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rigerated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27초

GC/MS-SIM을 이용한 우리나라 수중 생물시료 중 알킬페놀, 클로로페놀과 비스페놀 A의 분석을 위한 냉동필터법의 응용 (Application of Freezing Filtration Method to the Analysis of Alkylphenols, Chlorophenols and Bisphenol a in Korean Aquatic Biological Samples Using GC/MS-SIM)

  • 김협;장철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9-698
    • /
    • 2007
  • 우리나라 수중 생물시료에 있는 알킬페놀류, 클로로페놀류 및 비스페놀 A의 정량분석을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수중 생물시료에 있는 알킬페놀류, 클로로페놀류 및 비스페놀 A를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한 다음 아세토니트릴 층을 2 시간동안 $-60^{\circ}C$에 냉동하였다(냉동필터). 또한, XAD-4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 후, isobutoxycarbonyl(isoBOC) 또는 tert-butyldimethylsilyl(TBDMS) 유도체화 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선택이온 모니터링 방법을 사용하였다. isoBOC 유도체화와 TBDMS 유도체화의 회수율은 $70.1\sim150.6%$$93.8\sim108.3%$이였으며, 선태이온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비스페놀 A의 분석방법 검출한계는(MDLs) 각각 $0.062{\mu}g/kg$$0.010{\mu}g/kg$이었다 이 방법을 우리나라 수중 생물시료에 적용하였을 때, 11가지 페놀성 내분비계장애물질의 농도는 $0.675\sim1.970{\mu}g/kg$이었다.

조절 T세포에 미치는 치자(梔子)의 효과 (Research on the Effect of Gardeniae Fructus on Regulatory T Cell Stimulation)

  • 서산;정희재;정승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9-200
    • /
    • 2010
  • Objectives : Regulatory T cells can reduce inflammation and allergic reactions through their inhibitory functions. Gardeniae Fructus(GF) is a Heat-clearing herb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a wide range of studies on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are being carried out.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 that Gardeniae Fructus has on regulatory T cells. Methods : The authors screened 14 herbs for their effects on regulatory T cells. 100mg of each herb were separately dissolved in 1ml of sterile saline and the supernatant was harvested after 10 minutes of centrifuge at 15,000 rpm.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through a 0.2 ${\mu}m$ syringe filter, and the resulting stock was refrigerated at $4^{\circ}C$. The stock was diluted before testing and used at a final concentration of $0.01{\mu}g/ml$. CD4+CD25+ T cells from healthy BALB/c spleens were used as natural regulatory T cells (nTreg), and CD4+CD25- T cells were used as reactive T cells. CD4+CD25+ and CD4+CD25- T cells were activated with anti-CD3e ($10{\mu}g/m{\ell}$)/anti-CD28 ($1{\mu}g/m{\ell}$) and cultured. IL-10 from supernatant of the culture medium was measured by IL-10 cytokine ELISA. The percentages, cell numbers, phenotype and function of CD4+CD25+ Treg cells were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Results : Gardeniae Fructus was shown to be the most potent herb among the 14 herbs tested for suppressing CD4+CD25- reactive T cell proliferation by stimulating CD4+CD25+ natural regulatory T cells. Gardeniae Fructus induces IL-10 secretion increase by stimulating CD4+CD25+ natural regulatory T cells, and indirectly suppresses CD4+CD25- reactive T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creasing CD25 (IL-2 receptor $\alpha$) expression and thus promoting bonding with IL-2. Gardeniae Fructus did not directly affect CD4+CD25- reactive T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s : Gardeniae Fructus suppressed reactive T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ing increases in IL-10 secretion and CD25 (IL-2 receptor $\alpha$) expression.

