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contamination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6초

토양중 Thiolane 농도 결정방법 (Determination of Thiolane Concentration from Soils by Purging Apparatus)

  • Chang Gyun Kim;William Paul Clarke;David Lockington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0
    • /
    • 1999
  • The unknown amount of thiolane retained on different soil matrix was characterized by employing an uniquely designed glass vessel, which was forced to purge the prepared slurry sample so that thiolane may diffuse into Tenax/charcoal tube. Thiolane can be recovered ranging from approximately 89 % at 1 ppm regardless of soil types, which was not consequently affected by potential biodegradation during sample preparation. For 5 ppm. thiolane is more recoverable up to 92 % for sand, whereas it was poorly recovered as low as 85 % for clay. It strongly suggests that controls should be considered when soil types varied in a concerned area. The technique was eventually capable of determination of thiolane for the samples taken from the site which l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proper site remediation.

  • PDF

송전용 애자의 인공오손시험 기법과 누설전류 특성 (Artificial contaminated test method and leakage current characteristics of EHV insulators)

  • 최인혁;정윤환;최장현;이동일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6-391
    • /
    • 2004
  • To find out the reason of accident by being stained of insulators, this paper research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electrical characteristic test and field test of EHV insulator through artificial contaminated method. The best way to evaluate contaminated level of insulator surface is getting a contamination data by regional groups continually. But it is needed a lot of time and manpower. To overcome those difficulties, this research introduced ESDD(equivalent salt deposit density) measurement method which is adapted to the international codes of IEC and compared the relation between experimental test results which contaminated insulators by going through stain procedure and electrical measurement results.

  • PDF

과실쥬스 및 음료에서 파튤린 오염실태 조사 (Monitoring of Patulin levels in Fruit Juices and Beverages)

  • 엄준호;변정아;박유경;서은채;이은미;김미라;선남규;김창수;정우영;정래석;나미애;이진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6-62
    • /
    • 2009
  •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과실쥬스 및 음료의 파튤린 오염 실태에 대한 현황파악을 통해 과실쥬스 및 음료에 대한 기준 규격 제 개정 등 추가적인 관리 필요성 여부를 재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570건의 과실쥬스, 과실음료 및 과일쥬스농축액에 대하여 파튤린 오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 기준 규격이 정해져 있는 사과쥬스의 기준인 $50{\mu}g/kg$을 초과하는 제품은 없었다. 따라서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과실쥬스 및 음료의 경우 일단 파튤린 오염으로부터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사과를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 외에 오렌지를 사용한 제품에서도 사과제품에서와 유사한 수준으로 파튤린이 검출된 결과는 이미 기초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사과 이외의 과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과실쥬스나 음료에서도 파튤린이 검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주었다. 다른 한편 과실쥬스 및 음료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원재료에 해당하는 과실쥬스농축액에 대해서도 파튤린 오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검사에 사용한 농축액은 사과를 포함하여 배, 감귤, 오렌지, 포도, 딸기 등 6종의 과일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이었으나 파튤린은 배농축액에서만 검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서 과실쥬스 및 음료에 대한 분석 결과와 함께 현재 사과쥬스 및 사과쥬스농축액에 대해서만 규정되어 있는 파튤린 검출허용기준을 다른 과일제품에 대해서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해 보면 검체 570건 중 8건에서 파튤린이 검출되어 파튤린 검출율은 1.4%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 정부의 효과적인 규제 관리, 2) 업체의 향상된 품질 관리 능력, 3)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LC/MS/MS 분석을 병행 실시한 것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비가열 냉동떡의 제조공정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Non-Heated Frozen Rice Cakes)

  • 윤용식;양은인;김영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00-41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가열 떡 제조업체 3곳을 대상으로 원재료, 제조설비 및 계절별 제조공정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였고, 여름철 불림 시간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 및 불림 수 온도 조절을 통한 미생물 저감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업체의 원재료 일반세균수는 2.69-5.08 log CFU/g 범위로 검출되었으나 제조공정 중 불림공정에서 미생물 오염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계절에 따른 제조공정별 미생물 오염도 분석결과, 여름철 불림공정에서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이 7.01 및 3.96 log CFU/g로 다른 계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후 공정에서도 높은 오염도를 유지하여 냉동공정에서 일반세균이 6.24 log CFU/g로 법적인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여름철 불림 초기 수온은 19.1℃에서 불림 12시간 후 26.8℃까지 상승하였고, 불림시간에(3, 6, 9, 12 h) 따른 제조공정별 미생물 오염도 분석결과, 불림시간이 길어질수록 미생물 오염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불림 9시간 이후부터 냉동공정의 일반세균 수치가 냉동식품의 법적인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여름철 불림 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얼음팩을 이용하여 불림 수온을 조절한 결과, 불림 12시간까지 20.1℃로 유지되어 조절 전보다 약 7℃가량 낮게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제조공정별 미생물 오염도 분석결과, 3업체의 불림 12시간 이후 냉동공정 일반세균 평균값이 4.42 log CFU/g로 조절 전보다 1.77 log CFU/g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안전한 비가열 냉동떡 생산을 위해서는 업체에 맞는 불림시간 및 불림 수 온도조절 등의 선행요건 관리기준 설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선행요건 관리기준의 적용으로 비가열 냉동떡 제조 HACCP system의 안전성이 확립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도 지하수의 증분변화에 대한 고제 (A survey on the fluctuation of dissolved solids into the groundwater in Chejudo)

