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tongue vip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의 고도와 서식지 타입에 따른 분포 패턴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ltitude and habitat type of the Red-tongue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in the Cheon-ma mountain)

  • 도민석;유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3-204
    • /
    • 2014
  • 동물의 분포는 서식지선택에 영향을 받으며, 서식지의 특성과 먹이자원은 종의 생존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의 분포 패턴 특성을 파악하고자 고도, 서식지 특성, 잠재적 먹이자원인 양서류의 분포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서식하는 고도범위에서 선호하는 서식지 타입을 알아보고자 고도를 3개의 범주(저고도, 중고도, 고고도)로 분류하였고, 서식지는 수생태계의 존재 유무에 따라 분류하였다. 쇠살모사의 경우, 고도와 서식지 타입에 따른 분포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고도와 물이 있는 계곡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양서류의 경우도 고도와 서식지에 따라 쇠살모사와 동일한 분포패턴을 보였다. 물이 있는 계곡의 쇠살모사와 양서류에 대한 미소서식지 분석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쇠살모사가 저고도에 위치한 물이 있는 계곡주변에서 대부분 분포하고 있었던 이유는 양서류의 분포가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는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가 비교적 사냥하기 쉬운 먹이자원인 양서류를 선호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발신기 삽입시 발신기 무게가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와 까치살모사(Gloydius saxatili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ight of radio-transmitters on survival of Red-tongue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and Short-tailed viper snake (Gloydius saxatilis)in the radio-transmitter implantation)

  • 도민석;심재한;최영민;유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5-92
    • /
    • 2014
  • 한국에 서식하는 뱀목(Squamata) 중 살모사과(Viperidae)에 속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와 까치살모사(Gloydius saxatilis)를 대상으로 무선추적기법을 이용한 행동권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모든 개체에게 체중 대비 5% 이내의 발신기를 삽입하였다. 쇠살모사 5개체, 까치살모사 6개체 총 11개체를 대상으로 발신기 삽입수술을 시행한 결과 쇠살모사의 경우 체중 대비 발신기 무게 비율은 평균 4.2%였으며, 까치살모사의 경우 평균 2.2%였다. 발신기삽입 후 회복기간 동안 까치살모사는 모두 생존한 반면 쇠살모사는 전체 5개체 중 4개체가 생존하지 못해 생존율이 20% 밖에 되질 않았다. 이전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체중 대비 발신기 무게 비율을 1-7%까지 다양하게 권고하고 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쇠사모사와 까치살모사의 행동생태 연구에서 이용되는 몸무게에 대한 발신기 무게 비율은 최소 3.6% 이내로 정해야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red-tongue viper, Gloydius ussuriensis (Reptilia: Viperidae) on the Korean Peninsula

  • Jung A Kim;Mu-Yeong Lee;Hye Sook Jeon;Min Seock Do;Kyo Soung Koo;Sang-Cheol Lee;Ji-Hwa Jung;Yoon-Jee Hong;Junghwa 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81-285
    • /
    • 2023
  • The red-tongue viper(Gloydius ussuriensis) is one of only three species of the genus Gloydius found in South Korea. Gloydius ussuriensis has a narrow activity radius and is distributed nationwide, and this species was reported to have the largest population among the Korean species in genus Gloydius. Preliminary results of a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t of the mitochondrial DNA indicated that domestic G. ussuriensis is not comprised of monophyletic groups, and morphological analysis showed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populat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17 microsatellites for the analysis of G. ussuriensis genetic diversit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se microsatellites were developed using six multiplex panels, which could be employed to validate 80 G. ussuriensis specimen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in South Korea. The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was 12.2 and ranged from 4 to 25 alleles; the observed heterozygosity ranged from 0.238 to 0.950 and the expected heterozygosity ranged from 0.213 to 0.933. As a result of assessing four inland populations, a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was confirmed. These newly developed markers will be useful for further studies o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 ussuriensis.

