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s among features of par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직령의 부위별 형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Features of Parts of Jikryug and Relations Am]O the Features)

  • 이주영;권영숙
    • 복식
    • /
    • 제54권5호
    • /
    • pp.109-12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eatures of parts of Jikryung and relations among the feature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The short front and long rear of Jikryung was changed into the long front and long rear of the dress in the late 16th century. Kalgit of quasi-square style as double collar was changed into that of common collar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n into common semi-circle collar in the early 17th century, when double Sup was also changed Into single Sup. Narrow sleeves of Jikryung were replaced by bean chaff-shaped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n by wide ones in the early period of the next century. The shape of the side hem of Jikryung was changed from rectangle into trapezoid in the early 17th century Triangle-shaped Moo was changed into trapezoid-shaped one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n again into triangle in the late 17th century 2. Changes in shapes of the parts of Jikryung were made with them correlated. The collar of Jikryung saw change in its form from double to common as its width was reduced. Double Sup was changed into single one and the narrow, short coat string into the long one as Jikryung became a dress needing less adjustment. The sleeves widened as the length of whajang increased. The side hem of Jikryung saw change in its shape from rectangular to trapezoidal one as its position was changed. Trapezoidal Moo was replaced by triangular one as the sleeve of Jikryung was changed in shape. 3. Changes in shapes of the parts of Jikryung influenced the aesthetic beauty of the dress itself In its first period, Jikryung was simple with long, slim silhouettes. In its second period, the dress was rich with increased volume. Finally in its third period, the dress was characterized by the harmony of simpleness and richness.

SVM을 이용한 동적 동작인식: 체감형 동화에 적용 (Dynamic Gesture Recognition using SVM and its Application to an Interactive Storybook)

  • 이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4-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의 데이터 인식에 유리한 SVM을 이용한 동적 동작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선, Kinect 비디오 프레임에서 동작의 시작과 끝을 찾아 의미있는 동작 프레임을 분할하고, 프레임 수를 동일하게 정규화시킨다. 정규화된 프레임에서 인체 모델에 기반한 인체 부위의 위치와 부위 사이의 관계를 이용한 동작 특징을 추출하여 동작인식을 수행한다. 동작인식기인 C-SVM는 각 동작에 대해 positive 데이터와 negative 데이터로 구성된 학습 데이터로 학습된다. 최종 동작 선정은 각 C-SVM의 결과값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동작으로 한다. 제안하는 동작인식 알고리즘은 플래시 구연동화에서 더 나아가 유아가 능동적으로 구연동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체감형 동화 콘텐츠에 동작 인터페이스로 적용되었다.

3차원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20~50대 연령별 남성 작업복 점퍼 패턴 설계 및 외관평가 (Men's Work Clothes Jumper Pattern-making and Its Appearance Evaluation through 3-D Clothing Simulation)

  • 박진아;이우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1호
    • /
    • pp.103-120
    • /
    • 2012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ppearance of the men's work clothes jumpers developed to suggest the prototype work clothes jumper patterns by using the 3-D clothing simulation technology. The 3-D simulated clothing images considered the upper body features of men in the age range between 20 and 59 in South Korea.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previously suggested a basic jumper style with shirt collar and snap opening cuffs for the heavy industry workers; and discomforting parts of the work clothes jumper of the subject workers have been referred to for the experimental jumper appearance test. Besides, defining the measurements of men's upper bodies enabled to generate the men's 3-D virtual models representing each age group's average body feature. The significant body measurement factors for men's 3-D body modeling and jumper pattern-making were stature for the height factor; chest,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for the circumference factor; waist back, hip and arm lengths and interscye front/back for the length factor; and back neck breadth for the breadth factor and armscye and scye depths for the depth factor. The men's body measurements of 30's were implemented to three experimental jumper pattern-making methods, i.e. the 1st method using the relations based on stature and chest circumference; the 2nd method using the direct body measurements; and the 3rd method adopting the maximum ease amount of given body measurements whether relations or direct measurements except the direct measurement of scye depth. A comparison among the three experimental jumpers' simulated images highlighted that the appropriate ease amount of the jumper gained higher scores in terms of the jumpers' front, side, back and sleeve parts and the total silhouettes. Therefore the 3rd experimental jumper was finally selected for the heavy industry workers.