  • 금성홍;신승종;오상실;송가기;오순미
    • 환경위생공학
    • /
    • 제8권1호
    • /
    • pp.67-80
    • /
    • 1993
  •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take the status of seawater intrusion into groundwater wells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Chejudo, to get the elementary data which may evaluate the level of would-be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to perform effective the effort that will supply the clear water for the residents. The sampling sites were northeastern districts of Haengwon, Handong, and Sangdo, southeastern districts of Susan, Nansan, and Samdal, and northwestern districts, as reference, of Aewol, Keumnung, Panpo, Kosan, Shindo, and Bosung. We collected the samples from the public tap water by month, and analysed electrical conductivity, sodium(Na), potassium(K), magnesium(Mg), calcium(Ca), bicarbonate($HC0_{3^-}$), and items of the criteria as drinking water. In the northeastern districts we also added the sampling sites to survey the fluctuations of dissolved solids according to distance from seashore, including two private boreholes and one public tap water of Dukchun. The result is as follows 1) In the northeastern district,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ion showed large fluctations from 40mg/l to 100mg/l, but suitable for the criteria of drinking water. It was thought that the drought influenced. 2) In the Sangdo of the northeastern districts, similar tendancy to Hangwon and Handong was showed only in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ion, but different tendancy was showed in chloride-bicarbonate ratio, calcium-magnesium ratio, and sodium adsorption ratio(SAR). Considering these facts, it was not thought that seawater intruded. 3) The components of Na and Cl showed rapid slope in the northeastern districts above 3km from seashore. 4) In the northwestern districts as reference,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ion fluctuated slightly according to the sampling sites and dates, and the concentration of nitrate-nitrogen in some sites exceeded the criteria of drinking water. These were thought that the surface contaminants rather than the intrusion of seawater influenced mainly the groundwater, considering the correlation(r=0.732) of chloride ion and nitrate-nitrogen. 5) Then we must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es of soil profile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and moniter also the movement of main components within the sol1 profile, not only the research of the intrusion of seawater.

  • PDF

제주도와 OAHU도의 지질구조 및 수자원의 특성 (Geological structure and groundwater resources of Cheju and Oahu Island)

  • 최순학
    • 지질공학
    • /
    • 제2권1호
    • /
    • pp.70-91
    • /
    • 1992
  • 제주도와 오아후섬의 지질은 제3기말에서 제4기초 사이에 걸친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동일형의 화산도라는 점에서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이 두 섬의 지하수 산상은 두가지의 기본적인 요소인 화산암의 투수성과 강수량의 지배를 받는다. 그러나 오아후도에서의 지하수 산상은 광역 화산암의 복합 암맥군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제주도와 오아후도의 지하수 부존형태는 두가지로 분류되는데 고지대의 주수와 해안변에 발달된 기저 지하수가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은 생활용수로 적합하나 동부 해안지역의 몇개의 지하수 관정은 과잉양수로 인하여 해수가 침입되었으며 1970년 부터 내륙쪽으로 점점 해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해수의 오염현상은 오아후섬의 진주만에서도 비슷하다. 제주도의 신선한 지하수체에 현재 발생되고 있는 이러한 해수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안지역을 따라 분포하는 지하수 부존 가능성과 그들을 최대한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하수의 유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영주저반의 부석심성암체 내에서 공간적 조성변화와 그 성인 (Spatial Compositional Variations and their Origins in the Buseok Pluton, Yeongju Batholith)

  • 황상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2호
    • /
    • pp.147-163
    • /
    • 2000
  • The Buseok pluton in the Yeongju Batholith is a comagmatic plutonic rocks which haveconcentrically compositional zoning. The lithofacies of the Buseok pluton comprise hornblende biotite tonalit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luton, porphyritic and equigranular biotite granodiorite in the northern part and biotite granite in the north-central part. The compositional variations change gradually with continuity both within and between the lithofacies. The concentrically zoned pattern is relatively mafic rocks composed of high-temperature mineral assemblages in margin of the southern part, passing inward and northward gradually to more felsic rock in core of the north-central part. Changes in the textures and microstructures, as well as in the mineral content, take place between rock types of the plutons. Darker colored, generally coarse-grained, well foliated tonalite pass inward to light colored, coarse-grained, poorly foliated granodiorite, and finally give way to lighter colored, medium-grained, nearly nonfoliated granite. The foliation are best developed in the marginal part of the tonalite. Here, the regional myolitic foliation in the tonalite is steep northward and parallels to its southeastern contact with the country rock, but the magmatic foliation from disc-shaped mafic microgranitoid enclaves is subvertical and parallels the contacts with the country rock. As the tonalite approaches biotite granite in composition, the foliation is indistinct. Modal and chemical data for the pluton show quantitative compositional variation from the margin of the southern part to the core of the north-central part. Quartz and K-feldspar increase toward the core of the pluton, whereas hornblende, biotite and color index decrease. /Abundances of $SiO_2$and $K_2O$$_2$O increase toward the core according to the variation in quartz and K-feldspar, whereas those of MnO, CaO, $TiO_2$, $Fe_2O_3$, MgO and $P_2O_5$ decrease corresponding to the variation in mafic and accessaries. The compositional zonation resulted from fractional crystallization involving downward settling of earlier crystals, accompanied by upward movement of melt and volatiles, and followed by accessary marginal accretion of crystalline material in the magma to the marginal part. Although a little crustal contamination by the wall rock is recognized from the isotope data, the contamination is not only dominated over but also appropriate for forming the compositional variation in the pluton.

