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eated dose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24초

Chronic Administration of Catechin Decreases Depression and Anxiety-Like Behaviors in a Rat Model Using Chronic Corticosterone Injections

  • Lee, Bombi;Sur, Bongjun;Kwon, Sunoh;Yeom, Mijung;Shim, Insop;Lee, Hyejung;Hahm, Dae-Hy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4호
    • /
    • pp.313-322
    • /
    • 2013
  •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repeated administration of the exogenous stress hormone corticosterone (CORT) induces dysregulation in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and results in depression and anxiety. The current study sought to verify the impact of catechin (CTN) administration on chronic CORT-induced behavioral alterations using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and the elevated plus maze (EPM) test. Additionally, the effects of CTN on central noradrenergic systems were examined by observing changes in neuronal tyrosine hydroxylase (TH) immunoreactivity in rat brains. Male rats received 10, 20, or 40 mg/kg CTN (i.p.) 1 h prior to a daily injection of CORT for 21 consecutive days. The activation of the HPA axis in response to the repeated CORT injections was confirmed by measuring serum levels of CORT and the expression of corticotrophin-releasing factor (CRF) in the hypothalamus. Daily CTN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mmobility in the FST, increased open-arm exploration in the EPM test, and significantly blocked increases of TH expression in the locus coeruleus (LC). It also significantly enhanced the total number of line crossing in the open-field test (OFT), while individual differences in locomotor activitie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observed in the OFT.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dministration of CTN prior to high-dose exogenous CORT significantly improves helpless behaviors, possibly by modulating the central noradrenergic system in rats. Therefore, CTN may be a useful agent for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the complex symptom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Pharmacokinetics of a sustained-release bovine somatotropin in lactating cows

  • Han, Seong-kyu;Park, Jin-bong;Kim, Doo;Park, Sang-kyoon;Lee, Ho-sung;Kim, Seong-nam;Chang, Byoung-sun;Ryu, Pan-do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7-275
    • /
    • 1999
  • Bovine somatotropin is known to improve the growth rate and lactation in cattl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oncentration-time profiles of a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of bovine somatotropin (BST)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n plasma and milk in cows. In addition, the possible effect of co-administrated vitamin ADE complex o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BST and IGF-1 was evaluated. 1. Plasma BST and IGF-1 levels reached the peak at 12~24 and 48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BST, and plasma half-lives ranged 100 to 137 and 201 to 310 hours, respectively. To 8th day after administration, BST and IGF-1 levels in milk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levels. 2. Plasma BST levels showed cyclic pattern with high concentrations in early stage after each injection and following gradual declining during repeated administrations at 2 week intervals, while plasma IGF-1 levels in treated animals did not show such a cyclic pattern, but remained higher than the control levels. 3. Milk BST and IGF-1 levels during repeated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levels. 4. Co-administration of vitamin ADE complex yielded slightly increased AUC of plasma BST for high dose group, but such effect was not evident in the IGF-1 levels. Co-administration of ADE complex tended to increase plasma BST levels and decrease the elimination half-life of IGF-1. 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ST formulation tested is one of the ideal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for long term use in dairy industry. As for the co-administration of vitamin ADE complex, the benefit of co-administration with BST is needed to be further evaluated.