관계형성역량과 창업의도와의 관계분석 (The Relations Between Relationship Building Competenc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강신수;서정운;김명종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3-123
    • /
    • 2020
  • 창업 도전기, 성장기, 도약기, 성숙기에 관계없이 성공한 창업가의 공통된 특징으로는 도전성, 혁신성, 자율성, 위험감수성 등과 같은 기업가정신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역량도 뛰어나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인지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창업에 있어서 기업가정신의 중요성 정도는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또한 대부분 대학의 창업 교육과정에 있어서도 기업가정신 교육은 여타 학문의 개론과 같이 창업의 개론처럼 기업가정신 교과목이 운영 되고 있다. 그러나 대인관계역량과 관련된 요소를 찾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의 여러 역량 중에 자기개방성, 친화성, 의사소통, 공감 및 배려와 같은 관계형성 부분을 고려하여 관계형성역량을 재 정의하고 관계형성역량 정도에 따라 창업의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 창업가와 창업의도가 전혀 없는 그룹간의 관계형성역량 정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났으며 관계형성역량이 창업가에게 중요한 역량임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도전성, 혁신성, 자율성, 위험감수성 등으로 대표되는 기업가정신 외에도 창업과 관계형성역량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어져야하며 창업과 관계형성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창업 교육에도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우상 이언진의 비점본 「해람편」 연구 (Study on the Bijombon Haerampeon Written by Eonjin Lee)

  • 강순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3-109
    • /
    • 2007
  • 이 글은 새로 발굴된 우상 이언진의 비점본 "해람편(海覽篇)"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내용의 전개는 우상(虞裳) 이언진의 생애(生涯), 우상(虞裳) 이언진의 유고(遺稿)와 문집(文集), "해람편(海覽篇)", 비점본(批點本) "해람편(海覽篇)"의 비점자(批點者) 이용휴(李用休)와 남옥(南玉), 비점본(批點本) "해람편(海覽篇)"과 "송목관집(松穆館集)" "송목관신여고(松穆館燼餘稿)"의 "해람편(海覽篇)" 비교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이언진은 영조 16년(1740)~영조 42년(1766) 사이의 인물로 역관사가(譯官四家)로 알려진 시인이자 역관이다. 우상의 유고는 유일한 필첩인 "우상잉복(虞裳剩馥)"뿐이며 "우상잉복(虞裳剩馥)"에는 이용휴(李用休)와 남옥(南玉)이 비점을 찍은 "해람편(海覽篇)"과 일본 사행시의 일기 6편, 시 3편, 편지 5편이 실려 있다. 그중 비점본 "해람편(海覽篇)"은 영조40년(1764) 5월28일부터 6월8일 사이에 일기도(壹岐島) 선상에서 기술된 오언시(五言詩)이다. 이 시에는 이언진이 영조 39년(1763) 10월 6일부터 영조 40년(1764) 6월 20일까지 통신사 조엄을 수행하고 한학역관으로 일본에 파견되어 그곳에 머무르는 동안 보고 느낀 것이 생생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용휴와 남옥은 "해람편(海覽篇)"에 각각 청비(靑批) 청관주(淸貫珠) 및 주비(朱批) 주관주(朱貫珠)를 찍어서 해람편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해람편(海覽篇)"은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계는 일본의 지리적인 위치와 그 풍물에 대한 것을, 제2단계는 대판(大阪)의 발전된 도시의 모습과 문명개화를 통해 운집한 세계의 물산(物産)들을, 제3단계는 일본인의 편향적인 민족성과 종교 및 서민들의 모습을, 제4단계는 일본과의 선린을 묘사하였다. 마지막장에는 비점본 "해람편(海覽篇)"과 "송목관집(松穆館集)" 및 "송목관신여고(松穆館燼餘稿)"에 실린 "해람편(海覽篇)"의 텍스트를 대교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비점본 "해람편(海覽篇)"의 본문이 가장 정확하고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이언진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계, 국어학계, 역사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