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x extrac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구역반사가 심한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에서 프로포폴과 미다졸람을 이용한 정주진정법 -증례 보고- (Intravenous Sedation using Propofol and Midazolam in The Exaggerated Gag Reflex Patient's Dental Implant Treatment -A Case Report-)

  • 오세리;이준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3
    • /
    • 2010
  • The gag reflex is a physiologic reaction which safeguards the airway from foreign bodies. But, an exaggerated gag reflex can be a severe limitation to a patient's ability to accept dental care and for a clinician's ability to provide it. The overactive gag reflex can be due to psychological factors or physiological factors, or both. Psychological factors can include fear of loss of control and past traumatic experiences. A 58-year-old man, scheduled for extraction of left upper second molar, left lower second and third molar and implantation of left upper second molar, and left lower second molar had no specific underlying medical problems. He had exaggerated gag reflex. Dental treatment was successfully performed using intravenous sedation. Intravenous sedation with midazolam and propofol was a useful management technique for reflex control during dental treatment extended to the posterior regions in the oral cavity.

Development of a Smartphone-based Pupillometer

  • Kim, Tae-Hoon;Youn, Jong-I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7권3호
    • /
    • pp.249-254
    • /
    • 2013
  • In ophthalmology, a pupillometer, a device to measure the diameter of the pupil of the eye,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func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current pupillometers on the market are either too large to be a handheld instrument, or relatively expensive. In this study, a pupillometer based on a smartphone was designed. Both white and infrared LEDs and a 3M pixel camera of a smartphone were applied for the visual stimuli to an eye and for the acquisition of the eye images, respectively. Contrary to the existing method of pupil measurement that usually observe the variation of pupil diameter, the proposed algorithm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constriction ratio of the pupillary area in response to pupillary light refle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triction ratio of the pupillary area were all in the normal range (above 4.0) from the sixteen healthy participants. It is believed that the approach to pupil measurement used in this study is suitable for a mobile interface, and this system can be applied to clinical research, home-use healthcare, and distributed to some areas which suffer from problems like a lack of medical support.

Comparative randomized study of propofol target-controlled infusion versus sevoflurane anesthesia for third molar extraction

  • Chung, Patrick K;Dhanrajani, Parmanand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8권3호
    • /
    • pp.169-175
    • /
    • 2018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modynamic and recovery characteristics of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using propofol 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versus sevoflurane for extraction of four third molar teeth. Methods: One hundred patients undergoing extraction of four third molar teeth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randomized to one of two groups. Group 1 received propofol TCI-oxygen for induction and propofol TCI-oxygen-air for maintenance. Group II received a propofol bolus of 2 mg/kg for induction and sevoflurane-oxygen-air for maintenance. Heart rate, mean arterial pressure (MAP), operating time, time to emergence, nausea and vomiting, and sedation and pain scores were measured in each group. Results: Demographic data, including age, gender, weight, and heigh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AP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intubation (P = 0.007) and injection of anesthesia (P = 0.004) in the propofol group than in the sevoflurane group, with significant reflex bradycardia (P = 0.028). The mean time to emergence from anesthesia using propofol was 25 s shorter than that of sevoflurane (P = 0.02). Postoperatively, the propofol group was less sedated than the sevoflurane group at 30 min (0.02 versus 0.12),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 = 0.065). Conclusion: Both propofol TCI and sevoflurane are good alternatives for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anesthesia for short day-case surgery. However, propofol TCI does not blunt the hemodynamic response to sudden, severe stimuli as strongly as sevoflurane, and this limitation may be a cause for concern in patients with cardiac comorbidities.

더덕 사포닌인 lancemasides의 최적 추출 방법 구명 (Determination the optimum extraction method for saponin lancemasides in Codonopsis lanceolata)

