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pse-free survival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5초

소아 청소년 골육종 재발 후 치료성적 : 한국의 단일기관 성적 (Outcome after relapse in childhood and adolescent osteosarcoma :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in Korea)

  • 이윤정;이현재;김동호;임중섭;이준아;박경덕;전대근;이수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78-83
    • /
    • 2008
  • 목 적 : 골육종은 소아 청소년기에 뼈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종양으로 종양 제거술 및 집중적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에도 약 30-40%에서 재발하는 매우 침습적인 질환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재발한 골육종의 예후 및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저자들은 치료 후 재발한 골육종 환아의 치료성적 및 재발 후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 2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골육종으로 치료한 461명의 환아 중 재발한 18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재발 후 생존율과 재발 후 예후인자로 재발병소의 위치, 재발 후 치료 방법, 원발병소의 수술전 화학요법에 대한 병리학적 반응도, 첫 진단 시 전이여부 및 재발기간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재발율은 39%였고 재발한 골육종 환아의 5년 및 10년 재발 후 생존율은 각각 13%와 4%였다. 평균 재발기간은 15개월이었다. 재발 후 5년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재발 부위(폐, 39%; 원발병소, 0%; 폐와 뼈의 재발, 25%; 기타 부위의 재발, 12%), 병소 부위 절제 여부(절제한 경우 38%; 절제하지 않은 경우 11%), 재발기간(1년 이내에 재발한 경우 13%, 1년 이후에 재발한 경우 44%)이었다. 결 론 : 재발된 골육종 환자의 생존율은 높지 않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재발된 병변을 적극적으로 치료할 때 생존율이 향상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재발기간이 길고 폐에 재발된 경우에는 수술 및 항암 화학요법과 그 외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하겠다.

Disease Free Survival among Molecular Subtypes of Early Stage Breast Cancer between 2001 and 2010 in Iran

  • Najafi, Behrouz;Anvari, Saeid;Roshan, Zahra Atrk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5811-5816
    • /
    • 2013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among women. Molecular subtype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prognosis. This study evaluated five-year disease-free survival among four molecular subtypes in patients with early stages of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descriptive-analytical study, information 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etween 2001-2010 was evaluated. Five hundred ninety two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breast cancer (stages 1 and 2) were selected to undergo anthracycline-based chemotherapy. Relapse, death or absence (censor) were considered as the end of the study. Patients based on ER, PR and HER-2 expression were divided into four subtypes (luminal A, luminal B, HER-2 enriched and triple negative). Information based upon questionnaire was analysed. To show the patients survival rate, life table and Kaplan-Meyer methods were used, and for comparing mean survival among different groups, the Log-Rank test was utilized. Results: Mean age at diagnosis was $47.9{\pm}9.6$. Out of the 592 patients, 586 were female (99%) and 6 were male (1%). Considering breast cancer molecular subtypes, 361 patients were in the luminal A group (61%), 49 patients in the luminal B group (8.3%), 48 patients in the HER-2 enriched group (8.1%) and 134 in the triple negative group (22.6%). Mean disease-free survival was 53.7 months overall, 55.4 months for the luminal A group, 48.3 months for the luminal B group, 43 months for the HER-2enriched group and 54.6 months for the triple negatives. Disease free survival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molecular subtypes (p value=0.0001). Conclusions: The best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among the luminal A subgroup and the worst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among the HER-2 enriched subgroup. Disease free survival rate in the HER-2 positive groups (luminal B and HER-2 enriched) was worse than the HER-2 negative groups (luminal A and triple negative).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수술 후 예후 (Prognosis of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after Surgery)

