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ship involvement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학대 유발요인으로서 장애아동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Parenting Stress as a Predictor of Child Abuse Potential)

  • 박명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311-327
    • /
    • 2002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은 비장애아동과 비교할 때 학대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학대유발가능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13세 미만의 장애자녀를 둔 150명의 장애아동 부모들이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조사도구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정도와 학대행위에 대한 정당성을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장애아동 부모들은 자녀의 장애로 인해 비교적 심한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양육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에 따라 아동학대 행위에 대해서도 태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학대행위에 대한 태도와 관련하여 부모의 학력, 수입, 사회활동여부, 정부의 지원여부, 장애인복지서비스 이용여부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단계식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장애인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 부모의 사회활동여부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학대행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남으로써 장애아동 부모들을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와의 관련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여지며,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앞으로 장애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사회적 개입이 절실하다고 보여진다.

  • PDF

골성 추지 신전제한 K 강선 고정술 시행 후 정복소실 (Reduction Loss after Extension Block Kirschner Wire Fixation for Treatment of Bony Mallet Finger)

  • 김병성;노재휘;정기진;윤건희;박은석;박성용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239-247
    • /
    • 2018
  • 목적: 골성 추지의 치료로 신전 제한 K 강선 고정 또는 추가 골편간 고정 후 발생한 정복 소실과 원위지관절 신전지연을 포함한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평균 추시 기간 28개월(12-54개월)의 4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7명은 신전 제한 K 강선 고정(A군)으로, 19명은 추가 골편 간 고정(B군)으로 치료하였다. 관절면 침범 정도, 전방아탈구, 추지 골편각, 정복 소실, 관절운동 범위, Crawford 기준을 이용한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정복 소실은 8예(17%)에서 발생하였다. 신전 제한 정도, 연령, 술 전 전방아탈구 및 추지 골편각은 정복 소실여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성별, 우세 수, 관절면 침범 정도 및 추가 골편 간 고정은 정복 소실 여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전위 양상은 골편 틈 또는 계단 변형은 신전 제한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Crawford 기준상 우수 31, 양호 10, 보통 3, 그리고 불량이 2예였다. 결론: 고령, 적은 추지 골편각, 술 전 전방아탈구가 있는 경우는 정복 소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개인 대처와 조직 동질성 문화에 따른 정보보안 준수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according to Individual Coping and Organizational Homogeneity Culture)

  • 황인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5-115
    • /
    • 2021
  • 연구 목적은 탐색적 관점에서 개인 대처와 조직 동질성 문화의 차이에 따른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는 개인 대처(업무 중심, 감정 중심)과 조직 동질성 문화(동질성, 이질성)으로 집단을 구분하였으며, 교차설계를 통한 각 집단별 정보보안의 차이를 확인하고, 정보보안 준수 선행요인과 정보보안 준수의 도간의 이중매개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보보안 정책을 보유한 조직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1.0을 통해 일변량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처 차원은 감정 중심이 업무 중심보다 정보보안 관련 평균이 높았으며, 동질성 문화 차원은 동질성이 이질성보다 정보보안 관련 평균이 높았다. 또한, 정보보안 인식과 준수의도간의 영향 관계를 사회적 영향과 정보보안 관여도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시사점은 조직 문화 차원에 따른 개인의 의사결정 유형의 정보보안 준수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정보보안 준수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결과는 조직과 개인 특성별 차별화된 정보보안 준수 모델 정립의 방향을 제시한다.

