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al artery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3초

Idiopathic midaortic syndrome with malignant hypertension in 3-year-old boy

  • Ahn, Kyung Jin;Yoon, Ja Kyoung;Kim, Gi Beom;Kwon, Bo Sang;Bae, Eun Jung;Noh, Chung 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84-87
    • /
    • 2016
  • Midaortic syndrome (MAS) is a rare vascular disease that commonly causes renovascular hypertension. The lumen of the abdominal aorta narrows and the ostia of the branches show stenosis. MAS is associated with diminished pulses in the lower extremities compared with the upper extremities, severe hypertension with higher blood pressure in the upper rather than lower extremities, and an abdominal bruit. The clinical symptoms are variable, and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hypertension can aid early diagnosis and optimal treatment. Hypertension with MAS is malignant and often refractory to several antihypertensive drugs. Recently, radiologic modalities have been developed and have led to numerous interventional procedures. We describe the case of a 3-year-old boy presenting wit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whose severely elevated blood pressure led to the diagnosis of idiopathic MAS. This cas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conducting a detailed physical examination to diagnose MAS.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idiopathic MAS diagnosed in childhood in Korea.

중년 여자 환자에서 비전형적 Middle Aortic Syndrome의 수술치험 1예 (Atypical Middle Aortic Syndrome in a Middle Aged Woman -A case report-)

  • 김우식;배윤숙;정성철;신용철;유환국;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80-83
    • /
    • 2004
  • 원위 흉부 대동맥이나 복부 대동맥 혹은 두 부위가 좁아져 있는 Middle aortic syndrome (이하 MAS) 또는 mid aortic dysplastic syndrome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원인이 불분명하고 흔히 젊은 여성에게서 잘 나타나는 이 질환은 뇌출혈뿐만 아니라 심장, 신장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로 혈류를 개선하여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대동맥 혈관의 섬유화로 인한 수술 술기의 어려움이 따른다. 최근 국립의료원 흉부외과에서는 광범위한 석회화 병변을 동반한 하부 대동맥협착을 가진 51세 여자 환자에서 6.0-mm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양측 액와-대퇴 동맥간 우회로술을 시행함으로써 우수한 수술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동맥류의 수술요법 (Surgical treatment of the aortic aneurysm)

  • 박표원;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301-309
    • /
    • 1983
  • Twenty-three patients with aneurysm were operated between Jan. 1956 to July 1983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18 males and 5 females in this series. The age ranged from 14 to 68 years with the mean age of 41 years. The etiology of aortic aneurysms was atherosclerosis in 10, trauma in 2, annuloaortic ectasia in 4, syphilis in 1, and unknown etiology in six cases. Among the 4 patients with ascending aortic aneurysm, aortic valve replacement with aneurysmorrhaphy in three patients and Bentall operation in one patient were performed successfully. One patient with entire aortic arch aneurysm was received Dacron graft replacement with anastomosis of brachiocephalic arteries separately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There was no complication. Among 6 patients involving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three patients were managed by prosthetic bypass graft and aneurysm resection, and another three patients were also managed by prosthetic graft replacement. There were three hospital deaths. There were two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One patient in shock state due to preoperative rupture died from cardiac arrest during operative procedure. In another patient who had extensive involvement from the midportion of descending thoracic aorta to the terminal abdominal aorta, the aneurysm was successfully repaired with Dacron graft. In this instance celiac axis, superior and inferior mesenteric arteries and right renal artery were anastomosed separately. Eight of the 10 abdominal aortic aneurysms was replaced with prosthetic graft. One saccular aneurysm was treated by resection and primary closure. In another patient, cardiac arrest occurred during operation before definitive procedure. There was one another hospital death in the patient with preoperative rupture.