  • PDF

Usefulness of Dexmedetomidine during Intracerebral Aneurysm Coiling

  • Lee, Hyoun-Ho;Jung, Young-Jin;Choi, Byung-Yon;Chang, Chul-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5권4호
    • /
    • pp.185-189
    • /
    • 2014
  • Objective : General anesthesia is often preferred for endovascular coiling of intracranial aneurysm at most centers. But in the authors' hospital, it is performed under monitored anesthesia care (MAC) using dexmedetomidine.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is approach, the authors reviewed our initial experience. Methods : Retrospective data was analyzed from July 2012 to November 2012. We performed coil embolization in 28 cases using this method. Among them,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we analyzed 12 cases in which the procedure time exceeded an hour. Vital signs were analyzed every 10 minutes. Depth of seda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Ramsay sedation scale and frequency of the repeated roadmap image(s) caused by movement of the patient's head during the procedure. Results : All procedures were completed without occurrence of procedure related complications. Under MAC using dexmedetomidine, vital signs of the patients were stabl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hemodynamic and respiratory parameters was observed between time points (p>0.05). Adequate sedation was achieved. Mean Ramsay sedation scale was $3.67{\pm}1.61$ (2 to 6). Repeated roadmap image(s) due to patient's factor occurred in only one case. The mean dosage of drug for adequate sedation for the procedure was $0.65{\pm}0.12mcg/kg/hr$ without loading doses. Conclusion : To the best of my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published in English using the method of monitored anesthesia with dexmedetomidine for intracranial aneurysm coiling. Monitored anesthesia care using dexmedetomidine without loading dose for emboliz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s appeared to be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to general anesthesia.

Korean Red Ginseng extract attenuates alcohol-induced addictive responses and cognitive impairments by alleviating neuroinflammation

  • Hee Jin Kim;Min Yeong Lee;Gyu Ri Kim;Hyun Jun Lee;Leandro Val Sayson;Darlene Mae D. Ortiz;Jae Hoon Cheong;Mikyung Kim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583-592
    • /
    • 2023
  • Background: Alcohol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psychoactive drugs. Due to its addictive characteristics, many people struggle with the side effects of alcohol. Korean Red Ginseng (KRG)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at is widely used to treat various health problems. However,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KRG in alcohol-induced responses remain uncle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RG in alcohol-induced responses. Methods: We investigated two aspects: alcohol-induced addictive responses and spatial working memory impairmen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KRG in alcohol-induced addictive responses, we performed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tests and withdrawal symptom observations. To assess the effects of KRG in alcohol-induced spatial working memory impairment, Y-maze, Barnes maze, and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s were performed using mice after repeated alcohol and KRG exposur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mechanism of KRG activit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KRG-treated mice showed dose-dependent restoration of impaired spatial working memory following repeated alcohol exposure. Furthermore, withdrawal symptoms to alcohol were reduced in mice treated with KRG and alcohol. The PKA-CREB signaling pathway was activated after alcohol administration, which was reduced by KRG. However, the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were increased by alcohol and decreased by KRG. Conclusion: Taken together, KRG may alleviate alcohol-induced spatial working memory impairments and addictive responses through anti-neuroinflammatory activity rather than through the PKA-CREB signaling pathway.

폐암 영상유도방사선 치료 시 CBCT와 4D-CBCT를 이용한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에 관한 선량 평가 (Absorbed Dose and Effective Dose for Lung Cancer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IGRT) using CBCT and 4D-CBCT)

  • 김대용;이우석;구기래;김주섭;이상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7-64
    • /
    • 2016
  • 목 적 : 폐암 환자의 CBCT와 4D-CBCT를 이용한 영상촬영 시 인접 장기에 미치는 방사선량을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인체모형팬텀(Anderson Rando Phantom, USA)을 이용하였고, 선량측정 위치는 주요 장기가 위치하는 단면에 광유도발광선량계(Opit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 1~6개를 부착하였다. 인체내부의 주요 장기를 표현하기 위해 전산화단층촬영(Lightspeed GE, USA)을 하였다. 선형가속기(CL-IX)와 선형가속기(Truebeam 2.5) thorax 모드에서 인체모형팬텀 폐 하부 기준으로 CBCT 방사선량을 측정하였고, 추가적으로 선형가속기(Truebeam 2.5) thorax 모드에서 4D-CBCT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기존 CBCT와 비교 하였다.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결 과 : CBCT로 촬영한 평균 흡수선량 측정치는 CL-IX의 경우 폐 2.505 cGy, 심장 2.595 cGy, 간 2.156 cGy, 위 1.934 cGy, 피부에 2.233 cGy 이었으며, Truebeam의 경우 폐 1.725 cGy, 심장 2.034 cGy, 간 1.616 cGy, 위 1.470 cGy, 피부에 1.445 cGy 이었다. 4D-CBCT 촬영 시 폐 3.849 cGy, 심장 4.578 cGy, 간 3.497 cGy, 위 3.179 cGy, 피부에3.319 cGy 이었다. 조직 가중치와 방사선 가중치를 고려한 평균 유효선량 값은 CBCT의 경우 CL-IX에서 폐 2.164 mSv, 심장 2.241 mSv, 간 0.136 mSv, 위 1.668 mSv, 피부 0.009 mSv 이었고 Truebeam의 경우 폐 1.725 mSv, 심장 1.757 mSv, 간 0.102 mSv, 위 1.270 mSv, 피부에 0.005 mSv 이었다. 4D-CBCT에서는 폐 3.326 mSv, 심장 3.952 mSv, 간 0.223 mSv, 위 2.747 mSv, 피부에 0.013 mSv 이었다. 결 론 : 폐암 환자의 CBCT 촬영 시 Truebeam보다 CL-IX 장비에서 받는 선량이 1.3배 정도 더 높게 나왔으며, Truebeam 장비에서 CBCT 보다 4D-CBCT에서 환자가 받는 선량이 2.2배 정도 높게 나왔다. 하지만 4D-CBCT는 환자의 움직임이 큰 경우나 호흡동조 영상유도방사선치료 시 좀 더 정확한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어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 할 것이다.

