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in activit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6초

이차성 고혈압 환자에서 알도스테론/혈장 레닌활성도 비율을 이용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의 진단 및 임상적 유용성 평가 (Diagnosis of Primary Aldosteronism and Usefulness of Aldosterone/Renin Ratio in Secondary Hypertension)

  • 김혜숙;권원현;문기춘;이인원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241-246
    • /
    • 2008
  • 목적 : 고혈압은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본태성고혈압과 다른 원인에 의한 이차성 고혈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 질환을 알고 치료하면 치유가 가능한 고혈압으로써 고혈압 환자 중에서 비교적 흔히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으로 진단된 이차성고혈압 환자군이 알도스테론/레닌의 비율을 산출하였을 때 이 비율이 정상군보다 얼마나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는지 또한 본태성고혈압 환자군과는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재료 및 방법 : 2006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분당 서울대병원에 내원하여 알도스테론과 레닌활성도를 검사한 환자들(n=901)을 대상으로 하였다. 크게 3그룹으로 분류하여 정상군(n=147), 본태성 고혈압환자군(n=709),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군(n=45)에 대한 알도스테론, 레닌, 알도스테론/레닌의 비율에 대한 평균${\pm}$표준편차를 측정하였고, 각 그룹간 비교분석에서 유의확률(p-value)값을 구하였다. ROC 곡선을 이용하여 알도스테론/레닌 비율의 기준치(Cut off)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였다. 결과 : 각 그룹간 알도스테론, 레닌, 알도스테론/레닌 비율의 평균${\pm}$표준편차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정상군(n=147)에서는 알도스테론 : $87.40{\pm}52.81$, 레닌 : $3.16{\pm}5.35$, 알도스테론/레닌 비율 : $52.88{\pm}52.46$로 측정되었고, 본태성 고혈압환자군(n=709)에서는 알도스테론 : $132.39{\pm}83.59$, 레닌 : $2.71{\pm}3.37$, 알도스테론/레닌 비율 : $171.04{\pm}291.56$로 측정되었고,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으로 진단받은 환자군(n=45)에서는 알도스테론 : $342.48{\pm}229.30$, 레닌 : $0.24{\pm}0.29$, 알도스테론/레닌 비율 : $2325.74{\pm}2200.88$로써 상당히 높게 측정되었다. 알도스테론/레닌 비율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의 환자 그룹과 정상그룹, 본태성 고혈압환자그룹 사이에서 p<0.001로써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고,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을 선별함에 있어 ROC 곡선상에서 알도스테론/레닌 비율의 기준치는 Cut off : 485일 때 민감도 : 91.1%, 특이도 : 92.4%를 보였다. 결론 : 아직 표준화된 알도스테론/레닌 비율의 기준치가 정립화 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서 알도스테론/레닌의 비율이 상당히 높게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부신선종(adenoma)으로 인해 알도스테론이 만성적으로 과잉 분비되어 억제된 레닌 활성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알도스테론/레닌 비율의 검사는 임상에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을 진단함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거라 생각되어진다.

  • PDF

지황(地黃) 전탕액(煎湯液) 투여(投與)가 백서(白鼠)의 혈장(血漿) Renin 활성도(活性度), 혈장(血漿) Aldosterone 및 Atrial Natriuretic Peptide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hmannia Radix Water Extracts on the Plasma Renin Activity and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 in Rats)

  • 이호섭;류도곤;윤용갑;유윤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29-335
    • /
    • 1996
  • Rehmannia Radix is a thick tuberous root about 3-6 cm diameter. The tuberous root is repared for medicine. The material in the fresh state is shengdihuang (生地黃). The material in the dried state is gandihuang (乾地黃). Shudihuang (熱地黃) is made by taking juicy roots, washing them in millet wine, steaming on a willow frame in a percelain vessel, drying, and resteaming and redrying nine times. The aim of this experiment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hmannia Radix Water extracts on the plasma renin activity and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in rat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Plasma renin activity was not changed after administration of Rehmannia Radix water extracts.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nistration of Shudihuang (熱地黃) water extracts. Plasma level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nistration of Shudihuang (熱地黃) water extracts.

  • PDF

팔미지황탕(八味地黃湯) 전탕액(煎湯液) 투여(投與)가 백서(白鼠)의 혈장(血漿) Renin 활성도(活性度), 혈장(血漿) Aldosterone 및 Atrial Natriuretic Peptide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almijihwangtang Water Extracts on the Plasma Renin Activity,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and Artrial Natriuretic Peptide in Rats)

  • 정은경;조남수;이춘우;최민호;허진영;강성도;고정수;성은경;성기호;이관형;류도곤;이호섭
    • 동의생리학회지
    • /
    • 제14권2호통권20호
    • /
    • pp.209-214
    • /
    • 1999
  • The aim of the present experiment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lmijihwangtang water extracts on the plasma renin activity and plasma level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d aldosterone in ra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lasma renin activity was not different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almijihwangtang water extracts 2.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almijihwangtang water extract 3.0 ml/kg. 3. Plasma level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almijihwangtang water extracts.

