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iable control

검색결과 1,898건 처리시간 0.04초

HPLC-UVD를 이용한 농산물 중 살균제 pyriofenone 분석법 확립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yriofenone residue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HPLC-UVD)

  • 박혜진;김희정;도정아;권지은;윤지영;이지영;장문익;이규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9-87
    • /
    • 2014
  • 피리오페논은 아릴페닐케톤계 농약으로,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부착 및 침투를 억제하여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살균제이다. 미국에서는 2012년에 피리오페논을 사용등록 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에 참외와 고추에 대해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식품 중 피리오페논의 안전관리를 위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피리오페논은 분자량(365.8)이 크고 증기압이 $1.9{\times}10^{-6}Pa$ ($25^{\circ}C$)로 휘발성이 낮은 편으로, 질소, 산소원자의 비공유전자쌍과 이중결합이 UVD에 높은 감도를 보여 HPLC-UVD를 분석기기로 선택하였다. 추출용매는 물질의 용해도와 추출효율을 고려하여 acetonitrile로 선정하였으며, 피리오페논이 옥탄올/물 분배계수(logPow, $25^{\circ}C$)가 3.2인 비극성 물질이므로 증류수, 포화식염수와 dichloromethane을 사용하여 극성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액-액 분배하였다. 분배 추출액을 silica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는데, hexane으로 세척한 후 hexane/acetone(90/10, v/v)로 용출하면 간섭 물질로부터 피리오페논을 효과적으로 정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시험법을 통한 대표작물에 대한 회수율은 72.8~99.5%이었고 분석오차는 10% 미만으로 코덱스 가이드라인((CAC/GL 40)에 적합하였다. LC-MS로 재확인 시험을 하여 시험법의 신뢰성과 선택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식품 중 피리오페논의 안전관리를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될 것이다.

조현병 환자가 시행한 주의력 네트워크 검사 점수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Test-Retest Reliability of Attention Network Test Scores in Schizophrenia)

  • 이재창;김지은;김민영;양지선;한명훈;권혁찬;김기웅;임상현;정은의;김지웅;임우영;이상민;김승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210-217
    • /
    • 2017
  • 연구목적 조현병 환자의 선택적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해 집중력 네트워크 검사(Attention Network Test)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조현병 환자들이 시행한 집중력 네트워크 검사 결과의 신뢰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주의력 네트워크 검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연구하여 이 검사의 심리측정적 특성(psychometric properties)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조현병 환자 14명, 일반인 2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일주일 간격으로 두 번 동일한 시간에 주의력 네트워크 검사를 수행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과 급내 상관분석(Intra-class correlation)을 시행하였다. 결 과 조현병 환자들은 집중력 네트워크 검사의 측정 항목 중 평균 반응시간, 지향 효과, 갈등처리 효과에서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확도에서는 중간부터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각성 효과와 갈등처리 오답률에서는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일반인은 평균 반응시간에서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갈등처리 오답률에서 중간부터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각성 효과, 지향 효과, 갈등처리 효과에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각성 오답률에서 중간 정도의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조현병 환자와 일반인 모두에서 중간 정도 이상의 신뢰도를 보이는 집중력 네트워크 검사 항목은 평균 반응시간, 각성 효과, 지향 효과, 갈등처리 효과, 갈등처리 오답률 항목이다. 그러므로 집중력 네트워크 검사를 사용하여 조현병 환자군 대 일반 대조군 실험을 시행할 때, 상기 항목들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신뢰도 측면에서 추천된다.

