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nosis of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after Surgery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수술 후 예후

  • Kang, Min-J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Gy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Hee-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강민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박계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정희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및 결핵 연구소)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Background : Lung cancer continues to be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incidenc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Korea, too. The overall cure rate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is approximately 10%, and the cure is generally achieved by surgery. Unfortunately, however, less than 15% of all patients and less than 25% of those who present with localized disease are candidates for curative surgical resection. So preoperative staging evaluation followed by curative resection has a major role in determining the long tenn prognosis of NSCLC patients. Therefore, we have conducted this study to compar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ging and the long-tenn relapse-free survival rates in NSCLC patients according to its stage. Methods : We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217 NSCLC patients who were operated on for curative resec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trospectively. Among them, 170 patients who were completely resected were selected to determine the long term relapse-free survival rates. Results : Among 217 NSCLC patients, men were 157 and women were 30. The median age was 58 and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as not found. The discrepancy rat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ging was 40.1%. Its major cause was due to the difference of nodal staging. The 3-year relapse-free survival rates were 73%, 53% and 48% in stage I, II and IIIa,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f relapse-free duration in recurred patients according to the stage or histologic types. Conclusion :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ing determines the long tenn prognosis of patients with NSCLC after surgery, but current preoperative clinical staging can not predict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ing correctly. So the improved modality of staging system is required to predict the pathologic staging more correctly.

배경 : 비소세포 폐암은 미국에서 암 사망율 원인 중의 1위를 차지하고, 또한 한국에서도 위암, 간암에 이어 3위를 차지할 만큼 흔하고 중요한 질병이다. 이러한 비소세포 폐암의 완치를 위한 많은 치료적 접근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아직도 근치적 절제술만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수술 전의 정확한 병기 판정 및 이에 다른 근치적 절제술은 환자의 장기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소세포 폐암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병기 판정을 비교하여 그 일치율을 평가하고 수술 후의 재발율 및 재발 부위등을 알아 보았고 병기에 따른 장기 예후를 생존 곡선을 그려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대학교 병원에서 완치를 목적으로 개흉술을 시행받았던 217명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열람, 분석하는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특히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던 17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발율 및 재발부위, 장기 생존곡선을 분석하였다. 결과 : 217명의 대상환자들 중 남자가 157명, 여자가 30명으로 그 성비는 5:1 이었고 나이의 분포는 23세에서 74세까지 다양했으며, 그 중앙값은 58세로 남, 여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수술 선후의 병기가 차이가 나는 경우가 약 40%에 달했으며 특히 T 병기 보다 N 병기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병기 및 조직형에 따른 재발율이나 재발 부위의 차이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병기에 따른 생존곡선을 그렸을때, 그 relapse-free survival rate는 병기 I, II, IIIa에서 각각 73%, 53%, 48%로 나타났다. 결론 : 수술 후의 조직학적 병기 (pathologic staging) 가 비소세포 폐암의 예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정한 병기 결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수술 전의 임상적 병기가 이를 정확히 예측해 주지는 못하므로 술전 병기가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는 작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술 전후의 병기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진단적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