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gionalization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Overview of the Genetic Variations of the SARS-CoV-2 Genomes Isolated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 Yap, Polly Soo Xi;Tan, Tse Siang;Chan, Yoke Fun;Tee, Kok Keng;Kamarulzaman, Adeeba;Teh, Cindy Shuan J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v.30 no.7
    • /
    • pp.962-966
    • /
    • 2020
  • Monitoring the mutation dynamics of human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critical in understanding its infectivity, virulence and pathogenicity for development of a vaccine. In an "age of mobility," the pandemic highlights the importance and vulnerability of regionalization and labor market interdependence in Southeast Asia. We intend to characterize the genetic variability of viral populations within the region to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for regional surveillance in the future. By analyzing 142 complete genomes from South East Asian (SEA) countries, we identified three central variants distinguished by nucleotide and amino acid changes.

Study for Regionalization to Install Urban Floo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내배수 재해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지역구분 방안)

  • Park, Min-Kyu;Yoo, Chul-Sang;Lee, Ch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33-14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조사 수준의 재해저감시설 계획을 위한 지역구분을 시행할 때 지형자료 등 최소한의 자료만으로 객관성이 높고, 수문학적으로 의미있는 지역구분이 설정될 수 있도록 기준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근거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내배수 침수재해와 관련하여 기존의 치수계획이 빗물펌프장 등 일부 구조물에만 한정되어 해당 홍수방어시설에 과도한 부담을 주고 있으므로 유역내 저류지, 빗물 탱크, 침투시설 등의 다양한 내배수 홍수분담시설의 설치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피해가 커지고 있고 피해원인 및 양상이 다양해지는 도시유역의 내배수 재해에 대한 대책으로 피해지역의 확인 및 관련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지역구분의 방안에 대한 연구가 최근들어 강조되고 있다. 내배수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체유역을 지형특성 및 재해저감 시설의 입지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수, 유수, 저지지역의 구분 방안을 검토하였다. 저지지역 설정을 위한 기준으로 평균침수심을 활용하였고, 아울러 유수지역과 보수지역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습윤지수를 활용한 지표의 포화여부와 한계경사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지역구분 결과는 내배수 재해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Application study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for regionalization of Miho catchment, Chungbuk (미호천 상류유역의 지역화 연구를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의 평가)

  • Lee, Hyo-Sang;Choi, Ho-Hoon;Joo,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85-285
    • /
    • 2011
  • 우리나라의 하천 상류지역의 유역들은 신뢰할 수 있는 수문자료의 미비로 인하여, 관행적으로 모형의 변수를 산정하여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류지역의 빈번한 홍수 피해 및 수자원관리의 문제발생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상류지역의 중소유역의 신뢰할 수 있는 홍수량산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영국의 국가 홍수량 산정 표준방법(Flood Estimation Handbook)과같이 강우유출모형의 지역화를 통하여 해결 할 수 있다. 지역화를 위한 강우유출모형의 선정을 위하여 9개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을 충청북도 미호천 상류 7개의 소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는 유효우량 산정을 위한 3개의 개념적 토양저류함수 모형(Soil Moisture Accounting: Modified Penman Type Model(MP), Catchment Wetness Index Model(CWI),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PDM))과 3개의 유역유출을 위한 3개의 개념적 유출모형(Routing: 2-Conceptual Reservoir Model(2PAR), 3-Conceptual Reservoir Model(3PAR), Marcropore Model(2PMP))의 조합으로 총 9개의 모형을 검토하였다. 이를 검정기간(2004.01.01-2007.12.31) 과 검증기간(2008.01.01-2009.12.31)의 장단기 유출성능을 Nash Sutcliffe Efficiency 로 평가한 결과, 시간 단위의 단기모의에서는 CWI-2PMP와 PDM-2PMP모형이, 일 단위의 장기모의에서는 CWI-3PAR와 PDM-2PMP가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향후 금강 상류유역의 기본 강우유출모형으로 PDM-2PMP모형을 선정한다.