미래 집단급식 식중독 발생 양상 예측 (Outbreak Pattern Forecasting of Food-borne Disease in Group Food Services in Korea)

  • 조서희;김초일;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09
  • 본 연구는 집단급식 안전성 확보 및 식중독 방지를 위해 단체급식 안전성에 관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내 집단급식 식중독 원인을 조사하고, 미래 집단급식 식중독 발생을 예측하였다. 델파이 설문 결과 국내 집단급식 식중독 원인은 '식재료 위생관리 미흡', '손세척', '구역구분', '유통업체 보관' 등이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집단급식 식중독 발생 예측 조사 결과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EPEC), non-typhoid Salmonella serotyp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ETEC), Norovirus, hepatitis A virus가 지속적으로 식중독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집단급식에서 식중독 유발 가능성이 높은 식재료로는 영유아(1-6세), 초등학생(7-12세), 중 고등학생(13-19세)의 식재료 섭취량과 식중독 유발 가능성을 고려해 볼 때 '과일류', '우유', '생선류', '돼지고기', '계란', '쇠고기'였으며, 식단 메뉴로는 '비빔밥', '콩나물무침', '시금치나물', '오이생채', '잡채', '돼지불고기'가 위해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집단급식소에서 사용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된 가공식품은 '냉동, 냉장보관식품' 이었으며, 살균방법은 '가열처리', '화학적 살균소독제'로 나타났다. 저장법은 '냉장($10^{\circ}C$ 이하)', '냉동($-20^{\circ}C$ 이하)'법이, 배식형태는 '집단급식소에서 직접 배식' 형태가 집단급식소에서 향후 사용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설문조사 결과는 집단급식 전 과정의 체계적인 위생관리시스템의 도입과 식중독예방 식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탄산가스 포장에 의한 신선돈육의 저장성향상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_{2}$ Gas Packaging on the Shelf-life of Refrigerated Pork Cuts)

  • 김용수;김윤지;유익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6-249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돈육의 저장기간연장을 위한 방법으로 $CO_{2}$를 이용하여 저장성을 연장시키고 포장내부에 충전되는 탄산가사의 적절한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에 이용된 포장재는 가스투과도가 현저하게 낮은 필름(EVOH필름 ; Nylon/EVOH/PE, 두께 ; $80\mu$, 탄산가스투과도 ; 1 $cc/cm^{2}{\cdot}24\;hrs{\cdot}atm$)을 이용하였으며 시료와 탄산가스의 부피를 각각 1 : 1, 1 : 3, 1 : 5의 비율로 주입하였다. 포장된 시료는 $4{\pm}1^{\circ}C$의 냉장고에 보관하며 총균수, TBA가, 색도,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여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총균수의 경우 진공포장에서는 저장 24일만에 $4.6{\times}10^{6}\;CFU/cm^{2}$까지 증가하였으나 가스포장육에서는 $4.5{\times}10^{5}\;CFU/cm^{2}$에 도달하였으며 진공포장처리구와 동일한 수준까지 도달하는데 7일이 더 소요되었다. TBA가는 가스포장에 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L값 및 a값 에서도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황색도는 가스포장처리구가 진공포장처리구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냄새 및 신선도에서 진공포장처리구 보다 가스포장처리구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CO_{2}$ 가스포장처리는 진공포장 처리보다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그리고 관능적으로 양호하게 평가되었고 가스충전비율에 의한 차이는 발생되지 않았다.