ESG 기반 기업지배구조와 지식경영: 공기업에 대한 시사점 (ESG-Based Corporate Governance and Knowledge Management: Implications for Public Enterprises)

  • 최충익;이광훈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3호
    • /
    • pp.53-71
    • /
    • 2023
  • 환경, 사회, 거버넌스, 즉 ESG의 개념은 기업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거버넌스 관행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를 포괄한다. 최근 ESG를 기업 경영에 통합하는 것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논문은 ESG 기반 기업 거버넌스와 SDG 전략의 실행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를 탐구하였다. 또한 기업 거버넌스를 SDG에 맞추는 것과 관련된 이점과 도전 과제를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기업과 사회 전반을 위한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의 잠재력을 강조하였다. 이와 동시에 지식 관리(KM)는 기업이 지적 자산을 활용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조직 성공의 핵심 동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속 가능성 원칙을 지식 관리 프레임워크에 통합하는 ESG 기반 지식 관리(ESG-KM)에 대해 살펴보았다. ESG 기반 지식 관리는 기업 전략을 사회 및 환경적 가치와 연계하는 지속 가능한 경영패러다임을 의미한다. 조직은 KM 관행에 ESG 원칙을 통합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보다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글로벌 경제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이 두 가지 필수 요소 간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와 조직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ESG 기반 지식 경영(ESG-KM)과 ESG 기반 기업 지배구조(ESG-CG) 간의 시너지가 기업의 지속 가능한 의사결정, 이해관계자 참여, 장기적 가치 창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공기업이 KM을 활용하여 ESG-CG 원칙의 이행과 영향을 강화하여 지속 가능성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환경, 사회, 거버넌스(ESG) 고려 사항을 기업 거버넌스 관행과 연계함으로써 공기업은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촉진하고 이해관계자 참여를 강화하며 지속 가능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투명성, 책임성, 이해관계자 참여와 같은 주요 ESG-CG 원칙에 대한 개요를 바탕으로, ESG-KM이 이러한 원칙을 공기업의 거버넌스 구조에 통합하는 것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사랑의 형태에 따른 연인관계 몰입수준 및 관계 지속여부 예측 (Prediction of commitment and persistence in heterosexual involvements according to the styles of loving using a datamining technique)

  • 박윤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4호
    • /
    • pp.69-85
    • /
    • 2016
  • 연인과의 성공적인 관계형성은 인생의 만족감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기존에 심리학 분야에서는 성공적인 연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주로 통계적인 분석기법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비선형의 관계를 분석하고, 특징을 추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통계적인 분석 기법과 더불어,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랑의 형태에 따른 연인관계의 몰입(commitment) 수준과 관계지속 여부를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변인들 이외에 사랑의 여섯 가지 형태인 에로스(eros), 루두스(ludus), 스트로게(storge), 매니아(mania), 프래그마(pragma) 그리고 아가페(agape)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이들이 연인관계에서 서로에 대한 몰입수준 및 연인관계 지속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예측하는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는 실제 남녀커플 105쌍, 총 210명에 대한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연인관계 몰입수준 및 관계 지속여부의 영향요인으로, 기존에 심리학 분야에서 제시된 변수들 이외에, 에로스, 아가페, 프래그마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남성은 아가페적 사랑의 형태가 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성은 에로스적 사랑의 형태가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인관계 지속여부에는 남성의 나르시시즘, 만족, 투자 및 매니아적 성향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의 경우, 여성이 남성을 매니아적으로 사랑하는 정도만이 영향을 주고 있어, 남성이 관계의 지속 또는 결별에 더욱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데이터마이닝의 적용분야를 심리학 영역으로 확장한 융합연구로, 연인관계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조화로운 연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병원 직원의 노동조합성격에 따른 노조몰입 결정요인 (Determinants Influencing Labor Union Commitment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by the Characteristics of Unions)