  • PDF

A Plan for Regional Informatization in Rural Community through Utilization of Public Libraries (지역공공도서관을 활용한 농촌지역의 지역정보화에 대한 전략적 구상)

  • Bae, Soon-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3
    • /
    • pp.45-6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the activation of public libraries in community through make use of public libraries as a plan for accomplishing regional informatization which based on region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To acquire the twin goal of regional informatization and activation of public libraries, I propose a strategic plan which makes use of regional public libraries as an infrastructure of educating informatization and community-network concept. Especially those plans would cover recent background issues of super-national interest in rural welfare & development venture.

Estimation of Design Rainfall by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Higher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and GIS Techniques(l ) - On the method of L-moments- (고차확률가중모멘트법에 의한 지역화빈도분석과 GIS기법에 의한 설계강우량 추정(II) - L-모멘트법을 중심으로 -)

  • 이순혁;박종화;류경식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3 no.5
    • /
    • pp.70-8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regional design rainfall by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regionalization of the precipitation suggested by the first report of this project. Using the L-moment ratios and Kolmogorov-Smirnov test, the underlying regional probability distribution was identified to be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among applied distributions. Regional and at-site parameters of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y the linear combination of the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L-moment. The regional and at-site analysis for the design rainfall were tested by Monte Carlo simulation. Relative root-mean-square error(RRMSE), relative bias(RBIAS) and relative reduction(RR) in RRMSE were computed and compared with those resulting from at-site Monte Carlo simulation. All show that the regional analysis procedure can substantially reduce the RRMSE, RBIAS and RR in RRMSE in the prediction of design rainfall. Consequently, optimal design rainfalls following the legions and consecutive durations were derived by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 PDF

Protein variation and involvement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Kim, Kang-Woong;Nam, Taek Jeong;Choi, Youn H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1 no.2
    • /
    • pp.4.1-4.5
    • /
    • 2018
  •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along with IGF-binding protein and IGF receptor, are well-known regulators in the growth and survival of vertebra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volvement of IGFs and protein variation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Morphological stages were divided into six main developments as blastula, gastrula, cephalization, cranial regionalization, tail lift, and hatch.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protein variation was investigated using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electrospray ionization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In addition, the mechanism of signaling of IGF-I receptor was examined using immuno-blot analysis. We found marked changes in protein expression at four stages of embryonic development and identified proteins as belonging to the vitellogenin 2 family. As development progresses, expression of IGF-II, phosphotyrosine, and phospho-Akt increased, while expression of growth factor receptor-bound protein 2 (GRB2) and one of guanine-nucleotide-binding proteins (Ras) decreased. Thes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IGF system i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olive flounder.

Idiosyncratic Features of the Contemporary Regional Economic Architecture in Asia

  • Dilip, Dilip K.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v.16 no.2
    • /
    • pp.117-13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contemporary policy-led regionalism in Asia. It identifies the positive and neg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free trade agreements that have proliferated in Asia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a marked transformation in Asia's regional architecture in a short span of a decade-and-a-half. The mode and conduct of multilateral trade has been significantly transformed during recent years and Asia could not possibly remain immune to this transformation. The importance of regionalism in multilateral trade has increased steadily. In addition, the trade-investment-services nexus has developed and grown increasingly important. As business firms now manufacture parts of their products across the border, bilateral trade agreements (BTAs), regional trade agreements (RTAs) and free trade agreements (FTAs) of the contemporary period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new kind of trade barriers that have been created due to the changing mode of trade. The contemporary regional agreements need to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new modes of conducting business and trade. It was understood rather late in Asia that the 'WTO-Plus' FTAs are more functional and result-oriented than their predecessors.