  • PDF

저장온도에 따른 돼지 막창의 품질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Rectum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 오남궁;정재현;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9-344
    • /
    • 2013
  • 신선한 암퇘지 막창부위의 지방을 제거하고, 분쇄기로 잘게 파쇄하여 가열하지 않은 것과 $100^{\circ}C$의 autoclave에서 10분간 가열한 것으로 나누어 polyethylene film으로 1차 포장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2차 포장한 다음, 각각 $1^{\circ}C$, $5^{\circ}C$$10^{\circ}C$에서 보관하면서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저장 온도를 달리한 파쇄막창의 pH는 6.5~7.0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생막창에 비해 가열막창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저장 중 TBA가는 가열막창이 생막창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10^{\circ}C$ 저장에서는 4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5^{\circ}C$ 저장에서는 생막창의 경우 8일 이후, 가열막창은 6일 이후에 급격한 상승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VBN값을 기준으로 볼 때 생막창의 경우 $10^{\circ}C$에서 저장할 경우 8일, $5^{\circ}C$에서 저장할 경우 12일, $1^{\circ}C$에서 저장할 경우 16일까지는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한 막창의 경우 $10^{\circ}C$에서 8일, $5^{\circ}C$에서 14일, $1^{\circ}C$에서 16일까지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막창을 $10^{\circ}C$에서 냉장 유통할 경우 6일 이내의 유통기간 설정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장균군의 사멸과 중온균과 호냉성 균의 효율적인 억제를 위해서는 막창을 $100^{\circ}C$에서 2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토산을 첨가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향미 성분 분석과 냉장 저장 중의 이화학적인 특성 (Flavor Compound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fat Functional Sausages Manufactured with Chitosan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성용;진구복;유승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5-294
    • /
    • 2005
  • 본 연구는 기능성 육제품 개발로 키토산이 육제품 내에서 어떠한 조직적인 특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저지방 소시지에 키토산을 첨가한 기능성 소시지를 제조하여 향미를 분석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돈육 후지로부터 추출한 염용성 단백질에 키토산을 첨가하여 pH와 점도를 측정한 결과 중분자 키토산 처리구의 pH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며, 점도는 이와는 반대로 저분자 키토산 처리구는 첨가량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중분자 및 고분자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인 처리구는 중분자 그리고 고분자 키토산을 $0.6\%$ 첨가한 처리구로 특정 분자량의 키토산이 일정수준 첨가되면 점성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직감 검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분자와 고분자 키토산을 첨가한 소시지가 저지방 대조구에 비해 대부분의 조직감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열 전 반죽의 pH, 가열 후 소시지의 pH, 가열 감량, 진공 감량 그리고 보수력에서는 저지방 대조구와 비교해서 키토산 첨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미 성분 분석 결과 저지방과 고지방의 경우 차이를 보일 뿐 대조구와 비교하여 키토산 첨가에 따른 향미의 효과는 없었으며 저분자 키토산을 $0.6\%$ 첨가한 처리구가 유화형 대조구와 유사한 향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밀기울을 첨가한 토하젓의 숙성과정 중 영양성분의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Toha-jeot with Wheat Bran during Fermentation)

  • 박영희;박복희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7-89
    • /
    • 2000
  • In this study, to activate the industrializ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oha-jeot by shortening the fermentation period,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Toha-jeot. salt-fermented Toha shrimp(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_{E}$ $H_{AAN}$) which was salted with a low-salt group and high-salt group during fermentation. In this experiment. there are four groups of Toha-jeot which were manufactured with 15% ratio of common salt: the first group containing 2% wheat bran (w2%-L). the second high-salt group containing 2% wheat bran( w2%-H) , the third low-salt group containing 4% wheat bran (w4%-L) and the last high-salt group containing 4% wheat bran(w4%-H). These four groups were refrigerated at 4${\pm}$1$^{\circ}C$ and then taken out for analysis at three month intervals during 9 month. Among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in Toha-jeot, 22 kinds were detected. 6 month after the fermentation when the quantity of the amino acid contents in Toha-jeot is highest, ornit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lysine and valine occupy the majority, in the order of abundance. In cases of nucleotides. 6 month after the fermentation. from the groups w2%-L, w2%-H and w4%-L, inosine and IMP were not detected. and hypoxanthine, AMP, ADP were detected but 9 month after the fermentation ADP was not detected. The main constituents of fatty acid were as follows : (a) from w2%-L, w2%-H, 6 month after the fermentation. $C16:0$, $C12:0$, $C18:1$, $C18:3$, and $C16:1$. (b) from w4%-L. 6 month after the fermentation, $C18:3$, $C16:0$, $C12:0$ and $C18:1$. (c) from W4%-H, $C16:0$, $C12:0$, $C18:3$ and $C18:1$. In case of mineral contents. Na, Ca. K. Mg, Fe. Zn, Mn and Cu were detec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quantity. From the group w4%-H, high quantity of Na was detected during the total fermentation period. In case of color value, from the groups w2%. the values of L. a. b were highest after 6 month fermentation and were decreased after 9 month fermentation, while from groups w4%, the values of L, a, b were gradually decreased after 3 month fermentation.ion.