A Study on $Na^+$ and Water Reabsorption in the Nephron Segment Beyond Proximal Tubule Measured by Lithium Clearance

  • Han, O-Soo;Goo, Yong-Sook;Sung, Ho-Ky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5권2호
    • /
    • pp.189-200
    • /
    • 1991
  • During the past few years it has been proposed that lithium clearance can be used as a reliable measure for the outflow of tubular fluid from the proximal tubule. This study was aimed to characterize the inflow dependent reabsorption of Na in renal tubule beyond the proximal tubule. For this purpose, lithium clearance was used as a measure for the inflow from the proximal tubule and the changes in reabsorption fraction of Na and water were determined in rabbits. Rabbits were pretreated with hypotonic saline solutions for an hour (50 mM/L NaCl, 20 ml/hr/kg). And then a hypertonic solution of 500 mM/L NaCl (20 ml/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in conjunction with a bolus of LiCl solution (2 mM/kg, i.v.) for conditioning the $C_{Li}$ and urine flow rate. To rule out the effect of $Li^+$ on tubular functions, a bolus of NaCl solution (2 mM/kg, i.v.) was administered. Fifteen, thirty, and sixty minutes after injection of hypertonic saline arterial blood and urine samples were taken. Urinary and plasma concentrations as well as urinary output of $Li^+,\;Na^+\;and\;K^+$ were measured. From these $C_{Li},\;C_{Na}$ and the reabsorption fraction of Na and water $(Fr_{Na}\;&\;FrH_2O)$ were calculate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control groups in which the same amount of isotonic saline (145 mM/L NaCl) and of 15% dextran solution were administered in the same way as that in experimental group.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1) The plasma concentration of $Na^+$ in rabbits injected with hypertonic saline reached the peak value after 15 min and thereafter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Hematocrit values did not show any change, while urinary excretion of $Na^+$ increased markedly during the first 15 min and decreased thereafter. These results were not affected by an injection of a small amount of LiCl. 2) The clearances of $Li^+,\;Na^+\;and\;K^+$ in rabbits injected with hypertonic saline and LiCl solution decreased. 3) In spite of the variation in $C_{Li},\;Fr_{N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while $FrH_2O$ increased gradually. 4) $C_{Li}$ decreased also in rabbits received isotonic saline. $Fr_{Na}$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in hypertonic saline group, while $FrH_2O\;and\;Fr_{Na}$ did not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in $C_{Li}$. 5) $C_{Li}$ of the rabbits received dextran solution fluctuated persistently and $Fr_{Na}\;and\;FrH_2O$ did not change in along with $C_{Li}$ although $Fr_{Na}$ had a tendency to be higher than that in hypertonic saline group. 6)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In rabbits with normal body store of $Na^+$, the $Fr_{Na}$ of renal tubule beyond proximal tubule. calculated from $C_{Li}$ as a measure of inflow from proximal tubule is constant in spite of variations in $C_{Li}$. (b) The $FrH_2O$ calculated from $C_{Li}$ is dependent largely upon ADH rather than inflow from proximal tubule. (c) When there is a decrease in plasma $Na^+$ concentration or ineffective body fluid. $Li^+$ reabsorption may occur in the thick segnent of Henle's loop and hence the determination of $Fr_{Na}$ and $FrH_2O$ will not be easy one, but $Fr_{Na}$ is constant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 PDF

화장품 소재로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미백활성에 관한 효과 (A Study of the Whitening Activities of Magnolia obovata Bark Ethyl Acetate Fractions as Cosmetic Ingredient)

  • 강희철;주광식;주세진;하영애;김학수;차미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3-52
    • /
    • 2017
  • 천연물인 후박(Magnolia obovata Bark, M. obovata Bark)을 에탄올 추출 및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분획한 분획물이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화장품 원료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후박의 에탄올 농축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하여 유효물질 honokiol을 HPLC로 정량하였다.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in vitro 미백활성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외 멜라닌 분비를 감소시켜 $IC_{50}=11.05{\mu}g/mL$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에 독성을 가지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mu}g/mL$ 처리 시 최대 약 60%의 멜라닌 분비 억제로 세포 외로 분비되는 멜라닌의 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lpha}-MSH$ (50 nM)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 $IC_{50}=10.85{\mu}g/mL$로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세포에 자극이 되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mu}g/mL$ 처리 시 최대 약 59%의 멜라닌 생성 억제를 확인하여 세포 외 멜라닌 분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lpha}-arbutin$의 경우, $IC_{50}=59.99{\mu}g/mL$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양성대조군 ${\alpha}-arbu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임상연구의 경우,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주)대한피부과학연구소(KDRI) 윤리위원회의 IRB 승인(KDRI-IRB-1536) 후 반복 첩포를 통한 인체 누적첩포시험을 진행하여 무감작 물질로 확인하였다. 또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대조군 대비 국소적 미백효과와 신뢰성 있는 피부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최종적으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 충분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Serum Beta-2 Microglobulin: a Possible Marker for Disease Progression in Egyptian Patients with Chronic HCV Related Liver Diseases