  • 김욱수;하호욱;손태용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6-8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eded to enhance quality of organizational life by identifying the improvements of labor union man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general hospital organization manage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686 employees in 12 General Hospitals in Metro Capital including Seoul.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administra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in target hospitals from March 20 to May 10, 2005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older employees than the younger ones, large family to support than small family to support and those who had higher positions in labor union. 2.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job and role related variables were higher those who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 to their job and manager, role conflict in all hospitals. 3.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union related variables, variables jointly controlled by union and employer was s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other words,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subjects' labor union involvement was higher in those who had higher satisfaction in labor union and perceived their colleagues' attitudes more positively in all hospitals. Regarding the atmosphe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and employer and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the better the atmosphe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and employer was, the higher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was in all hospitals. 4.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formal and informal socialization, union participation to the union management cooperation program,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 labor union's were all found as important antecedents of labor union commitment. 5. Job and role-related variables, union-related variables, variables jointly controlled by union and employer, and labor union commitment level were all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unions concerned. To summarize study results,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depends on job satisfaction, manager's attitudes, satisfaction to their jobs, union satisfaction, their colleagues attitudes toward union and the atmosphere of employer-employee relationship. Therefore hospital managers should have democratic and flexible attitudes toward labor union. Additionally, as formal and informal socialization, union participation to the union-management cooperation program is important determinant in union commitment, hospital managers should have countermeasures to enhance the colleague attitude and job satisfaction level of hospital employees. Since this study deals with psychological nature of workers not a few drawbacks and shortcomings may be detected in the finding. Nevertheless, the finding of this study, to become a momentum that will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 detect all the cues of labor union commitment and to provide valuable reference in forming logical union commitment and labor union-management cooperation.

  • PDF

중소기업과 대학 간의 산학 공동기술개발 성과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s of the Joint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Performance between SMEs and Universities)

  • 김성준;용세중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1호
    • /
    • pp.145-17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과 대학 간의 공동기술개발 과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산학 간 공동연구에 대한 기존 문헌을 분석한 결과 과제성과에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은 동반자특성, 관리특성, 관계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성과변수로는 협력 결과에 대한 만족도, 협력 관계 지속성, 기술과 제품 활용을 선택하였는데 이는 분석대상 과제가 중소기업과 대학 간의 공동과제이며 소규모이고 단기임을 고려한 것이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2009년 중소기업청에서 주관한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에서 지원된 1,082개 과제를 모집단으로 하고 우편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기업체 200개, 대학 305개였다. 이중에서 동일 과제에 대하여 기업과 대학이 함께 응답한 것은 55개였다. 자료 분석은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중소기업과 대학의 설문응답을 각각 개별적으로 검증하였고, 또한 동일 과제에 대하여 함께 응답한 결과를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는 인력전문성, 시설과 장비, 커뮤니케이션, 전략적 중요도, 신뢰가 주요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학 측의 성과에는 협력경험, 목표설정 명확성, 전략적 중요도, 신뢰, 커미트먼트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동일 과제에 대한 중소기업과 대학의 설문 결과를 결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연구시설장비, 과제관리 충실성, 커미트먼트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직원의 부서간 갈등수준 비교분석 (Comparison of level of interdepartmental conflict among employees' in the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 손태용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0-6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of the controls organization in the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by evaluating the factors underlying organizational conflict. The subject population included 351 hospital workers randomly selected from two general hospitals of less than 200 beds and two university hospitals over 500 beds in Seoul a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o define related factors for the level of conflict among departments in each hospital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dependent factors wer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onflicting factors between the depar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ose in high job position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nflict between departments. Those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s, who were older and had long-term tenure at current working hospital had higher level of conflict between the departments. 2. Concerning the involvement of conflicting factors and the level of conflict in the employe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nd job-related and intra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university hospital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departmental conflicting factors of mutual dependence, difference in goal/orientation and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3. In the university hospitals, among the interdepartmental factors, mutual dependence and difference in goal/orien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the general hospitals, job posi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which showed that those in high position such as section chief or above, compared to those in general position had higher level of conflict. Among the interdepartment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mutual dependence and goal/orien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the general hospitals setting efforts to reduce conflict in areas among workers with high position, old age, and long tenure and those in medical care department should be made and prudent management and planning for improved manpower and increased budget or efficient allocation and clear definition of job description are necessary to adequately assess. In the university hospitals setting efforts to reexaminitation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efficiency conveyance of information and efforts to resolve conflict among young workers with lower level of education is need. This study has its own merit in comparing empirically the conflict among hospital workers in the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Future study are neede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for improved resolution of conflict in the organization and hospital management.