  • PDF

부자(附子) 전탕액(煎湯液) 투여(投與)가 백서(白鼠)의 혈장(血漿) Renin 활성도(活性度), 혈장(血漿) Aldosterone 및 Atrial Natriuretic Peptide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adix Aconiti Water Extract on the Plasma Renal Activity and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 in the Rats)

  • 이호섭;유윤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1-295
    • /
    • 1996
  • The aim of this experiment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d of Radix Aconiti water extrac on the plasma renin activity and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 in rat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Plasma renin activi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nistration of Radix Aconiti water extract. Plasma levels of aldosteron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nistration of Radix Aconiti water extract. Plasma level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was not changed after administration of Radix Aconiti water extract.

  • PDF

장기간 고염 섭취한 SHR 고혈압 쥐에서, 급성 혈장량 증가에 대한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및 Renin 분비 반응의 비교 (Dietary Sodium Effects on Response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and Renin Release to Acute Volume Expansion in SHR)

  • 김애라;이원정;주영은;김선희;조경우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253-261
    • /
    • 1989
  • 장기적으로 소금량을 다르게 섭취시킴에 따라서, 체내의 Na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aldosterone,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및 renin 분비와 신장의 배설 반응에 나타나는 변화를 정상 혈압쥐 Wistar와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에서 비교하고자 실험하였다. 생후 7주의 숫쥐인 Wistar와 SHR에게 저염과 고염 식이 (각각 2, 25 mmol Na/100 g diet)를 6주간 먹였다. 그 후 ether 마취하에서 대퇴 동맥과 정맥 및 방광에 관을 삽입한 후, restraining cage에 넣었다. 수술회복 후 안정시 뇨와 혈액을 채취한 후, 0.9% saline을 30분동안 체중의 3%되게 정맥주입(혈장량 증가)하고 뇨와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장의 호르몬을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였다. Wistar와 SHR의 저염, 고염 식이군의 성장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Wistar 저염과 고염군의 평균 동맥혈압은 각각 113과 110 mmHg로 차이가 없었으며, SHR의 동맥압은 141과 149mmHg로 고염군이 높았다. 저염식이군에서 혈장 aldosterone농도는 고염군보다 월등히 높았고, ANP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renin은 고염군보다 낮았다. 혈장량 증가 이후 혈장 aldosterone은 모든 군에서 $30{\sim}40%$정도 감소하였고, renin은 $30{\sim}60%$정도 감소하였다. 혈장량 증가 이후 ANP는 증가하였는데 고염군에서의 증가도가 저염군에서보다 월등히 높았다. 혈장량 증가 이전의 Wistar군의 혈장 aldosterone과 renin의 대조치 값은 SHR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NP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혈장량 증가 이후의 Wistar와 SHR의 aldosterone과 renin의 감소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ANP의 증가도는 Wistar가 SHR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호르몬들 중에서 혈장 aldosterone과 renin사이에는 양의 대수함수 관계가 있으며, 기울기는 고염군이 저염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량 증가 이후에 나타나는 뇨량과 소금 배설률의 증가 정도는 고염군과 저염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HR이 Wistar보다 더 심한 이뇨와 Na 배설항진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금 섭취량에 따라서 aldosterone, ANP 및 renin의 분비 조절이 다르며, 정상 혈압과 고혈압쥐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당뇨병(糖尿病)에서의 혈장(血漿) Renin 활성(活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Plasma Renin Activity in Diabetes Mellitus)

  • 표희정;박정식;김성권;최강원;이정상;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3권1_2호
    • /
    • pp.23-29
    • /
    • 1979
  • To evaluate the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in diabetes mellitus, basal plasma renin activity (PRA) and its response to intravenous furosemide were determined in 40 diabetic subjects. The diabetic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pressence of nephropathy and/or hypertension. Uncomplicated diabetics (Group I) were taken as control group and the results of the ether groups were compared to this group. In diabetics with nephropathy alone (Group II), and with nephropathy and hypertension (Group III), basal PRA values were $0.63{\pm}0.59ng/ml/hr.,\;and\;0.79{\pm}0.62ng/ml/hr.,$ respectively, both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1.53{\pm}1.09ng/ml/hr.$). (p<0.05) In both of the above groups, the responses to intravenous furosemide tended to be blunted. On the other hand, in diabetics with hypertension only (Group IV), the basal and stimulated PR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Above results suggests that nephropathy may be one of the factors which suppress renin activity in diabetes mellit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