  • PDF

Parameters Regionalization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or Application of Ungauged Small Streams (미계측 소하천 적용을 위한 분포형 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

  • Choi, Seung-Yong;Cheong,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4-974
    • /
    • 2012
  • 하천의 유량 측정은 대부분 홍수 예보지역, 댐 상류지역, 대하천 및 유역 내 주요 지점을 위주로 수행되고 있다. 유량 측정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대해서 유출모의를 수행할 경우에는 과거의 측정 자료를 이용해서 모형의 검보정이 가능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해당 지점에 대한 유출모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시유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소유역에서는 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측정 자료가 없는 미계측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 및 모의결과의 검증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분포형 수문모형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소유역 분할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유역내 임의의 여러 지점에 대한 유출을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포형 모형의 특징은 관측된 지점에 대해서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해서 이 지점의 유량 발생에 기여한 상류 미계측 지점의 유량을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의 임의 지점에 대해서 모형을 보정한 후 유출모의를 수행하고,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해서 상류의 소하천 지점에 대한 유량을 모의함으로써 매개변수의 지역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유량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소 하천의 소유역에 대한 유량 추정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모의 결과 산지유역 또는 소하천유역과 같은 미계측 유역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gionalization using cluster probability model and copula based drought frequency analysis (클러스터 확률 모형에 의한 지역화와 코풀라에 의한 가뭄빈도분석)

  • Azam, Muhammad;Choi, Hyun Su;Kim, Hyeong San;Hwang, Ju Ha;Mae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46
    • /
    • 2017
  • 지역가뭄빈도분석의 분위산정에 대한 신뢰성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한 지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장기간의 과거 자료와 분석절차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극심한 가뭄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신뢰 할 수 있는 지역빈도분석을 위한 지속기간이 충분치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의 복잡한 지형적 및 기후적 특징은 동질한 지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통계적인 처리방법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지역빈도분석은 여러 지역의 다양한 변수인 수문기상 특성을 분석하여 동질한 지역을 확인하고, 주요 가뭄변수(지속 시간 및 심각도)를 통합 적용하여 각각의 동질한 지역 분위를 추정함으로써 동질한 지역을 구분하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우시안 혼합 모형(Gaussian Mixture Model)을 기반으로 기반 군집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동질한 지역을 구분하고 그 결과를 우도비검정 및 다른 유효성 검사 지수를 이용해서 확인하였다. 가우시안 혼합 모델에서 산정했던 매개변수를 방향저감 공간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가우시안 혼합 모델방향 저감(GMMDR)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변수는 가뭄빈도분석을 위해 다양한 분포와 코풀라(copula) 적합도를 이용하여 추정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를 4개의 동질한 지역으로 나누게 되었다. 가우시안과 Frank copula를 이용한 Pearson type III(PE3) 분포는 우리나라의 가뭄 기간과 심각도의 공동 분포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lood Inflow Estimation of Hwang-gang Dam in North Korean Border Area using Remote Sensing Information and Parameter Regionalization (원격탐사정보와 매개변수 지역화를 통한 북한접경지 황강댐 유입량 추정)

  • Kim, Jin Gyeom;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1-551
    • /
    • 2016
  • 북한과의 대표적 공유하천인 임진강 유역은 유역의 2/3를 차지하고 있는 북한지역내에서 신뢰할만한 강우 및 수문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임진강 중류에는 북한에서 운영하는 황강댐의 예고없는 수문운영에 따라 수시로 하류 홍수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며, 이에 대비하여 우리나라에는 군남 홍수조절지를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임진강 상류에 대한 수문정보를 취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까운 수위관측소의 수위변화와 저류함수 모형 등을 이용하여 댐 운영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에서의 수문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레이다강우 등 원격탐사정보와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황강댐 유입량을 산정할 수 있는 수문모형을 구축하였다. 황강댐유역의 수문모형 실매개변수를 보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근 한탄강댐유역의 매개변수를 지역화를 통하여 전이하여 활용하였다. 산정된 수문곡선은 동시간대 한탄강댐 유입량의 면적비적용, 강수의 공간전이후 산정된 한탄강댐 유입량의 면적비적용등의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모의된 수문곡선과의 비교를 수행하여 본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군남홍수조절지 유입수문곡선과의 비교를 통하여 황강댐과 4월 5일댐의 수문운영현황 및 잔유역유입량을 역추정코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