  • PDF

가상쐐기를 이용한 반대측 유방선량감소 (Contralateral Breast Dose Reduction Using a Virtual Wedge)

  • 여인환;김대용;김태현;신경환;지의규;박원;임도훈;허승재;안용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30-235
    • /
    • 2005
  • 목적: Siemens사 선형가속기에 장착된 가상쐐기를 이용하여 반대측 유방에 흡수되는 선량을 기존쐐기와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반대측 유방선량을 인체모형에서 이극진공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극진공관을 조사영역의 내측 경계선으로부터 반대쪽 외측방향으로 5.5 cm (1번 위치), 9.5 cm (2번 위치), 14 cm (3번 위치)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6 MV X-선을 이용하여 50도와 230도에서 $17{\pm}10cm$의 비대칭조사영역을 사용하여 접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번째 실험은 4가지의 치료방법을 시도하였다; (i) 개방 내측조사와 30도 기존쐐기를 사용한 외측조사; (ii) 15도 기존쐐기를 사용한 내측 및 외측조사; (iii) 개방 내측조사와 30도 가상쐐기를 사용한 외측조사; (iv) 15도 가상쐐기를 사용한 내측 및 외측조사. 두번째 실험은 개방조사, 15도 및 60도 기존쐐기 및 가상쐐기 모두를 사용하여 내측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때 동일한 모니터단위로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되었다. 결과: 첫번째 실험은 반대측 유방선량은 1번 위치, 2번 위치, 3번 위치의 순으로 감소한다. 또한 기존쐐기 및 가상쐐기와 무관하게 내측에 쐐기를 사용한 경우($3.25{\pm}1.59%$)보다는 사용하지 않은 경우(2.70{\pm}1.45%$) 선량이 낮았고, 이러한 차이는 가상쐐기($0.10{\pm}0.01%$)보다 기존쐐기($0.99{\pm}0.18%$)의 경우 더 컸다. 가상쐐기의 사용은 같은 기법의 기존쐐기를 사용한 것에 비해 처방선량 대비 $0.12{\sim}1.20%$의 반대측 유방선량을 감소시켰다. 두번째 실험시 1번 위치에서는 개방빔, 가상쐐기, 기존쐐기 순으로 선량이 높았으며, 2, 3번 위치에서는 기존쐐기, 개방빔, 가상쐐기 순으로 선량이 높았다. 결론: Siemens사 선형가속기에 장착된 가상쐐기를 사용할 경우 반대측 유방선량을 줄일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선량분포는 Varian사 것과 차이가 있었다.