  • PDF

TDU-GC/MS를 이용한 한국품종 참당귀 국산 판별 기법 (Geographical origin discrimination of Korean variety, Angelica gigas Nakai by using TDU (Thermal Desorption Unit)-GC/MS)

  • 이미나;김윤석;김원일;김정규;권오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29-33
    • /
    • 2020
  • 한약재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 정확한 원산지 판별방법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TDU-GC/MS를 이용하여 한국품종 당귀와 외국품종 당귀를 판별함과 동시에 한국품종 당귀의 재배지가 한국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당귀추출물을 열탈착 시킨 후 냉각응축시스템에서 응축시켜 일시에 GC/MS로 분석한 결과 국산 품종 당귀(참당귀)는 TIC의 RT 26.9-27.2에서 coumarin 유도체인 decursin과 decursinol peak가 확인되었다. 중국 품종 당귀(중당귀)의 경우 RT 17.2 부근에서 ligustilide의 peak가 검출되었다. 국산 품종 참당귀 원산지에 따른 휘발성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wister로 흡착하여 TDU-GC/MS로 m/z 40-400 amu 범위에서 mass spectrum을 측정하였다. 참당귀의 국내 및 중국 재배 시료 TIC는 전반적으로 같은 경향을 냈으나 TIC를 부분 scan한 결과 RT 15.4-16.1에서 국내 및 중국 재배의 peak pattern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Peak A (RT 15.54)과 B (RT 16.05)의 비율은 국내 재배는 0.0-0.2, 중국 재배의 경우 0.5-2.8으로서 TDU-GC/MS의 TIC peak pattern 비교를 통한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arvacrol과 thymol을 병행처리한 키토산 코팅이 냉장저장 시 흰다리 새우의 미생물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tosan Coating Combined with Carvacrol and Thymol on Microbi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topenaeus vannamei during Cold Storage)

  • 고봉수;박미정;곽승해;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3-370
    • /
    • 2017
  • 본 실험에서는 냉동 새우(Litopenaeus vannamei)를 $4^{\circ}C$에서 12일동안 저온 저장하며, 키토산 코팅과 천연보존제의 병행처리(0.05% carvacrol, 0.05% thymol)가 미생물(중온균, 저온균, Pseudomonas spp., $H_2S$ 생성균)의 성장과 새우의 이화학적 특징(총 휘발성 질소화합물, pH) 및 관능적 품질(외관, 냄새, 전반적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키토산 코팅과 carvacrol 병행 처리, 키토산 코팅과 thymol 병행 처리는 모든 대상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고 특히 중온균, 저온균, $H_2S$ 생성균의 경우 실험의 마지막 날인 12일째까지 유의적인 항균효과(p < 0.05)를 보였다. 이 처리구들은 총 휘발성 질소화합물과 관능적 특성(외관, 냄새, 전반적 수용도)에서도 12일째까지 유의적인 차이(p < 0.05)를 보였으나 pH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키토산 코팅과 carvacrol 병행 처리, 키토산 코팅과 thymol 병행 처리는 새우의 주요 부패 미생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냉장 새우의 유통기간 연장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신선편의 냉장·냉동 과채류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s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Cut Fruits and Vegetables)

  • 김근향;임주영;김연호;양소영;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95-50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에서 오염 가능성이 있는 병원성식중독 균 L. monocytogenes에 대해 신선편의 샐러드, 파인애플, 냉동망고에서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 모델을 다른 제품에서 적용 여부를 검증하였다. 시료에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각각의 저장 온도에 보관 시 샐러드는 13℃, 파인애플은 10℃ 이상에서 성장하였으며, 두 식품 중 파인애플에서 L. monocytogenes가 더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냉동망고에 접종한 L. monocytogenes는 -2, -10, -18℃의 저장온도에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delta 값이 커지며 생존력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본 실험 검증을 통해 같은 신선편의 과일, 채소 식품 그룹에 속하더라도 식품 각각의 특성에 따라 L. monocytogenes의 성장 패턴은 일정하지 않으며 각기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신선편의 샐러드 및 절단된 과일류는 냉장유통 되며 추가세척 없이 소비되는 제품 특성상 공정과정에서 L. monocytogenes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위생관리에 주의하고 유통과정에서 온도 남용이 되지 않도록 유통온도 관리에도 유의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