  • PDF

Six-year Experience of Endovascular Embolization for Intracranial Aneurysms

  • Jung, Yeun-Ho;Park, Seong-Hyun;Kim, Yong-Sun;Hamm, In-Su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3호
    • /
    • pp.190-195
    • /
    • 2005
  • Objective :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cedural complications, aneurysm occlusion rate, and mid-term outcome of endovascular treatments in intracranial aneurysm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35 patients with 161 cerebral aneurysms who were treated by endovascular means at our institute from March 1999 to December 2004. We statistically analyzed overall outcome, occlusion rate, and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location, size, rupture history, and neck size of aneurysms. Results : Forty-nine patients [36.3%] had experienced acute intracranial or extracranial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rocedure. Among these, there were 13cases of perforation of the aneurysm, 9 of local vasospasm, 8 of thromboembolism, 4 of coil migration, 3 of occlusion of parent vessels due to coil protrusion, and 1 of seizure. Extracranial complications occurred in 14cases including alopecia [9cases], femoral artery thrombosis [2cases], acute renal failure [2cases], and hypovolemic shock [1case]. One hundred twenty-six aneurysms [78.3%] had complete occlusion of the aneurysm and 35 [21.7%] incomplete occlusion at 6months angiographic follow-up. Postembolization clinical follow-up ranged from 1 to 60months [mean, 14.2months]. Seven of the 161 aneurysms underwent additional embolization and 2 incomplete embolized aneurysms required subsequent surgery. Conclusion : The procedural complications and incomplete occlusion rates are substantial. Therefore, endovascular treatment needs close and continued neurosurgical and neuroradiological concerns for the therapy of intracranial aneurysms.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 후 이환과 사망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박창률;이응배;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59-1164
    • /
    • 1998
  • 배경: 수술수기와 심근보호법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의 수술성적이 향상되고 있지만 술후 사망과 이환에 직면하고 있는 일부 환자들은 점점 증가하고 있어 수술후 이환과 사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을 받은 총 137명을 대상으로 술전 위험요인과 술후 이환 및 사망(이하 이환)과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전 위험요인으로는 나이, 성별, 술전심근경색, 응급수술, 좌심실박출계수, 비만 그리고 3혈관 질환 등 7개의 변수를 선택하였으며 수술후 이환은 부정맥, 상처감염, 뇌손상, 술후입원기간의 장기화, 폐렴, 급성신부전증, 인공호흡기의 장기간 사용 그리고 수술사망 등으로 하고 이중 하나만 발생하여도 이환이 있다고 간주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 나이는 56.7세였고, 27세부터 74세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전체 환자의 수술사망률은 6.6%였고 이중 계획수술은 3.9%(5/128), 응급 또는 긴급수술은 44.4%(4/9)의 사망률을 보였다. 65세 이상의 환자에서 이환율은 65세 미만의 환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에 의한 이환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수술 사망률은 여자(5/41, 12.19%)에게서 남자(4/96, 4.17%)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응급수술의 이환율은 100%로 계획수술의 환자에서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술전 좌심실 박출계수가 50% 미만인 환자에서 50% 이상인 환자보다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 후 이환의 위험요인은 65세 이상의 고령과 응급 또는 긴급수술이었고 수술사망의 위험요인은 50% 미만의 술전 좌심실 박출계수와 응급 또는 긴급수술이었다.

  • PDF

Sternal Healing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Assessment by Computed Tomography Scan

  • Shin, Yoon Cheol;Kim, Sue Hyun;Kim, Dong Jung;Kim, Dong Jin;Kim, Jun Sung;Lim, Cheong;Park, Kay-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33-39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ternal healing over time and the incidence of poor sternal healing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using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197 patients who underwent isolated CABG using skeletonized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sBITA) from 2006 through 2009.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was performed on all patients at monthly intervals for three to six months after surgery. In 108 patients, an additional CT study was performed 24 to 48 months after surgery. The axial CT images were used to score sternal fusion at the manubrium, the upper sternum, and the lower sternum. These scores were added to evaluate overall healing: a score of 0 to 1 reflected poor healing, a score of 2 to 4 was defined as fair healing, and a score of 5 to 6 indicated complete healing. Medical records were also retrospectively reviewed to identify periopera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poor early sternal healing. Results: Three to six months after surgery, the average total score of sternal healing was $2.07{\pm}1.52$ and 68 patients (34.5%) showed poor healing. Poor healing was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manubrium, which was scored as zero in 72.6% of patients.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early healing were shorter post-surgery time, older age, diabetes mellitus, and postoperative renal dysfunction. In later CT images, the average sternal healing score improved to $5.88{\pm}0.38$ and complete healing was observed in 98.2% of patients. Conclusion: Complete sternal healing takes more than three months after a median sternotomy for CABG using sBITA. Healing is most delayed in the manubrium.