  • 강민종;박계영;유철규;정희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31-338
    • /
    • 1996
  • 배경 : 비소세포 폐암은 미국에서 암 사망율 원인 중의 1위를 차지하고, 또한 한국에서도 위암, 간암에 이어 3위를 차지할 만큼 흔하고 중요한 질병이다. 이러한 비소세포 폐암의 완치를 위한 많은 치료적 접근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아직도 근치적 절제술만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수술 전의 정확한 병기 판정 및 이에 다른 근치적 절제술은 환자의 장기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소세포 폐암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병기 판정을 비교하여 그 일치율을 평가하고 수술 후의 재발율 및 재발 부위등을 알아 보았고 병기에 따른 장기 예후를 생존 곡선을 그려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대학교 병원에서 완치를 목적으로 개흉술을 시행받았던 217명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열람, 분석하는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특히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던 17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발율 및 재발부위, 장기 생존곡선을 분석하였다. 결과 : 217명의 대상환자들 중 남자가 157명, 여자가 30명으로 그 성비는 5:1 이었고 나이의 분포는 23세에서 74세까지 다양했으며, 그 중앙값은 58세로 남, 여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수술 선후의 병기가 차이가 나는 경우가 약 40%에 달했으며 특히 T 병기 보다 N 병기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병기 및 조직형에 따른 재발율이나 재발 부위의 차이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병기에 따른 생존곡선을 그렸을때, 그 relapse-free survival rate는 병기 I, II, IIIa에서 각각 73%, 53%, 48%로 나타났다. 결론 : 수술 후의 조직학적 병기 (pathologic staging) 가 비소세포 폐암의 예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정한 병기 결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수술 전의 임상적 병기가 이를 정확히 예측해 주지는 못하므로 술전 병기가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는 작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술 전후의 병기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진단적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내과적 문제로 수술이 불가능한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in Medically Inoperable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보경;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57-264
    • /
    • 2000
  • 목적 :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수술이 최선의 치료법으로 생각 되고있다. 환자가 내과적인 질환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혹은 수술을 거부한 경우 방사선치료가 수술의 대체적 치료로 사용 가능하다. 근치적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에서의 치료성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7년 6월부터 1997년 6월 사이에 치료를 시행 받은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이 불가능했던 이유로는 폐질환이 21명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환자의 중간 연령은 68세였으며, 조직학적으로는 편평상피암이 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임상 병기는 T1, T2, T3가 각각 5명, 25명, 2명이었으며, 진단시의 종양의 크기는 3$\~$5 cm가 13명으로 가장 많았다. 방사선치료는 6 MV또는 10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종양부위에 54.0$\~$68.8 Gy (중앙값; 61.2 Gy)를 조사하였고 12명의 환자에서는 동시분할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93개월 (중앙값; 23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은 치료개시일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결과 : 전체생존률은 코년, 5년이 각각 44.6$\%$, 24.5$\%$이었으며, 무병생존률은 38.9$\%$, 28.3$\%$, 중앙생존기간은 23개월이었다. 전체환자 32명중 최종 추적관찰 시 25명이 사망하였으며, 이중 7명이 페암이외의 질환으로 사망하였다. 단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는 전체생존률과 무병생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정되었고 (p=0.0015, p=0.0022), T 병기는 전체생존률에 의미있는 요인으로 판정되었다(p=0.0395). 다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는 무병생존률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요인으로 판정되었으며(p=0.0317), 전체생존률에 영향을 주는 경향을 보였다 (p=0.0649). 종격동의 방사선조사 여부는 생존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근치적방사선치료는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로 내과적인 질환으로 수술 불가능한 경우나 환자가 수술을 거부한 경우, 특히 T1 또는 3 cm 이하의 종양에서는 수술적치료를 대치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5 cm를 넘는 경우에는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장기생존자가 거의 없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 과분할조사나 기관지내 추가조사, 방사선감작제의 사용, 입체조형방사선치료, 강도변조방사선치료 등의 이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척수종양의 방사선 치료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Primary Spinal Cord Tumors)

  • 전하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2호
    • /
    • pp.197-203
    • /
    • 1989
  • 1969년부터 1983년까지 버지니아 의대부속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34예의 원발성 척수암중, 조직검사 또는 아절제술을 시행한 후 수술후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받은 32예 (Astrocytoma 16, ependymoma 16)에 대한 치료실적을 보고하고자 한다. 29예에서는 $45\~55Gy$를 5내지 6주간에 조사 받았으며 나머지 3예에서는 40Gy이하의 선량을 조사받았다. 50Gy 이상 조사된 6예는 모두 척수가 조사야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최저 추적 기간은 5년이었다. 방사선 치료 실패 후 재수술로 치료된 3예를 포함하여, 모든 예에서 생존율은 5년과 10년에서 각각 $73\%\;와\;50\%$이었다. 각각의 투병생존율은 $60\%\;와\;32\%$이었다. 45Gy 이상의 선량을 받은 29예에서는 5년 무병생존이 $63\%$이었다. 13예에서 치료실패를 경험했으며 치료실패는 조사야에서만 관찰되었다. Ependymoma가 astrocytom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무병생존율이 높았다 $(45\%\;:\; 89\%(p<0.05))$, 원발부위에 있어 경추가 포함된 예에서 그렇지 않은 예보다 생존율이 저하되었다. 원발부위의 cauda equina포함여부는 예후에 영향이 없었다. 최고 20년간 추적결과 방사선 치료에 의한 신경성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원발성 척수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가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Radiotherapy a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follicular lymphoma: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Choi, Seo Hee;Cho, Jaeho;Kim, Jin Seok;Cheong, June-Won;Suh, Chang-O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10-319
    • /
    • 2015
  • Purpose: Follicular lymphoma (FL) is an indolent non-Hodgkin's lymphoma that is highly sensitive to radiotherapy (RT).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RT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We reviewed our experiences to assess the role of RT for FL and analyze treatment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on 29 patients who received first RT between January 2003 and August 2013. Of 23 early stage (stage I, II) patients, 16 received RT alone, four received chemotherapy followed by RT, two received RT postoperatively, and one received salvage RT for relapse after resection. Six advanced-stage (stage III, IV) patients received RT after chemotherapy: two received consolidation RT, three received salvage RT for residual lesions, and one received RT for progressive sites. Median RT dose was 30.6 Gy (range, 21.6 to 48.6 Gy).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62 months (range, 6 to 141 months). Results: All patients showed complete response in the radiation field. Eight outfield relapses were reported. Seven patients received salvage treatment (three chemotherapy, four RT). Four patients showed excellent responses, especially to RT. Estimated 5-year and 10-year relapse-free survivals were 72% and 60%. In the RT-alone group, 5-year relapse-free survival was 74.5%. All advanced-stage patients were disease-free with 100% 5-year overall survival. Disease-specific death was noted in only one patient; four others died of other unrelated causes. No significant toxicity was reported. Conclusion: RT resulted in excellent treatment outcomes for all FL stages when used as a primary treatment modality for early stage or salvage-treatment modality for advanced-stage disease.

