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igious spirituality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희망, 감사성향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pe and Gratitude on Spirit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 조명주;전원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9-57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spirituality in nursing students. Method: A total of 247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via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s for hope, gratitude, and spirituality were above-averag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spirituality according to religion, religious activity, voluntary servic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field, and motivation for entering a college of nursing. Spiritua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pe and gratitude. Significant predictors of spirituality included hope, gratitude, voluntary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y.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51.3% of perceived spirituality. Conclusion: To improve spirit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hope and gratitude, and support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y.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of Health Status wi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Korea)

  • 윤현숙;원성원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077-1093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노인 1,409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건강수준, 생활만족도와 우울, 영성과 종교 활동은 성별에 따라 일관되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성별에 따른 영향도 포함하였다. 건강상태는 만성질환의 수로 측정하였고, 생활만족도는 PGCMS를, 우울은 CES-D를 적용하였다. 영성은 IE종교성 척도를 활용하였고, 종교활동은 종교모임에 참여하는 빈도로 측정하였다.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의 영성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활동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우울에는 영향을 미치며,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의 실천적 함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했다.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영성에 관한 연구 (Spirituality of Student Nurses)

  • 이명화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65-274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spirituality in student nurses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to develop a spirituality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499 students in departments of nursing in 5 universities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ne 7 and July 18, 2002. The instrument was used Howden's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pm}SD$, t-test F-test,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PSS program was used. Results: 1) The mean score for spirituality was $101.14{\pm}8.70$ (range 26-130). 2) The mean score for perceived health state was $3.42{\pm}0.80$. 3) Spiritua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ex, religion, practice experience, smoking, drinking, and climate of home. 4) Spirituality according to religious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influence of religion, necessity of religion, help from religion, subjectivity of God in life, reading religious books, participation in religion ceremonies. 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e and spirituality. Conclusion: The spirituality of the student nurses was high and differed according to sex, religion, practice experience, smoking, drinking, and climate of home, religious characteristics, spiritual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 PDF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unctional Capacity and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 박선애;허준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25-1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통합이론(Brief, Butcher, George, & Link, 1993)을 기반으로,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인천 및 경기도에서 노인복지관, 경로당, 종교기관의 노인대학을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이다.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2015년 4월부터 5월까지 면접조사에 의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총 413부의 설문지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IADL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실존적 영성의 영향력이 종교적 영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 사이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는데 종교적 영성이 실존적 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복지실천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복지실천현장에 영성관련 제도를 마련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 영성적 실천의 토대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사회활동과 종교 및 영성이 한국노인들의 우울증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Impact of Social Activities and Religion/Spiritualit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 강선경;김헌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2호
    • /
    • pp.163-190
    • /
    • 2011
  • 본 연구는 65세에서 80세 사이의 연령대에 있는 서울/경기지역 노인복지센터에 참여하는 217명의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활동, 종교적 경험, 영성 수행 등이 노인 우울증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종교 및 영성에 관련된 변수는 일상적 영성 경험, 가치관, 관용, 개인의 종교 활동, 종교 및 영적 수양, 종교적 지지 등 여섯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측정되었다. 사회활동과 종교 및 영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활동척도 (Social Activities Scale)와 종교/영성 다중체계 척도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sity/Spirituality)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증 측정을 위해서는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적용하는 동시에 삶의 만족도 측정은 삶의 만족척도 (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사용하였다. 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분석한 연구결과, 높은 수준의 종교 및 영적 수양, 사회활동, 높은 소득수준, 낮은 수준의 일상적 영성 경험이 노인들의 우울증 발생에 낮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일수록, 고령일수록, 사회활동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공교육 내 영성교육의 의무화와 딜레마 (Reflecting on the Dilemma of Compulsory Spiritual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 고병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45집
    • /
    • pp.69-102
    • /
    • 2023
  • 최근에 학교에서 영성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해지고 있다. 2022년 종교 교육과정에도 영성 개념이 삽입되어 있다. 그렇지만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해 영성교육을 하는 것은 개인이나 사립단체가 영성교육을 하는 것과 차원이 다르다. 후자가 자발적 선택에 의한 것이라면, 전자는 의무적 또는 강제적으로 부과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상황을 성찰하기 위해, 이 글은 영성교육을 공교육에서 의무화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검토할 부분은 영성담론의 유통과 영성의 범위 문제, 영성교육론의 내용과 사례, 그리고 영성교육의 의무화 문제이다. 필자의 관점은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 교육과정인 이상 모든 학교와 학습자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영성담론은 영성 또는 종교성 척도 연구, 영성관광 등을 통해 확장되고 있고, 그 안에서 배타적 영성과 포괄적 영성이 공존하고 있다. 영성교육론자들은 이미 종교 교육과정에 구현된 성찰적 교육을 간과한 채 지식교육을 낭만적으로 비판한다. 게다가 신앙교육 형태에서 보이는 문제들의 재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영성 개념에 내재된 규범성을 간과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종교적이거나 규범적 지식은 주입과 전달 대상이 아니라 성찰 대상이다'라는 것을 종교 교육과정의 최소 원칙으로 제시하였다. 학습자에게 중요한 것은 주체적 삶이고, 이를 위해 종교적·영적 체험이나 삶을 조망하여 성찰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이 원칙을 적용하면, 영성은 학습자의 성찰 대상이자 선택 대상이 된다. 무엇보다 성찰적 사유 능력을 갖춘 학습자라면 어떤 환경이라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 글이 공교육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종교교육 형태를 지속적으로 성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종교계고등학교 남학생의 자살위험성 보호요인 (The Protective Factors of Suicide Probability in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 김희숙;채영선;배영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tective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e probability in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 5 to Dec. 10, 2009.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255 students selected from 2 religious male high schools in B city.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ce (SPS-A), Inventory Parents Peer Attachment-Revision (IPPA-R), Spiritual Well-being Scale (SWBS), and Ego-identi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14.0 program. Results: The protective factors of suicide probability in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as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beta}$= -.46, p<.001), self-identity (${\beta}$= -.30, p<.001), and mother attachment (${\beta}$= -.21, p<.001). These three factors explained 61.5% of the variance in suicide prob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mprovement in spirituality, ego-identity, and mother attachment for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is important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suicide.

HIV/AIDS 감염인의 영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in Korea)

  • 김리원;김건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16-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영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IV/AIDS 감염인 2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그 다음 단순화된 종교 영성 다차원척도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 Spirituality 척도를 이용하여 영성적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영성적 요인은 일상생활 안에서의 영적 경험, 가치/믿음, 용서, 개인적인 종교생활, 종교적/영적 대처기술, 종교적 후원의 6개의 하위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성적 요인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이용가능 표본추출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삶의 질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OLS 회귀분석을 한 결과, 소득수준, 질병의 심각도, 용서, 그리고 종교적/영적 대처기술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영성적 요인도 크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IV/AIDS 감염인의 영성적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했으며, 감염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제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between Nurses' Empathy and Elderly Care Performance in the Long Term Care Hospitals

  • Park, Heeok;Kim, Eun Kyung;Moon, Kyoung Ja;Kim, Min Ji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4-42
    • /
    • 202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spiritua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elderly care performance among Long Term Care (LTC) hospitals nurses in Korea.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July 1st to August 31th, 2018. Participants were 119 nurses from three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empathy, spirituality and elderly care performa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ree-stage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Results: The level of elderly car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age (F=3.92, p=.010) and nurse's position (t=-2.18, p=.031). Spirituali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elderly care performance (Z=3.64, p<.001). Conclusion: As spirituality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elderly car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applies spirituality and empathy and supports religious activities at an institut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