  • PDF

119구급대원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박대성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6
    • /
    • 2004
  • This study selecte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24 fire police boxes in Jeonnam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 10 to May 9, 2004, questionnaires were mailed and returned by mail. Total 10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8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80 except 9 omitting answers and showing inappropriate answ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he total mean of areas composing job stress in the degree of job str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as over the average as 2.54 (SD .44) of 4 full marks. According to the degree of job stress by each area, the highest area of job stress was crisis situation (2.98), followed by role conflict as professional job (2.58), social factors (2.57), involvement in organization (2.55). To the contrary, the areas of the lowest job stress we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2.35), psychological burden of medical limitation (2.38), conflicts in personal relationship and services (2.45) and improper treatment (2.53). B. The degree of fatigu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y areas was over mean as 2.09(SD .49) of 4 full scores and physical fatigue was highest (2.18), followed by mental fatigue (2.11) and neurosensory fatigue (1.99). C.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as 2.71 of 5 full scores and working condition area (3.70) showe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requirement of organization (2.85) and the lowest job satisfaction area was job itself (2.18), followed by desire for job (2.49). 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re was no variable of statistical difference a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ignificance level .05, but fatigue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at final education (F=2.393, p=.046). E. According to difference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tres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t motif of current services (F=4.935, p=.003), fatigue showed those at health conditions (F=2.732, p=.008), job satisfaction at overtime (F=3.038, p.034) and the greatest reason of having job (F=3.217, p=.017), F.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 job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r=.411, p=.000) with fatigue and negative correlation (r=-.267, p=.008) with job satisfaction. Fatigu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287, p=.005) with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re will b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subjects." was supported.

  • PDF

신설 대학병원 행정직원과 기존 대학병원 행정직원의 갈등수준 비교 분석 (Comparison of Conflict Level among Administrative Department Staff between Newly Established and Existing University Hospitals)

  • 김종래;유승흠;손태용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2-8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ause and level of conflict arising within and between departments among administration office workers who work in a recently established tertiary hospitals of a major cooperation or related non-profit cooperation: The study also aimed to find methods for resolution of such conflicts by comparing with other existing university hospitals. The subject population included 299 business administration office workers randomly selected from two cooperate related tertiary hospitals of less than 3 years in its existence and two university hospitals over 700 beds in Seoul and Kyong In a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o define related factors for the level of conflict among departments in each hospital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dependent factors wer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onflicting factors within and between the depar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ose in the 30-39 rears of age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nflict between departments. Those working in the new hospitals, who were older and had long-term tenure, and those with short-term job experience at current working hospital had higher level of conflict between the departmen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2. Concerning the involvement of conflicting factors and the level of conflict in the administr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nd job-related intra- and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existing hospital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radepartmental conflicting factors of mutual dependence, difference in goal/orientation and intra- and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3.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omen more than men, and those who had worked for many years in hospital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factors involved in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explaining 51.0% of the model. 4. In existing hospitals, gender was a significant factor with women showing a higher level of interdepartmental conflict compared to men. Among the interdepartmental factors, mutual depend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the new hospitals, job posi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which showed that those in high position such as section chief or above, compared to those in managerial or general position had higher level of conflict. Among the interdepartment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mutual dependence and goal/orien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the new hospital setting efforts to reduce conflict in areas among workers with high position, old age, and long tenure and those in Purchasing, Material and Computer Department should be made and prudent management and planning for improved manpower and increased budget or efficient allocation and clear definition of job description are necessary to adequately assess and make improved efforts for rapid stabilization of the premature hospital system from its inception, In the existing hospitals a lack of conflict within and between departments may give rise to stagnation or in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Future study are neede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for improved resolution of conflict in the organization and hospital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