  • 이민주;남주희;엄인석;강창근;노일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3-108
    • /
    • 2019
  • 본 연구는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 방법에 따른 lancemasides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환류 추출(MeOH, BuOH), 열수 추출(Hot water), 초음파 추출(ultrasonic bath (40 kHz; continuous irradiation, interval irradiation), ultrasonicator (20 kHz))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lancemasides함량은 ultrasonic bath (MeOH; continuous irradiation) 추출에서 가장 높았고, ultrasonic bath (water; continuous irradiation) 추출>ultrasonic bath (MeOH; interval irradiation) 추출>ultrasonicator 추출>열수 추출>메탄올 환류 추출>부탄올 환류 추출 순으로 높았다. 따라서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 방법은 MeOH을 이용한 초음파(ultrasonic bath, 40 kHz) 추출이었고, 추출 전 시료 건조 방법은 동결건조보다 음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lancemasides 추출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초음파 추출 시 추출 시간은 2시간, 추출 온도는 $64^{\circ}C$에서 추출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음파(ultrasonic bath)추출은 기존에 주로 이용하던 환류 추출 및 분획을 실시했을 때 보다 많은 양의 사포닌(lancemasides)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추출 시간과 온도와 같은 추출 조건에 따라 aster saponin Hb가 lancemaside류로 성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추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aster saponin의 함량이 줄어들고, lancemaside 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추출 온도가 사포닌 성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히스토그램 분포도 역추적 변경에 의한 영상 강조 (Image Emphasis by Histogram Reverse Tracking Alteration)

  • 허진경;김향태
    • 지능정보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1
    • /
    • 2004
  • 원 영상을 처리하여 보다 강조된 영상을 얻는다는 것은 기존의 영상을 가공하여 이를 통하여 보다 낳은 결과를 얻기 위한 전처리의 중요한 한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다. 강조된 영상이라는 것은 단지 보기 좋은 영상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주어진 영상을 더 뚜렷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강조된 영상은 영상처리에 있어서 윤곽선 추출이나 영상 인식 등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도 하는데, 특히 저 화질 영상의 경우에는 원 영상을 얼마만큼 잘 나타내느냐에 따라서 인식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현재 강조된 영상을 얻는 알고리즘들은 다양한 종류의 영상에서 원하는 만큼의 뚜렷한 영상을 얻지 못하거나, 화질의 크기나 히스토그램의 집적도에 비례하여 많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 화질 영상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종류의 영상에 있어서 차후 사용될 영상의 본래 활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강조하는 방법으로서 픽셀들이 히스토그램상에서 차지하는 분포도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영상에 있어서 히스토그램의 값을 역추적하면서 히스토그램 분포도를 수정 및 변경함으로써 원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제안한 방법의 경우에는 기존의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법에 의한 결과 영상과 동일한 결과를 얻음과 동시에 그 처리시간에 있어서는 상당한 이익을 볼 수 있었다.

  • PDF

Hot Water Extract of Wheat Bran Attenuates White Matter Injury in a Rat Model of Vascular Dementia

  • Lim, Sun Ha;Lee, Jo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45-155
    • /
    • 2014
  • Vascular dementia is characterized by white matter lesions involving the demyelination and activation of astrocytes and microglia. In a previous study, we showed that the supernatant of a laboratory-scale, hot water extract of ground whole wheat (TALE) attenuated white matter injury and astrocytic activation in a rat model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BCCAO). In the present study, we made several modifications to the hot water extraction process to remove starch and enable large-scale production. We used wheat bran (WB), which contains less starch, instead of ground whole wheat. In addition, we removed starch granules with a decanter before hot water extraction. The final product, wheat bran extract (WBE), contained 2.42% arabinose, a surrogate marker of arabinoxylan, which is an active constituent of WBE. Supplementation of the rat model of BCCAO with WBE (400 mg/kg/day) for 33 days attenuated white matter injury, which was assessed by Luxol Fast Blue staining, in the corpus callosum (cc) and optic tract (opt) regions. Attenuation of white matter injury in the opt region was accompanied by improvement of the pupillary light reflex. Immunochemical staining revealed that supplementation with WBE reduced astrocytic activation in the cc and opt regions and reduced microglial activation in the opt reg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WBE is effective at attenuating white matter injury accompanied by the inhibition of astrocytic and microglial activation. Therefore, extracts from WB, a cheap by-product of wheat milling, can be developed as a nutraceutical to prevent vascular dementia, a disease for which there is no approved pharmaceutical treatment.