Patients with HER2-positive Early Breast Cancer Receiving Adjuvant Trastuzumab: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Efficacy, and Factors Affecting Survival

  • Ulas, Arife;Kos, Tugba;Avci, Nilufer;Cubukcu, Erdem;Olmez, Omer Fatih;Bulut, Nilufer;Degirmenci, Mustaf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4호
    • /
    • pp.1643-1649
    • /
    • 2015
  • Backgroun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ur early stage breast cancer patients who ar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 overexpressed/amplified (HER2+), the efficacy of trastuzumab treatment and surviv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HER2-positive early stage breast cancer receiving adjuvant trastuzumab wer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210 patients and treatment outcome were analysed. To evaluate survival rates,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Cox regression model. Results: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1.8, 71.9% being postmenopausal. Some 37.6% of patients were node negative, and 31% had T1 tumor size and 52.4% were positive for estrogen receptor. Of 210 patients, 89.5% completed planned 52 weeks adjuvant trastuzumab treatment. The median follow up was 27.5 months (6.0-86.0). Relapse free survival (RFS) was 68.0 months (95% CI: 62.1-74.0) and overall survival (OS) was 74.8 months (95% CI: 69.5-80.1). The 3 year OS for all patients was 92.0% and RFS was 79.6%. During follow up, relapse was detected at the rate of 14.3%. Trastuzumab associated cardiotoxicity was found at the rate of 3.3%. In univariate analyses, larger tumor size and grade III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p<0.05) with RFS. Multivariate analyses of covariates displaying p<0.05 identified grade III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Conclusion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established that trastuzumab had a satisfactory safety profile and treatment efficacy as in other clinical studies and that among clinicopathological factors evaluated, only being grade 3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FS. The occurrence of relapse with adjuvant trastuzumab makes it necessary to identify molecular predictors, which will define this group better and help explain resistance to anti HER2 based therapies.

Prognostic Valu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9 Ex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 Song, Jian;Su, Hong;Zhou, Yang-Yang;Guo, Liang-L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1615-1621
    • /
    • 2013
  • Background: 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 is related to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However, the role of MMP-9 expression in breast cancer survival remain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omplish a mo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MMP-9 expression and survival results in breast cancer patients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A meta-analysis of published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ositive MMP-9 expression on both relapse free survival (RFS) and overall survival (OS) was performed. Relevant literature was confirmed by searching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PubMed, Ovid, EMBASE and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before November 1, 2012. Individual hazard ratios (H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extracted and pooled HRs with 95% CIs were used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association between positive MMP-9 expression and survival results of breast cancer patients. Funnel plot and Egger's regression tests were used to evaluate publication bias. Heterogeneity and sensitivity analysis was also conducted. All the work was completed using STATA. Results: A total of 2,344 patients from 15 evaluative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Pooled HRs and 95% CIs suggested that MMP-9 overexpression had an unfavorable impact on both OS (HR: 1.70, 95% CI: 1.41-2.04) and RFS (HR: 1.54, 95% CI: 1.17-2.01)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heterogeneity observed in the studies reported for OS (P=0.360, $I^2$=8.8%), but not RFS (P=0.002, $I^2$=67%). Publication bias was absent among the studies both in OS and RFS cases (t=-0.54, P=0.605 and t=1.71, P=0.131, respectively). Omission of any single study had little effect on the combined risk estimates on sensitivity analysi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suggest that positive MMP-9 expression confers a higher risk of relapse and a worse survival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Larger prospective studies are now needed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of MMP-9 expression.