  • PDF

군부대와 주유소 주변에서 채취한 토양에서의 미생물 군집구조와 우점종의 파악 (Finding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Dominant Species in Soils Near Army Bases and Gas Stations)

  • 김재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3
    • /
    • 2010
  • 각종 오염지역의 오염토양의 시료를 채취해 DGGE를 이용한 미생물군집구조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어떤 요인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미생물군집의 유사도 비교에서 TPH 오염 말고는 대부분의 오염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오염 특성보다는 토양시료가 채취된 지역에 따라 더 유사함을 보여주었고 TPH 오염도가 가장 높았던 시료에서만 지역적 특성을 넘어 유사도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이 오염요인이 너무 크지 않은 경우에는 미생물군집구조가 지역특성 즉 여러 다른 환경요인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가 있었다. 모든 오염토양의 우점종(배양성 세균) 조사에서 firmicutes와 high GC Gram+에 속하는 세균들이 주로 발견되었고 유류오염이 심한 토양에서 이미 보고된 Arthrobacter, Bacillus, Methylobacterium, Clavibacter, Streptomyces, Nocardia와 아직 보고되지 않은 Leifsonia가 발견되었다.

Hydrogeochemical and geostatistical study of shallow alluvial groundwater in the Youngdeok area

  • Kim, Nam-Jin;Yun, Seong-Taek;Kwon, Man-Jae;Kim, Hyoung-Soo;Kim, Chang-Hoon;Koh, Yong-Kwo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2-236
    • /
    • 2000
  • Multi-regress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applied for the water quality data of shallow alluvial ground water (n = 47) collected from the Youngdeok area, in order to quantitatively generalize the natural (non-anthropogenic) causes of regional water quality variation. Seven samples having the high contamination index ( $C_{a}$ > 3) reflect the striong effects by anthropogenic activity. Most of the alluvial groundwaters have acquired their quality primarily due to the dissolution of carbonate minerals. The results of multi-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chlorine is mainly derived from seawater effect. Sulfur isotopic compositions of dissolved sulfur and the S $O_4$/Cl ratio also enable us to discriminate the samples (n = 18) which are affected by atmospheric input of marine aerosol (sea-spray) and also by mixing between freshwater and seawater. Hydrogen and oxygen isotope data of the samples collected lie close to the local meteoric water line obtained from nearby Pohang city but has lower slope (5.45) on the $\delta$D-$^{18}$ O plot, indicating that alluvial groundwater was recharged from infiltrated meteoric water which has undergone some degree of kinetic evaporation. The estimated initial isotopic composition of the recharged water ($\delta$D = -74.8$^{0}$ /$_{00}$, $\delta$$^{18}$ O = -10.8$^{[-1000]}$ /$_{[-1000]}$ ) suggests that the alluvial ground water recharge largely occurs during summer storm events.s.s.

  • PDF

지구통계 기법을 활용한 울진 지역 천부 지하수의 수질 및 수리지구화학 특성 해석 (Geo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Water Quality and Hydrogeochemistry of shallow Groundwater in the Uljin Area, Korea)

  • 김남진;윤성택;김형수;정경문;김규범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2호
    • /
    • pp.175-192
    • /
    • 2001
  • 동해안 울진 지역 천부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자료에 대하여 지구통계 분석(이원배치 분산 분석, 군집 분석, 요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수질 자료와 오염 특성의 시간적.공간적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 대수층에서 일어나는 주요 반응을 고찰하였다. 이원배치 분산 분석 결과, 광역적 수질 특성은 8개 수계분지를 따라 유의한 공간적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Ca, HCO$_3$,SO$_4$등 일부 이온종은 수계분지별로 의미 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시료 채취시기에 따른 계절 변화는 SO$_4$를 제외하고는 인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군집 분석 결과, 수리지구화학 특성의 변화는 해안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아주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지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연구 지역 천부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특성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지배됨을 확인하였다. 중요 순서로 그 요인을 나열하면, 1) 물-암석 반응(주로 탄산염 광물의 용해), 2) 바다에서 기원한 해염의 혼입, 3) 비료와 각종 농화학 약품에 의한 오염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