  • Ouda, SM;Khairy, AM;Sorour, Ashraf E;Mikhail, Mikhail Nas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825-7829
    • /
    • 2015
  • Background: Egypt has the highest prevalence of HCV infection in the world (~14.7%). Around 10-15% of HCV-infected persons will advance to cirrhosis within the first 20 years. The incidence of HCC is expected to grow in the next two decades, largely due to HCV related cirrhosis, and detection of HCC at an early stage is critical for a favorable clinical outcome. No simple reliable non-invasive marker has been available till now. B2M, a non-glycosylated polypeptide composed of 99 amino acids, is one of the components of HLA class I molecules on the surfaces of all nucleated cell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level of serum B2M is elevated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and HCV-related HCC when compared to HCV-negative patients or healthy donors. Determining the clinical utility of serum B2M as a marker for disease progression in Egyptian patients with HCV related chronic hepatitis,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wa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analytical cross sectional study 92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4 equal groups: Group (1) non cirrhotic chronic HCV; Group (2) HCV related liver cirrhosis; Group (3) HCC on top of HCV,; and Group (4) healthy controls. History taking, clinical examination, routine labs and abdominal ultrasound were conducted for all patients, PCR and Metavir scores for group (1) patients, and triphasic CT abdomen and AFP for Group (3) patients. B2M levels were measured in serum with a fully-automated IMX system. Results: The mean serum B2M level of Group (1) was $4.25{\pm}1.48{\mu}g/ml$., Group (2) was $7.48{\pm}3.04$, Group (3) was $6.62{\pm}2.49$ and Group (4) was $1.62{\pm}0.63$. Serum B2M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seased than control group (p<0.01) being significantly higher in cirrhosis ($7.48{\pm}3.04$) and HCC groups ($6.62{\pm}2.49$) than the HCV group ($4.25{\pm}1.48$)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2M Level and ALK, total and direct bilirubin and INR (p<0.05), and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between B2M level and albumin, total proteins, HB andWBCS value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2M level and viral load or Metavir score, largest tumour size or AFP (p>0.05). The best B2M cut-off for HCV diagnosis was 2.6 with a sensitivity of 100%, a specificity of 92%, a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of 97%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100%. The best B2M cut-off for HCC diagnosis was 4.55 which yield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74%, 62%, 39.5, 87.8% respectively (p-value <0.01) while best cut-off for cirrhosis was 4.9, with sensitivity 74 % and specificity 74%.The sensitivity for HCC diagnosis increased upon B2M and AFP combined estimation to 91%, specificity to 79%, NPV to 95% and accuracy to 83%. Conclusions: Serum B2M level is elevated in HCV related chronic liver diseases and may be used as a marker for HCV disease progression towards cirrhosis and carcinoma.