예방적 두강내 방사선 조사후 소세포 폐암 환자의 뇌전이 빈도와 생존율에 대한 연구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in limited small-cell lung cancer : incidence of brain metastasis and survival and clinical aspects)

  • 서재철;김명훈;박희선;강동원;이규승;고동석;김근화;정성수;조문준;김주옥;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23-331
    • /
    • 2000
  • 목적 :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생존율이 향상됨에 따라서 뇌전이의 임상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PCI 는 뇌전이 빈도를 감소시키며 특히 완전관해된 제한병기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는 생존기간의 연장까지 가져온다는 보고도 있다. 저자들은 완전관해가 된 제한병기 소세포 폐암환자에서 PCI를 시행한 후 뇌전이의 빈도, 생존율 및 임상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3월부터 1999년 9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조직학적으로 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되고 병기분류상 제한병기로 분류된 후 항암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후 완전관해가 된 환자중 PCI를 시행 받은 42명올 대상으로 후향적분석을 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초치료로 VPP/CAV교대요법을 6회이상 시행 하였고, 흉부 방사선치료는 동시치료군이 38.1%, 연속치료군이 61.9%였다. 결과 : 대상환자의 88.1%가 남자였고, 중앙연령은 58세였다. 중앙 관찰기간은 18.1개월이었다. 경과 관찰 중에 57.1%에서 전이 또는 재발하였는데, 뇌전이는 14.3%에서 발생하였고, 폐 원발병소에서 재발된 경우가 35.7%로 가장 많았다. 평균 무병생존기간은 1,090일(중앙값 305일), PCI후 뇌전이가 발생하기까지는 평균 2,548일, 뇌전이를 제외한 전이 및 재발되기까지는 평균 1,395일(중앙값 460일)이었다.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21.1개월, 2년생존율은 41.7% 이었다. 전이 및 재발이 발생한 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642일(중앙값 489일), 발생하지 않은 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2,622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뇌전이 유무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사망원인은 원발 병소의 재발 및 전신질환에 의한 사망이 많았고(85.7%), 뇌전이자체에 의한 사망은 14.3%이었다. 결론 : 완전관해가 된 제한병기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PCI는 뇌전이를 감소시키고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전이 및 재발이 있는 군에서 생존기간이 짧았으나 뇌전이 유무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고 주된 사망원인이 뇌전이보다는 원발병소의 재발과 전이 및 전산질환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생존율을 높이기위해서는 원발병소의 재발과 전이 및 전신질환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발병소의 재발 및 전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개발 및 전신진환의 적절한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long-term prognostic impact of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 patients with primary cutaneous melanoma: a prospective study with 10-year follow-up

  • Portinari, Mattia;Baldini, Gabriele;Guidoboni, Massimo;Borghi, Alessandro;Panareo, Stefano;Bonazza, Simona;Dionigi, Gianlorenzo;Carcoforo, Paolo
    •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 /
    • 제95권5호
    • /
    • pp.286-296
    • /
    • 2018
  • Purpose: Sentinel lymph node (SLN) biopsy (SLNB) is widely accepted for staging of melanoma patients. It has been shown that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such as Breslow thickness, ulceration, age, and sex are better predictors of relapse and survival than SLN status alon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long-term (10-year) prognostic impact of SLNB and to determine 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LN metastasis, relapse, and melanoma specific mortality (MSM).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n 289 consecutive patients with primary cutaneous melanoma who underwent SLNB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and followed until January 2014, at an Italian academic hospital. Results: SLN was positive in 64 patients (22.1%). The median follow-up was 116 months (79-147 months). Tenyear disease-free survival and melanoma specific survival were poor in patients with positive SLN (58.7% and 66.4%, respectively). Only the increasing Breslow thickness resulted independently associated to an increased risk of SLN metastasis. Cox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 Breslow thickness >2 mm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relapse, and male sex and Breslow thickness >2 mm was a predictor of MSM. At 10 years, SLN metastasis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to either relapse or MSM. Conclusion: After the fifth year of follow-up, SLN metastasis is not an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 of relapse or mortality which are main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tumor and of the patient. Patients with a Breslow thickness >2 mm regardless of the SLN status should be considered at high risk for 10-year relapse and mort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