductive ecology of the sharp toothed eel, Muraenesox cinereu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captured in southern Korean water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1. Gonadosomatic index began to increase in April, and reached maximum between July to August. After spawning it began to decrease from October. Reproductive season was estimated to April-September, with peak in July. Fecundity wa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female, with the clutch size varying from 56,000 eggs in the smallest female (anal length, 27.0cm) to 1,400,000 eggs in the largest (anal length, 49.5cm). Size at 50% sexual maturity ($AL_{50}$), determined from mature females, were 21.9cm. Annual reproductive cycles of this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four successive stages; immature stage (October-February), maturing stage (March-May), mature stage (June-August) and spent stage (August-October).

콩 생식생장단계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흡즙에 의한 콩 종실 피해 (Soybean Seed Injury by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at Reproductive Stage of Soybean (Glycine max Linnaeus))

  • 정진교;윤종탁;임대준;박종호;김욱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99-306
    • /
    • 2005
  • 콩 생식생장 단계별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접종하거나, 침으로 꼬투리를 치르는 인위적 가해를 통해 콩 종자 피해를 조사하였다. 착협기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리재 성충을 섭식시켰을 때, 빈 꼬투리와 종자로 전혀 발육하지 못한 판형종자의 생성비율이 종실비대성기에서의 가해보다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비대성기에 섭식시켰을 때는 종자모양은 거의 정상적이나 종피에 피해흔적이 뚜렷한 종자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자모양이 많이 변형되거나 불완전하게 성숙한 기형종자의 비율은 처리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다른 종자형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착협시 피해에서 생성된 판 종자의 83%, 종실비대성기에 생성된 피해흔적이 있는 종자의 91%에서 종자 표면 위에 실험곤충의 빨대피막이 관찰되었다. 개화기 섭식은 피해종자 생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다. 종실비대성기와 성숙기에 침을 이용하여 콩 꼬투리를 찔러 물리적인 가해를 하였을 때, 수확기에 건전한 종자들을 발견할 수 없었고, 피해gms적이 있는 종자의 비율이 기형종자 보다 많았다. 종실비대성기에 침으로 찌른 회수가 많은 경우 판형종자와 기형종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피해흔적 종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무게감소 비율은 적게 찌른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켰다. 그러나 성숙기 인위적 가해에서는 수확종자의 무게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 서해산 암컷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성 성숙 (Ultrastructural Study of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and Sexual Maturation of the Female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23-31
    • /
    • 2005
  •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 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 생식주기 및 군성숙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골지복합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 형성에 관여되었다. 성숙 단계 난모세포에서 성숙 난황 과립은 주소체(중앙중심),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산란기는 5월과 8월 사이이고, 주 산란은 수온이 대략 $18{\sim}23^{\circ}C$로 상승하는 6월과 7월 사이에 일어나고 있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9{\sim}10$월), 후기 활성기($9{\sim}2$월), 완숙기($2{\sim}6$월), 부분 산란기($5{\sim}8$월), 회복기($6{\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군성숙도는 각고 $51.0{\sim}60.9mm$에서 53.1%이었고 각고 61.0mm 이상에서는 100%를 나타내었다.

  • PDF

한국 서해산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소 성숙 (Ovarian Maturation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최기호;박갑만;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2호
    • /
    • pp.123-134
    • /
    • 2005
  • 암컷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 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발달과 난소 성숙 및 군 성숙도를 세포 및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바지락은 자웅이체이다. 난황 형성 과정 중 골지복합체, 글리코겐 입자들과 미토콘드리아들은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 세포질 내에서 지방적 및 지방 과립 형성에 관여한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 난모 세포질 내의 피질 과립, 조면 소포체 및 미토콘드리아들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하였다. 이 시기에 생식상피 내의 외인성 지질 과립상 물질들과 글리코겐 입자들이 난황막의 미세 융모를 통해서 난모 세포질 내로 통과해 들어간다. 산란기는 6월 초에서 10월 초 사이로 연중 한 번이었으며, 주 산란은 해수 수온이 대략 $20^{\circ}C$인 7월과 8월 사이에 일어났다. 본 종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sim}3$월), 후기 활성기($2{\sim}5$월), 완숙기($4{\sim}8$월), 부분 산란기($5{\sim}10$월), 퇴화 및 비활성기($8{\sim}2$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각장 $15.1{\sim}20.0\;mm$인 암컷 조개의 군 성숙도 비율(%)은 52.6%(군 성숙도 50%는 각장 17.83mm)이었고, 각장 25.1mm 이상인 조개는 100%의 군 성숙도를 보였다.

  • PDF

제주도 연안에 분포하는 흰꼴뚜기 (Sepioteuthis lessoniana) 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Fisheries Biology of Bigfin Reef Squid, Sepioteuthis lessoniana in Jeju Island, Korea)

  • 강현정;김영혜;이은희;이동우;장대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3-178
    • /
    • 2009
  • 2006년 6월부터 11월까지 매월 1회씩 제주도 귀덕, 신산, 김녕, 강정 연안에서 정치망에 의해 채집된 흰꼴뚜기를 대상으로 흰꼴뚜기의 생식생물학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97 개체의 창꼴뚜기 중에서 암컷은 55 개체, 수컷은 42 개체로 나타났다.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조사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고, 7월과 8월에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다. 수컷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생식소의 숙도가 방정이 가능한 성숙단계 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고 완숙기의 개체는 9월에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결과, 산란기는 7월이라 판단된다. 흰꼴뚜기가 산란에 참여하는 군성숙외투장을 알아본 결과 암컷은 20.5 cm, 수컷은 12.3 cm로 추정되었다.

  • PDF

Gametogenic Cycle and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Atrina (Servatrina) pectinata (Bivalvia: Pinnidae) in Western Korea

  • Chung, Jae Seung;Chung, Ee-Yung;Lee, Chang-Ho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3-375
    • /
    • 2012
  • The gametogenic cycle,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per year and first sexual maturiity of the pen shell, Atrina (Servatrina) pectinata,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Compared two previous results (the spawning periods in the reproductive cycles in 1998 and 2006)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with the present result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pawning periods: the spawning period (June to September)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one month longer than those of two previous reports (June to July or June to August)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However,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studied by the qualitative and quatitative analyses occurred once per year.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follicles to the ovary area in females (or that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May, and then sharply droped from June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A. (S.) pectinata occurred once a year from June to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of sexually mature pen shells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GM_{50}$) that were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15.81 cm in females and 15.72 c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