선천성 식도폐쇄를 가진 식이장애 환아의 치아우식 치료 증례 보고 (DENTAL CARIES TREATMENT IN FEEDING PROBLEM PATIENT WITH CONGENITAL ESOPHAGEAL ATRESIA : A CASE REPORT)

  • 허선재;이미연;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0
    • /
    • 2016
  • 저자는 선천적 식도폐쇄로 인한 섭식장애를 가진 5세 환아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환아는 식도-기관 누공을 동반하는 선천성 식도폐쇄로 인해 위절제술 및 식도 문합술을 시행받았다. 2. 환아는 잦은 음식 섭취와 구토로 치아부식과 함께 다발성 치아우식증 소견을 보이고 있다. 3. 환아의 구강 위생 관리 및 우식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치과 내원과 가정에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식이와 관련된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전신성 백색증(Oculocutaneous albinism) 환아의 증례 보고 (OCULOCUTANEOUS ALBINISM : A CASE REPORT)

  • 최지은;최남기;김선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13-717
    • /
    • 2008
  • 백색증(albinism)이란 신체 내 melanin 합성의 부분적, 혹은 완전한 결핍에 의해 일어나는 질환이다. Melanin은 신체 내에서 머리카락, 눈, 피부 등에 분포하기 때문에 백색증 환자는 밝은 금발이나 갈색의 머리카락과 하얀 피부, 붉거나 갈색의 홍채를 갖는 특징적인 외모를 지닌다. 백색증 환자는 변이된 유전자 및 임상적 특징에 따라 크게 전신성 백색증, 안성 백색증, 부분적 백색증으로 나뉘며 그 밖에 많은 하위군이 존재하고 그에 따른 치료법이나 치과적 주의사항도 달라진다. 본 증례는 치아의 발육지연 여부 평가를 주소로 내원한 정신 지체가 동반된 전신성 백색증 환아로서 치아 발거 등의 관혈적 시술 및 보존수복, 공간 유지장치 등의 치료를 통해 양호한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메밀 식물체 함유 Rutin의 HPLC 분석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Rutin in Buckwheat Plant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81-186
    • /
    • 2005
  • 종실에 비해 다량의 rutin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메밀 식물체의 최적 rutin함량 분석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추출조건, HPLC 분석조건, 분석 재현성 및 최소검출한계를 검토한 결과 rutin은 미황색을 나타내는 폴리페놀 성분으로 에탄올에 용해 하여 최대 흡수파장을 측정하였을 때 359nm에서 흡수 극대파장을 나타내었다. 메밀 식물체 함유 rutin의 최적 HPLC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 컬럼은 Tosoh ODS 120T를 이용하고, 검출기 파장을 355nm, 이동상으로 A용매를 $2\%$ 초산함유-$45\%$ 아세토나이트릴로, B용매는 $2\%$ 초산함유-증류수로 하여 농도구배조건을 0분 : $50\%$ A용액, 0-18분 : $100\%$ A용액, 18-20분 : $50\%$ A용액, 20-22분 : $50\%$ A용액으로 조절하고, 분당 1mL를 용출 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분리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PLC 분석요인에 대한 재현성을 검정한 결과 머무름시간, peak면적 및 peak높이의 변이 계수가 모두 $0.6\%$미만을 나타내어 극히 높은 분석 재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HPLC분석 시 최소검출한계는 20ng/mL수준이었다. 메밀 식물체 함유 rutin 분석을 위한 최적 추출조건을 검토한 결과 추출용매를 에탄올로 사용하고, $80^{\circ}C$ 조건에서 120분 이상의 환류추출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추출법으로 조사되었다.

소아에서 EMLA cream을 이용한 도포마취 : 증례보고 (THE TOPICAL ANESTHESIA WITH EMLA CREAM IN CHILDREN : A CASE REPORT)

  • 김희진;고승백;홍성수;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5
    • /
    • 2002
  • 치과치료를 위하여 마취를 시행할 때 아동들의 주사기나 주사바늘에 대한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있다. 도포마취제의 사용이 한 가지 방법이다. 도포마취는 많은 임상과정, 즉 주사침 자입부위, 간단한 유치발치, 구토반응이 심한 환자에서 치과용 구내 방사선 촬영시, 인상채득 전 구토반응의 감소 목적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소아에서 치면열구전색술과 예방심미수복술시 치아격리를 위한 러버댐 clamp의 장착은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는데, 도포마취는 이런 목적으로 러버댐 장착시 도움이 된다. 모든 구강내 도포마취제는 점막에 동등한 효과가 있다고 제안되었으나, 1980년대 개발되어 피부의 표면마취에 사용되는 EMLA(acronym for eutectic mixture of local anaesthetics)가 기존의 도포마취제보다 부착치은에 사용시 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침윤마취가 필요한 몇 증례에서 EMLA cream을 이용하여 국소마취를 하기 전단계, 유치 발거시, clamp 장착시, 기성관 수복 등에서 동통을 감소시킴으로써 환아의 치과 치료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