양성자 치료에서 생체 내 선량측정 검출기(In-vivo dosimety)의 정확성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uracy and Usefulness of In-vivo Dosimetry in Proton Therapy)

  • 김선영;최재혁;원희수;홍주완;조재환;이선엽;박철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71-180
    • /
    • 2014
  • 본 연구는 양성자 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수모세포종 환자의 양성자 치료 시 환자들의 Skin에서 홍반이나 피부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Phantom에서 실제 환자와 동일한 치료계획 후 생체 내 선량측정 검출기(In-vivo dosimetry)로 사용되는 열 형광선량계(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와 EBT3 Film으로 실제선량을 조사 측정한다. 측정된 선량값을 치료계획 된 피부선량과 비교 분석하여 양성자 치료 시 임상적으로 피부선량 측정 사용에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Phantom을 수모세포종의 전뇌척수치료(Cranio-spinal irradiation, CSI) Set-up position으로 위치하여 Brain에서 부터 Pelvis까지 CT촬영하고 양성자 치료계획 후 치료실에서 디지털 영상 포지셔닝 시스템(Digital Imaging Positioning System, DIPS)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치료 Isocenter지점을 맞춘다. 양성자 빔이 들어가는 5부위의 치료 Isocenter 지점과 CT촬영 시 Phantom에 표시한 Marker 2부위, 모두 7지점에 미리 교정을 마친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을 교차해가면서 위치하여 붙이고 치료 계획된 양성자 빔을 각각 10회씩 조사한다. 10회 반복 측정하여 얻은 값을 평균산출하여 치료계획 시스템 에서 측정된 Skin Dose와 비교 분석한 결과, 측정위치의 어려움이 있는 정확한 측정이 결여된 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6지점의 측정 선량값은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 모두 절대 선량값과 ${\pm}2%$이내의 분포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의 양성자 치료에서 Enterance skin dose 측정을 위한 In-vivo dosimetry로 열 형광선량계와 EBT3 Film의 임상적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Phase II Study on Dose Escalating Schedule of Paclitaxel Concurrent with Radiotherapy in Treating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Cui, Lin;Liu, Xing-Xiang;Jiang, Yong;Liu, Jian-Jun;Zhou, Xiang-Rong;He, Xue-Jun;Chen, Jue;Huang, Xin-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4호
    • /
    • pp.1699-1702
    • /
    • 2014
  • Objective: To evaluate clinical efficacy of a dose escalating schedule of paclitaxel concurrent with radiotherapy in treating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NSCLC). Methods: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were treated with conventional fractionated radiotherapy or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 DCRT), concurrently with a dose escalating schedule of paclitaxel.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with paclitaxel $30mg/m^2$, B with paclitaxel $60mg/m^2$ and C with paclitaxel $90mg/m^2$. Paclitaxel was repeated every week for a total of 4 or 6 weeks. Results: Among 109 patients, response rates were 68.8%, 71.1% and 71.8% (p>0.05) for group A (n=32), B (n=38), and C (n=39) respectively. Accordingly, disease control rates were 81.3%, 81.6% and 82.1% (p>0.05). Progression-free survival time was $8.0{\pm}5.0$ months, $11.6{\pm}6.1$ months, and $14.8{\pm}7.9$ months (p<0.05), respectively. Overall survival time was $15.4{\pm}7.6$ months, $18.2{\pm}8.0$ months, and $22.0{\pm}7.6$ months (p<0.05), one-year survival rates were 62.5%, 73.1% and 90.0% (p>0.05) and two-year survival rates were 31.3%, 38.5% and 50.0% (p<0.05). Main side-effects were bone marrow suppression, radiation related esophagitis and gastrointestinal reaction. Conclusion: In treating patients with NSCLC,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paclitaxel improves early response compared with conventional fractionated radiotherapy or 3 DCRT. The survival rate was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paclitaxel,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adverse reactions when the dose of paclitaxel was increased.