하지 혈행장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Arterial Occlusive Disease in the Lower Extremity)

  • 서정욱;조은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889-896
    • /
    • 1996
  • 하지 동맥 혈관의 폐쇄로 인한 급,만성적인 하지 허혈은 혈관우회술이나 혈전제거술등의 적극적인 수술을 시행함으로 점차 좋은 경과를 얻고있다. 동아대학교 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하지 허혈의 임상적 양상과 수술 결과를 살펴보고자 1990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5년 5개월동안 1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을 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령 및 성별 분포는 25세에서 87세이고 남자가 92례, 여자가 9례로써 약 101로 남자에서 많았다. 이들 환자의 동맥폐쇄질환에 관계있는 병인에는 동맥경화성 협착이 54례, 혈전색전증이 21례. 버거씨병이 20례, 외상에 의한 동맥 폐쇄가 3례, 가성동맥류가 3례였다. 동맥경화성 협착에서 주 폐쇄부위는 대퇴동맥 폐쇄가 30례, 장골동맥 폐쇄 23례, 슬와 동맥 폐쇄 10례, 대동맥 분지부 6례. 경골동맥 폐쇄였고, 버거씨 병에서는 후경골동맥 폐쇄 14례, 전 경골동맥 폐쇄 8례. 슬와동맥 폐쇄 5례. 대퇴동맥과 비골동맥이 각각 2례 였다. 혈관 폐쇄로 인한 하지 혈행장애의 수술은 동맥경화성 협착에서 혈관우회술이 61례. 혈전 제거술 24 례, 교감 신경절제술 20례였다. 동맥경화성 협착 환자에서 혈관우회술을 시행한 苛\ulcorner61례로써 이중 대퇴동맥과 슬와 동맥간의 우회술이 21례, 대퇴동맥과 반대편 대퇴동맥간의 우회술이 15례. 맥와 동맥과 양측 대퇴동맥간의 우회술이 7례, 하복부 대동맥과 양측 대퇴동맥간에 Y graft를 이용한 우회술이 3례였 4술후 이식혈관에 대한 개존율은 전체적으로 술 후 1년에 83.6%. 2년에 77.1%. 3년에 75.5%의 결과를 보였고 하지 보존율은 86.8 %였다. 하지혈행장애의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사망은 6명이었는데 사망 원인은 급성 신부전증, 다장긴 기능 부전, 그리고 패혈중이었다.

  • PDF

복부 대동맥류에 대한 수술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Abdominal Aortic Aneurysm)

  • 류경민;서필원;박성식;류재욱;김석곤;이욱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31-336
    • /
    • 2009
  • 배경: Dubost 등이 1952년에 실시한 신동맥 하부 대동맥류 수술을 시작으로 복부 대동맥류의 근치적인 수술적 치료가 시작되었다. 최근에 경피적 대동맥 스텐트 삽입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외과적 수술이 감소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근치를 위한 치료로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지난 6년간 시행한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성적 및 그 예후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복부 대동맥류로 수술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60 mm 이상의 최대직경, 크기의 증가, 내과적으로 조절 안되는 고혈압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등이었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6.6{\pm}9.3$$(49\sim81)$였고, 남자가 12명(66.7%), 여자가 6명이었다. 신동맥 상부까지 진행된 경우는 6명(33.3%), 장골동맥까지 진행된 경우는 13명(72.2%)이었다. 진단 당시 대동맥이 파열되어 있었던 환자들은 5명(27.8%)이었다. 대동맥의 평균 최대직경은 $72.2{\pm}12.9$ mm ($58\sim109$ mm)였다. 수술은 모두 정중 복부절개를 통한 복강 내 접근으로 시행하였고, 응급수술은 6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대동맥 겸자 후 양쪽 하지로 혈류개통이 될 때까지의 허혈시간은 평균 $82{\pm}42$분($35\sim180$분)이었다. 전체 환자 중 3명이 사망하여 전체 사망률은 16.7%였고, 파열된 환자의 사망률은 60%, 파열되지 않은 환자의 사망률은 0%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신부전, 대퇴등 정맥 폐쇄, 창상감염이 각 1예씩 있었다. 생존 환자들은 $34{\pm}26$개월($4\sim90$개월)간의 추적관찰 기간동안 대동맥 내 문제는 없이 장기생존 중이다. 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파열, 응급수술이 의미 있었다(p<0.05). 결론: 파열된 복부대동맥류에 대한 응급수술은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나, 파열되지 않은 복부대동맥류의 수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수술 후 생존한 환자는 장기생존을 보인다. 비록 경피적 대동맥 스탠트 삽입술이 최근의 치료 경향이나 종래의 수술방법도 만족할 만 한다.