쇠살모사의 생식주기와 한배의 출산수 (Reproduction Cycle and Litter Size of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 김병수;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1-541
    • /
    • 2014
  • 본 연구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쇠살모사의 생활사 전략을 밝히기 위하여 생식주기, 한배의 출산수 및 이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야외조사는 2006년 5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제주도 본섬에서 이루어졌으며, 생식주기는 2009년 3월에서 2010년 12월 사이에 실험실에서 정소와 난포의 크기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쇠살모사의 정소와 난포의 크기는 계절적으로 뚜렷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관에 들어있는 알의 수는 오른쪽($2.6{\pm}1.0$개, n=16)이 왼쪽($1.8{\pm}0.5$개, n=16)보다 많았다(t=-2,721, p<0.05). 생존한 새끼의 수(SLS)는 $4.4{\pm}1.7$마리(1~9마리)로 총 새끼의 수(TLS) $4.7{\pm}1.5$마리(3~9마리)보다 약간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난관에 들어 있는 알의 수와도 유사하였다(t=0.039, P>0.05). 상대적인 새끼의 체중(RCM)은 $0.42{\pm}0.13$ (0.18~0.79, n=33)으로 나타났으며, 출산전 어미의 몸 상태(MCPP1)가 양호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출산시 새끼의 성비는 암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1.15:1, n=73 ; ${\chi}^2$-test, ${\chi}^2$=0.342, P>0.5). 한배 새끼의 체중은 출산전 어미의 체중(MMPP1, r=0.387, P<0.05, n=33)과, 몸길이는 어미의 몸길이(r=0.399, P<0.05, n=33) 및 MMPP1(r=0.344, P<0.05, n=33)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새끼의 평균 체중과 어미의 몸길이와는 유의확률에 근접하였다(r=0.323, P=0.067, n=33). 이것은 어미의 몸 크기가 클수록 더 큰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뱀에서 한배의 출산수가 많을수록 새끼의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으나 쇠살모사는 이러한 교환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종 고유의 특이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쇠살모사의 생활사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First complete mitogenome sequence of Korean Gloydius ussuriensis (Viperidae: Crotalinae)

  • Hye Sook Jeon;Min Seock Do;Jung A Kim;Yoonjee Hong;Chae Eun Lim;Jae-Hwa Suh;Junghwa A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27-130
    • /
    • 2024
  • The first complete mitogenome sequence of the Red-tongue Pit Viper (Gloydius ussuriensis) from Korea was characterized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he mitogenome is a circular molecule (17,209 bp) with a typical vertebrate mitogenome arrangement, which consists of 2 ribosomal RNA genes (rRNA), 22 transfer RNA genes (tRNA), two non-coding regions (D-loop), and 13 protein-coding genes (PCGs). The base composition of the mitogenome is 32.7% of A, 27.5% of C, 13.9% of G, and 25.9% of T, with a slight AT bias(58.6%). This phylogenetic analysis infers that G. ussuriensis is in the same group as the Chinese G. ussuriensis (Accession No. KP262412) and is closely related to G. blomhoffi and other species of the genus Gloydius. In our study, the complete mitogenome sequence of Korean G. ussuriensis was characterized and we provided basic genetic information on this species.

Discovery of Larval Gnathostoma nipponicum in Frogs and Snakes from Jeju-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 Woo, Ho-Choon;Oh, Hong-Shik;Cho, Shin-Hyeong;Na, Byoung-Kuk;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45-448
    • /
    • 2011
  • A surve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intermediate hosts of Gnathostoma nipponicum in Jeju-do (Province), the Republic of Korea. In August 2009 and 2010, a total of 82 tadpoles, 23 black-spotted pond frogs (Rana nigromaculata), 7 tiger keelback snakes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6 red-tongue viper snakes (Agkistrodon ussuriensis), and 2 cat snakes (Elaphe dione) were collected in Jeju-do and examined by the pepsin-HCl digestion method. Total 5 gnathostome larvae were detected in 3 (50%) of 6 A. ussuriensis, 70 larvae in 3 of 7 (42.9%) R. tigrinus tigrinus, and 2 larvae in 2 of 82 (8.7%) frogs. No gnathostome larvae were detected in tadpoles and cat snakes. The larvae detected were a single species, and $2.17{\times}0.22mm$ in average size. They had characteristic head bulbs, muscular esophagus, and 4 cervical sacs. Three rows of hooklets were arranged in the head bulbs, and the number of hooklets in each row was 29, 33, and 36 posteriorly. All these characters were consistent with the advanced third-stage larvae of G. nipponicum. It has been first confirmed in Jeju-do that R. nigromaculata, A. ussuriensis, and R. tigrinus tigrinus play a role for intermediate and/or paratenic hosts for G. nipponicum.