고양이의 납중독에 관한 실험적 연구 2. 조직병리학적 소견 (Experimental Studies on Lead Toxicity in Domestic II. Histopathology)

  • 홍순호;한홍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85-505
    • /
    • 1994
  • 고양이에서 납중독에 따른 육안적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밝히고 납투여 용량과 조직남종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42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체중에 따라 0(대조군), 10, 100(저용량), 1000, 2000, 4000(고용량)ppm의 lead acetate를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납독성을 평가하였다. 준임상형 납중독에서 흡수된 납의 80% 이상이 뼈에 침착되었다. 반면에 심급성 납중독에서 흡수된 납의 42%가 뼈에, 36%와 20%가 신장과 간장에 각각 침착되었다. 간장은 황갈색조를 보였고 신경계에는 육안적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가장 두드러진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대뇌에 신경원괴사였다. 한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에서 성상세포 증식이 관찰되었다. 6마리에 고용량투여 고양이의 대뇌피질에서 신경교증이 관찰되었다. 2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 대뇌 피질 회백질에서 가장 깊은 층에 수초탈락이 있었고 혈관주위에 적혈구의 유출과 공동화가 한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의 대뇌에서 관찰되었다. 6마리의 고용량투여 고양이에서 소뇌의 Purkinje cell의 변성을 보였다. 말초신경의 현미경적 소견은 분명하지 않았다. 심급성 중독에서 7마리의 고양이의 신장 근위곡세뇨관 상피세포와 5마리 고양이의 간장 간세포에 납봉입체가 관찰되었다. 이들 봉입체는 H&E 염색에서 볼 수 있으며 orcein 염색에서 더 잘 관찰된다. 2 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에서 신장의 세뇨관간에 공포화와 결합조직 증식이 있었다. 22마리의 고양이 간장에 문맥주위 간세포의 공동화가 관찰되었다. 5마리의 처치 고양이 고환에 정세관의 공포화와 정조 포수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3마리의 고용량 투여 고양이에 난소낭종이 있었으며 2마리의 고양이에서 난자발생이 좋지 않았다. 고양이에서 납중독은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근거하여 의심할 수 있고 이 소견들은 진단에 도움이 된다. 또한 사후 조직내 납분석은 납중독 진단에 도움이 된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Tei 지수를 이용한 우심실기능 평가 (Assessment of Right Ventricular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sing Echocardiographic Tei Index)