체외순환하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한 급성신부전증 (Acute Renal Failure after On-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진웅;조민섭;박찬범;사영조;김치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416-422
    • /
    • 2004
  • 급성신부전증은 심장수술 후 가장 흔하게 경험하는 합병증 중 하나이다. 급성신부전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독립적으로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보다는, 여타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환자의 전신상태를 악화시키며 적극적인 약물 및 수액요법을 방해하는 등으로 동반된 다른 합병증의 치료를 까다롭게 하여 환자의 회복에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저자들은 일반적인 체외순환하 시행하였던 관상동맥수술 후 발생하는 급성신부전증의 임상적 의의를 확인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밝혀 수술 후 발생하는 급성신부전증의 효과적인 예방법을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단일 술자에 의해 체외순환하 관상동맥우회 술을 시행받았던 97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모든 증례들에서 수술 전 요인으로 연령, 성별, 혈중크레아티닌이 2.0 mg/㎗ 이상 증가하였던 기왕력, 수술 전 마지막으로 검사한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 당뇨와 고혈압, 좌심실구출률, 수술 중 요인으로 응급수술 여부, 체외순환시간, 대동맥교차감자시간, 우회도관 말단부 문합수를 조사하였고, 수술 후에는 대동맥내 풍선펌프(intra aortic balloon pump)의 사용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들 인자들과 수술 후 혈중 크레아티닌의 농도가 2.0mg/㎗ 이상 증가하였던 증례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 검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총 97예의 환자 중 수술 후 혈액 크레아티닌 소견이 2.0 mg/㎗ 이상으로 증가하였던 경우는 19예였으며, 폐부종, 요량의 현저한 감소 등으로 복막투석을 시행하여야 하였던 경우는 3예였다. 이들 19명 중 8명에서 동반하는 합병증이 있어 합병증 발생률은 42.16%로, 크레아티닌의 증가 소견이 없었던 환자군의 78명중 5명(6.4%)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망률도 각각 10.5%와 1.3%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술 후 크레아티닌의 증가와 관련된 인자는 당뇨, 수술 전 크레아티닌이 2.0 mg/㎗ 이상 증가하였던 기왕력, 좌심실구출률이었다. 결론: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후 발생하는 급성신부전증은 수술 전 당뇨와 급성신부전증의 기왕력 및 좌심실구출률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수술 후 발생하는 기타의 합병증의 유병률을 높이고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이상과 같은 위험요인이 있는 환자에서는 체외순환을 시행하지 않는 수술 법 등, 급성신부전증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급성 신부전 쥐 모델에서 자기 표지된 인간 제대정맥 내피세포의 연속 자기공명영상 (Serial MR Imaging of Magnetically Labeled Hume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in Acute Renal Failure Rat Model)

  • 이선주;이상용;강경표;김원;박성광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3호
    • /
    • pp.181-191
    • /
    • 2013
  • 목적: 급성 신부전 쥐 모델에서 상자성 철 산화물 (superparamagnetic iron oxide(SPIO)로 표지한 인간탯줄혈관내피 세포를 자기공명영상으로 추적할 수 있는지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인간탯줄혈관내피 세포를 SPIO와 poly-L-lysine (PLL) 혼합물로 표지 하였다. SPIO 농도에 따라서 이완율, 세포 생존율, 표지 안정성을 SPIO 농도의 변화에 따라 평가하였다. 인간탯줄혈관내피 세포를 급성 신부전 쥐 모델에서 꼬리정맥을 통하여 주사하였다. MR을 이용한 추적 검사는 $T2^*$ 경사에코 MR 영상을 이용하였다. 1, 3, 5, 7일째 추적한 MR 영상 소견을 조직 소견과 서로 견주어 보았다. 결과: SPIO-PLL 혼합물을 표지 한 후 Prussian blue 염색에서 평균 $98.4{\pm}2.4%$ 세포가 양성반응을 보였다. 3일과 5일 후 측정한 이완율은 1일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인간탯줄혈관내피 세포를 SPIO로 표지 한 후 안정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추적 MR 영상에서 급성신부전을 유도한 왼쪽 신장 외곽 신 수질에서 신호강도 소실을 보였으나 오른쪽은 정상이었다. 3, 5, 7일 후 촬영한 영상에서 왼쪽 신 수질에서 보인 신호강도 소실이 점차 사라졌으나 오른쪽 신장에서는 여전히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학 검사에서도 MR 영상의 신호강도 소실이 Prussian blue 염색을 보인 부분과 일치하였다. 면역화학적 분석에서 신 수질에서 보인 세포들이 인간탯줄혈관내피 세포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MR 영상은 급성 신부전 치료의 한 방법인 세포 치료의 경우 세포 추적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