남한 동북부지역 도로에서 뱀류 로드킬의 양상 (Patterns of Snake Roadkills on the Roads in the Northeast Region of South Korea)

  • 박대식;정수민;김성규;라남용;이정현;김자경;김일훈;김대인;김석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2-53
    • /
    • 2017
  • 도로의 건설에 따른 불가피한 생태계 피해들 중 도로상에서 동물이 차에 치여 죽는 로드킬이 있으며, 특히 산간지대가 많은 지형적 특성에 따라 국내에서 로드킬은 특별히 관심을 받고 있다. 로드킬은 야생동물 개체군 감소의 한 원인으로 종종 언급되고 있다. 국내에서 포유류, 조류, 양서류 등과 같이 파충강(Reptilies) 중 뱀류의 로드킬 역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속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에서 뱀류 로드킬 발생 경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2007년 5월부터 2012년 9월 사이에 강원도 지역을 주로 포함하고 일부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지역을 포함하는 남한 동북부 지역에 고속도로를 제외한 일반도로를 대상으로 뱀류 로드킬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10종 155건의 로드킬이 발견되었는데, 그들 중 유혈목이(Rhabdophis tigrinus),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 누룩뱀(Elaphe dione), 능구렁이(Dinodon rufozonatus), 살모사(Gloydius brevicaudus) 5종이 전체 로드킬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로드킬은 먹이를 찾아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뱀류가 그렇지 않은 뱀류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수컷의 비율이 암컷보다 높았고, 성체의 비율이 아성체보다 높았다. 계절적으로는 9월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해발고도 상으로는 200-400m 사이에서, 도로 가장자리의 환경 특성으로는 산-도로-수계와 산-도로-농경지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뱀류 로드킬의 경향을 파악하고, 해당 지역들에서 뱀류를 위한 로드킬 저감방안 수립 및 시행시 대상 지역 및 위치선정, 대상종의 선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살모사과 3종의 경쟁과 공간적 생태 - 생태적 지위를 기반으로 한 모델과 지리정보시스템 적용 - (Interspecific Competition and spatial Ecology of three Species of Vipers in Korea: An Application of Ecological niche-based Models and GIS)

  • 도민석;이진원;장환진;김대인;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3-184
    • /
    • 2016
  • 생물종의 경쟁과 공간적 분포, 생태적 지위의 관계에 대한 정보는 생물지리학적 분포형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살모사과 3종(Gloydius ussuriensis, G. brevicaudus, G. saxatilis)에 대해 관찰자료와 종 분포 모델 기법을 바탕으로 분포 특성과 종의 생태적 지위를 산출하였고, 예측된 종 분포 모델들을 바탕으로 지리적 분포와 생태적 지위의 분화에 대한 종간 경쟁 관계의 영향을 추론하였다. 연구 결과 고도가 살모사들의 분포에 가장 중요한 환경변수로 나타났으며, 그들이 분포한 고도는 그 지역의 기후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간 생태적 지위는 비교적 높게 중첩되어 있었지만, 예측된 3종의 분포형태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분포모델들을 중첩한 결과, 종간 중첩된 지역의 서식지는 대부분 산림지역으로, 전체 조사 지역에 비해 비교적 작은 범위가 중첩되어 접소적인 분포형태가 예측되었다. 또한 중첩된 지역에 분포한 개체수는 종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이 지역에서 종간 경쟁이 심하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살모사과 3종은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경쟁 없이 접소적인 분포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접소적인 분포형태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을 알아내기 위해, 보다 자세한 생태학적, 행동학적 연구와 더불어 비교적 세밀한 격자 크기를 통한 다양한 지형변수(고도, 미소서식지 특성 등)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PIT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tag과 무선추적방법(radio telemetry)의 적용 (Application of PIT Tag and Radio Telemetry Research Method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ptiles in Korea National Parks)

  • 이정현;이헌주;라남용;김자경;엄준호;박대식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46-154
    • /
    • 2009
  • 본 연구는 PIT tag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과 무선추적법(radio telemetry)을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파충류에 적용한 후, 이를 평가하여 효과적으로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IT tag은 현재까지 알려진 파충류 개체표시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의 조사지역에 출현한 모든 137마리의 뱀류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무선추적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서식하고 있는 황구렁이(Elaphe schrenckii anomala) 2마리를 대상으로 2007년 9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두 곳의 국립공원 지역에서 연구기간 동안 17마리가 재 포획되어 평균 12.40%의 재포획률을 보였으며, 재 포획된 개체들의 자료를 통하여 누룩뱀 (Elaphe dione)과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성체의 SVL 증가를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 무선추적을 통하여 확인된 황구렁이 수컷의 행동권 면적은 MCP=389,600 $m^2$, Kernel 95%=471,800 $m^2$, 암컷은 MCP=162,500 $m^2$, Kernel 95%=208,700 $m^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내에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종 혹은 멸종위기대상 종인 파충류를 대상으로 PIT tag과 무선추적을 적용한다면 공원 내 파충류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존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