  • 오윤정;신준한;김덕기;최영화;박광주;황성철;이이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3호
    • /
    • pp.343-352
    • /
    • 2001
  • 연구배경 :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능의 평가를 위해서 여러 가지 비침습적, 침습적 방법이 이용되나 그 정확도나 실용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최근 도플러 심초음파상의 수축기, 이완기 및 박출시간을 조합한 기능지수인 Tei 지수가 우심실기능을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어 저자 등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Tei 지수를 구하여 우심실 기능을 평가하고 폐기능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26예와 대조군 10예을 대상으로 간헐파 도플러를 이용하여 도플러 간격을 측정하였다. Tei 지수는 등용성 수축시간(ICT)과 등용성 이완시간(IRT)의 합을 박출시간(ET)으로 나누어 구하였고, PEP, ICT/ET, PEP/ET, IRT/ET를 측정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폐기능과 Tei 지수의 상관관계를 구하였고, Tei 지수와 다른 도플러 간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Tei 지수는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0.45{\pm}0.17$ vs. $0.27{\pm}0.03$, p<0.01), ICT/ET ($0.32{\pm}0.08$ vs. $0.25{\pm}0.05$, p<0.05), PEP/ET ($0.46{\pm}0.10$ vs. $0.38{\pm}0.06$, p<0.05), IRT/ET ($0.29{\pm}0.16$ vs. $0.15{\pm}0.15$, p&0.05) 등은 대조군보다 증가되어 있었으며 박출시간은 단축되어있었다($255.2{\pm}32.6$ vs. $314.2{\pm}16.5$, p<0.05). 환자군에서 Tei 지수는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역상관성을 보였고 (r=-0.469), 중증 폐기능 장애가 있는 3기 환자는 1기나 2기 환자에 비해 Tei 지수가 증가되어 있었다. 환자군에서 Tei 지수는 박출시간과 역상관성을 보였고 (r=-0.469), ICT/ET(r=0.453), PEP/ET(r=0.480), IRT(r=0.812), IRT/ET(r=0.896) 는 Tei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Tei 지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폐기능 지표와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우심실 기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활용한 젖소 발정탐지의 정확도 검증 (Verification of accuracy detection of the cows estrus using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 양가영;우샘이;권경석;최희철;전중환;이준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52-657
    • /
    • 2018
  • 젖소농가에서 착유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번식관리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젖소에서 번식관리는 발정의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젖소의 발정시기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자동 모니터링이 농가에는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젖소의 발정유무, 활동량변화, 반추위 운동량, 반추위 온도 및 pH 등을 측정하는 기기를 활용하여 발정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생체정보기기 S1(Smaxtec, Austria)는 반추위 내 삽입형타입으로 반추위의 온도, pH, 젖소의 활동량 및 음수횟수 추정 등을 이용하여 발정 유무의 알림을 제공하고, S2(Healthy Cow 24, SCR. Allflex. Israel)는 목걸이 타입으로 반추위 운동량, 젖소의 활동량으로 발정의 유무를 알려준다. 기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1일 2시간 간격으로 획득하였고, 각각의 기준일(Reference day: RD ; -7~-3, +7~+3)은 수정일(-2, -1, 0, +1, +2)이 5일과 수정 전 7일에서 수정 후 7일에 대한 평균값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S1 기기의 활동성은 기준일(RD : $10.2{\pm}1.0/day$)에 비해 수정일(-1 : $12.5{\pm}1.03/day$ ;0 : $12.9{\pm}1.73/day$)에서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2 기기의 활동성 또한 기준일 (RD : $40.3{\pm}2.68$)에 비해 수정일(0 : $63.0{\pm}3.66$)에서 증가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1의 일일 음수횟수는 기준일(RD : $5.9{\pm}0.89/day$)에서 수정일 전까지는 (-2 : $5.6{\pm}0.98$ ; -1 : $5.7{\pm}0.96$)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정일(0 : $6.3{\pm}0.86$ ;+2 : $6.0{\pm}0.73$)에는 기준일과 같은 횟수를 보였다. S2의 일일 반추횟수는 기준일(RD : $493.8{\pm}10.92$) 보다 수정일(-1 : $390.2{\pm}13.36$; 0 : $354.1{\pm}16.71$)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총 당류 섭취실태 평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 이행신;권성옥;연미영;김도희;이지연;남지운;박승주;연지영;이순규;이혜영;권오상;김초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68-276
    • /
    • 2014
  • 우리 국민의 총 당류 섭취량 평가를 위해,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에서 24시간 회상법을 활용한 식품섭취량 조사에 응답한 33,745명 (1세 이상)의 식품섭취량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미국 USDA의 SR 25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1,136종 식품의 당류 함량 분석자료, 그리고 가공식품의 영양성분표시 내용 등을 활용하여 총 3,006종의 식품에 대한 총 당류 함량 DB를 구축하였다. 상기한 섭취량 데이터와 연계하여 우리 국민의 당류섭취량, 총 당류 에너지섭취비율과 주요 당류 급원식품을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의 총 당류 섭취량은 1인 1일 평균 61.4 g이었으며, 전체 섭취 에너지의 12.8%를 차지하였다. 이 중 가공식품으로부터 섭취된 당류는 35.0 g으로 총 에너지의 7.1%에 해당되었다. 연령층에 따라서는 청소년층 (12~18세, 69.6 g)과 청년층 (19~29세, 68.4 g)의 총 당류 섭취량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았으며, 가공식품을 통한 총 당류 섭취비율도 이들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을 통한 총 당류 섭취량의 주요 급원식품은 설탕, 탄산음료, 커피, 빵류, 과일 채소 음료류 등 이었으며, 가공식품을 통한 총 당류 섭취량에 대한 음료류의 기여율은 평균 18.1%이었으나 19~29세에서는 24.9%에 달할 만큼 음료류가 부각되었다. 비록 우리국민의 현재 총 당류 섭취량이 한국영양학회의 권고 수준인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20%를 벗어나지는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총 당류 섭취수준을 보인 청소년과 청년층의 식생활에 대한 관리, 특히 음료류 섭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드러났으며, 우리 국민의 보다 정확한 당류섭취량 파악이 가능하도록 당의 종류별 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함께 생애주기에 따라 차별화 된 적절한 당류 저감화 정책이 마련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