핵의학 검사 후 환자의 주위 환경에 따른 표면 선량 평가 (Surface Dos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round the Patient after Nuclear Medicine Examination)

  • 이영희;박재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43-948
    • /
    • 2021
  • 본 연구는 방사성 동위원소인 99mTc, 18F가 주입된 환자에게서 나오는 감마선이 안정실 벽면 등의 높은 원자번호로 되어있는 물질과 밀착되어 증가하는 산란선으로 인한 표면 선량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NEMA 팬텀에 99mTc과 18F을 각각 20, 10 mCi를 주입하여 준비한 뒤 지표면과 1 m 높이에 팬텀을 위치시키고 주위가 빈 공간인 경우와 벽면으로부터 0, 5, 10 cm 거리에 팬텀을 위치시키고 벽면과 마주 보는 팬텀의 동일한 위치에 25개의 OSLD NanoDot을 부착시켜 60분간 표면 선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의 재현성을 위하여 각 5회 반복 실험하였으며, 유의성 검정을 위하여 일원 배치 분산분석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시행하고 사후 검정으로 Tukey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주위가 빈 공간인 경우와 0, 5, 10 cm 였을 때 99mTc에서는 각각 220.268, 287.121, 243.957, 226.272 mGy의 표면 선량이 측정되었으며, 18F에서는 각각 637.111, 724.469, 657.107, 640.365 mGy로 측정되었다. 환자가 대기하는 동안 위치에 따른 표면 선량 변화를 줄이기 위해 환자와 밀착되는 땅바닥이나 벽면과의 거리를 10 cm 이상의 거리를 두거나, 에어매트리스 등을 설치하여 산란선을 최대한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며, 향후 환자 대기실 및 안정실 등의 구조 설정 시에 벽면 등으로 인한 산란선을 고려해야 하며, 검사 이외에 외부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 것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Aquaplast가 광자선의 표면선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quaplast on Surface Dose of Photon Beam)

  • 오도훈;배훈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95-100
    • /
    • 1995
  • 목적 : 두경부종양 환자의 방사선치료시 두경부의 고정에 흔히 이용되는 Aquaplast가 광자선의 표면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6MV X-선(Siemens Mevatron 6740)의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PTW Frieburg 제작의 Markus chamber와 Capintec Model WK92 El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25{\times}25{\times}5cm^3$ 크기 아크릴판의 중앙에 고정된 전리함을 $25{\times}25{\times}5cm^3$ 크기의 폴리스티렌 팬톰 위에 올려 놓고 표면선량을 측정한 후 적당한 두께의 폴리스티렌 팬톰판을 올려가면서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측정하였다. 1.6mm 두께의 Aquaplast(WFR Aquaplast Corp. 제작)를 원형 그대로, 그리고 실제 환자의 고정시와 비슷한 정도로 변형시킨 상태로 전리함 위에 올려 놓은 후 각각 같은 방법으로 선량을 측정하였다. 또 트레이를 장착한 후 변형된 Aquaplast가 있는 상태에서와 없는 상태에서 각각 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SSD 100cm에서 시행하였으며 $5{\times}5cm^4$, $10{\times}10cm^2$, $15{\times}15cm^2$의 세 가지 크기의 조사면에 대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의 선량 백분율은 Markus chamber의 과반응을 교정하기 위하여 Gerbi와 Khan이 제시한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 : $5{\times}5cm^2$, $10{\times}10cm^2$, $15{\times}15cm^2$의 조사면에서 표면선량은 각각 $7.9\%$, $13.6\%$, $18.7\%$ 이었고 원형 그대로의 Aquaplast가 있을 경우 표면선량은 각각 $38.4\%$, $43.6\%$, $47.4\%$ 이었으며 변형된 Aquaplast가 있을 경우의 표면선량은 각각 $31.2\%$, $36.1\%$, $40.5\%$ 이었다. 최대선량점 이상의 깊이에서는 거의 비슷한 선량 백분율을 보였다. 트레이는 조사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Aquaplast가 없을 경우 $0.2\%$, $1.7\%$, $3.0\%$의 표면선량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변형된 Aquaplast가 있을 경우 $0.2\%$, $1.9\%$, $3.7\%$의 표면선량 증가를 보였다. 결론 : Aquaplast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Aquaplast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였을 경우 약 $30\%$, 실제 환자의 고정시와 비슷한 정도로 변형하였을 경우 약 $22\%$의 표면선랑 증가를 가져왔으며 최대선량점 깊이 이상에서의 선량 백분율에는 건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제 환자에서의 Aquaplast의 사용은 피부 및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약간 증가시키지만 임상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