  • Chil, Won-Bong;Kim, Jong-Min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2권7호
    • /
    • pp.7-11
    • /
    • 1999
  • Fully sealed field emission display in size of 4.5 inch has been fabricated us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organic vehicle com-posite. The fabricated display were fully scalable at low temperature below 415$^{\circ}C$ and CNTs were vertically aligned using paste squeeze and surface rubbing techniques. The turn-on fields of 1V/${\mu}{\textrm}{m}$ and field emis-sion current of 1.5mA at 3V/${\mu}{\textrm}{m}$ (J=90${\mu}{\textrm}{m}$/$\textrm{cm}^2$)were observed. Brightness of 1800cd/$m^2$ at 3.7V/${\mu}{\textrm}{m}$ was observed on the entire area of 4.5-inch panel from the green phosphor-ITO glass. The fluctuation of the current was found to be about 7% over a 4.5-inch cath-ode area. This reliable result enables us to produce large area full-color flat panel dis-play in the near future. Carbon nanotubes (CNT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ir unique elec-trical propertie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1, 2]. Large aspect ratio of CNTs together with high chemical stability.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are advantageous for applications to the field emitter [3]. Sever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on the field emissions from multi-walled nanotubes (MWNTs) and single-walled nanotubes (SWNTs) grown from arc discharge [4, 5]. De Heer et al. have reported the field emission from nan-otubes aligned by the suspension-filtering method. This approach is too difficult to be fully adopted in integration process. Recently, there have been efforts to make applications to field emission devices using nanotubes. Saito et al. demonstrated a car-bon nanotube-based lamp, which was oper-ated at high voltage (10KV) [8]. Aproto-type diode structure was tested by the size of 100mm $\times$ 10mm in vacuum chamber [9]. the difficulties arise from the arrangement of vertically aligned nanotubes after the growth. Recently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have been synthesized using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CVD) [6, 7]. Yet, control of a large area synthesis is still not easily accessible with such approaches. Here we report integra-tion processes of fully sealed 4.5-inch CNT-field emission displays (FEDs). Low turn-on voltage with high brightness, and stabili-ty clearly demonstr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carbon nanotubes to full color dis-plays in near future. For flat panel display in a large area, car-bon nanotubes-based field emitters were fabricated by using nanotubes-organic vehi-cles. The purified SWNTs, which were syn-thesized by dc arc discharge, were dispersed in iso propyl alcohol, and then mixed with on organic binder. The paste of well-dis-persed carbon nanotubes was squeezed onto the metal-patterned sodalime glass throuhg the metal mesh of 20${\mu}{\textrm}{m}$ in size and subse-quently heat-treated in order to remove the organic binder. The insulating spacers in thickness of 200${\mu}{\textrm}{m}$ are insert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glasses. The Y\ulcornerO\ulcornerS:Eu, ZnS:Cu, Al, and ZnS:Ag, Cl, phosphors are electrically deposited on the upper glass for red, green, and blue colors, respectively. The typical sizes of each phosphor are 2~3 micron. The assembled structure was sealed in an atmosphere of highly purified Ar gas by means of a glass frit. The display plate was evacuated down to the pressure level of 1$\times$10\ulcorner Torr. Three non-evaporable getters of Ti-Zr-V-Fe were activated during the final heat-exhausting procedure. Finally, the active area of 4.5-inch panel with fully sealed carbon nanotubes was pro-duced. Emission currents were character-ized by the DC-mode and pulse-modulating mode at the voltage up to 800 volts. The brightness of field emission was measured by the Luminance calorimeter (BM-7, Topc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