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pepper seed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7초

고추 과육중(果肉重) 구성형질(構成形質)의 상관(相關)과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 (Interrelationships and Path Coefficients of Pericarp Characters in Red Pepper(Capsicum annuum L.))

  • 김양춘;박규환;최순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9-14
    • /
    • 1984
  • 과육량(果肉量)이 많은 우량(優良) 고추품종(品種) 육종(育種)을 위한 효율적(效率的)인 선발기준(選拔基準)을 마련코자 8개(個) 품종(品種)과 이들을 이면교배(二面交配)하여 얻는 28개(個) $F_1$조합(組合)들은 공시(供試)하여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및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등(等) 과육구성형질간(果肉構成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種子重) 및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의 상관정도(相關程度)를 밝히고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을 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친(親)에 있어서 과경(果徑)과 생과육후(生果肉厚), 과육중간(果肉中間), 생과육후(生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유전(遺傳) 및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이 있었다. 2. $F_1$에 있어서 과장(果長)은 건과육후(乾果肉厚)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과육중(果肉重)과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과경(果徑)과 과육후(果肉厚) 및 과육중간(果肉重間), 과육후(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3. 과육구성형질(果肉構成形質)에 있어서 $F_1$과 양친평균간(兩親平均間)에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4.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간(種子重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과육중(果肉重)과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 결과(結果)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가 모두 정(正)의 직접결과(直接結果)를 나타내었고 $F_1$에서 과장(果長)이 직접효과(直接效果)가 가장 컸다.

  • PDF

견육요리(犬肉料理)의 연구(硏究) (I) -문헌고찰(文獻考察)-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 (I) -Bibliographical Study-)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47-356
    • /
    • 1989
  • 1670년부터 1943년까지의 문헌 16권을 통하여 견육(犬肉)요리의 종류, 조리법, 양념, 부재료를 조사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견육(犬肉)요리는 14종류로 분류되며, 연대순으로 보면 ${\ulcorner}$찌는법${\lrcorner}$(증(蒸)) 20회(40%), ${\ulcorner}$견육순대${\lrcorner}$ 1회(2%), ${\ulcorner}$견육꽂이구이느르미${\lrcorner}$ 1회(2%), ${\ulcorner}$견육느르미${\lrcorner}$ 1회(2%), ${\ulcorner}$국(갱(羹),탕(湯))${\lrcorner}$ 12회(24%), ${\ulcorner}$익힌 고기 다시 찌는 법${\lrcorner}$ 4회(8%), ${\ulcorner}$구장${\lrcorner}$(구장(狗醬)) 4회(8%), ${\ulcorner}$구적${\lrcorner}$(구적(狗炙)), ${\ulcorner}$구장과 젖${\lrcorner}$(구장(狗醬)과 해), ${\ulcorner}$구포${\lrcorner}$(구포(狗脯)), ${\ulcorner}$구족초${\lrcorner}$(구족초(狗足炒)),${\ulcorner}$구이진초${\lrcorner}$(구이진초(狗彛唇炒)), ${\ulcorner}$백숙${\lrcorner}$등은 각각 1회(2%)이며 50회 기록되었다. 빈도면에서는 ${\ulcorner}$찌는 법${\lrcorner}$ ${\ulcorner}$${\lrcorner}$ ${\ulcorner}$익힌 고기 다시 찌는 법${\lrcorner}$ ${\ulcorner}$구장${\lrcorner}$의 순으로 ${\ulcorner}$찌는 법${\lrcorner}$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2) 견육요리의 전처리에 있어서 씻는 과정은 내장만 씻고 고기는 씻지 않는 것(52.6%)이 전부를 씻는 것(26.3%)보다 많았고, 내장을 많이(42.1%) 이용하였으며 익히는 과정에서는 거의 쪄낸 후(84.2%) 나름대로의 요리를 만들었고 삶어서 이용한 것은(9.0%) 거의 없었다. 3) 전체 견육요리에 이용된 양념은 22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유장(42.1%), 참깨가루(39.4%), 후추가루(36.8%), 식초(36.8%), 간장(28.9%), 고춧가루(26.3%), 참기름(23.6%), 만초가루(23.6%), 천초가루(23.6%) 등이고, 부재료는 5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파(파의 흰부분과 합함 34.2%)와 미나리(21.0%)이다.

  • PDF

저선량 방사선 조사 시 종자수분함량이 채소류의 발아와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Dose Gamma Radiation and Seed Moisture Content on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Vegetable Crops)

  • 백명화;이영근;이영복;양승균;김재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5-219
    • /
    • 2003
  • 채소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장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과 종자수분 함량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배추, 무, 고추, 호박 참박 각각의 건조종자와 습윤종자에 저선량 감마선을 $0{\sim}20\;Gy$ 수준으로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을 상이하게 하여 관찰한 발아와 초기생장에 미치는 저선량 방사선 효과는 작물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발아율의 경우는 건조종자보다 습윤종자에서 대체로 높았으며 저선량 효과는 배추와 호박의 습윤종자4 Gy와 2 Gy에서 각각 33%와 13% 증가하여 뚜렷한 효과를 보였고, 참박은 건조종자 $4{\sim}8\;Gy$에서 높았다. 초기생장은 습윤종자에서 뚜렷한 효과를 보여 배추와 무는 10 Gy, 호박은 2 Gy, 참박은 8 Gy에서 $6{\sim}26%$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초기생장 촉진효과는 저선량 방사선과 수분함량 상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배추와 참박에서 가장 높았다. 즉, 채소 종자의 수분함량을 상이하게 하여 저선량 방사선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적정 수분함량에서 발아와 유묘생장이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추 일과중(一果重)의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대(對)한 유전(遺傳) (The Inheritance of Anatomical Components in Red Pepper)

  • 최순호;김은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2-17
    • /
    • 1986
  • 고추 육종(育種)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342{\times}$김장고추, 馬山${\times}$Hungarian wax 그리고 마산(馬山)${\times}$제주(濟州) 등(等) 3조합(組合)의 친(親), $F_1$, $F_2$ 그리고 $BCF_1$ 세대(世代)에 대(對)해 적숙(赤熟)된 과실(果實)을 수집(收穫)하여 1생(生) 건과중(乾果重)을 구성(構成)하는 형질(形質)들의 잡종강세(雜種强勢), 유전성분(遺傳成分) 및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平均) Heterosis는 거의 모든 형질(形質)에서 정(正)의 값을 나타내었고 평균(平均) Heterobeltiosis는 $342{\times}$김장고추조합(組合)을 제외(除外)하고는 거의 부(負)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근교약세(近交弱勢)도 정(正)의 값을 보여 $F_2$에서의 무게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질발현(形質發現)에는 각(各) 조합(組合)의 형질(形質)에 따라 중복적(重複的) 혹(或)은 보족적(補足的)으로 상위성(上位性)이 작용(作用)하였으며 $F_2$에서 과중(果重)과 과육중(果肉重)은 광의(廣義) 및 협의(狹義)의 유전력(遺傳力)이 높았으며 기타형질(其他形質)은 전반적(全般的)으로 낮았다. 각(各) 과중구성요소간(果重構成要素間)의 형질상관(形質相關)은 생(生) 건과중(乾果重)에서 모두 정(正)의 유의(有意)한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장류(醬類)의 철분(鐵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1보(第一報). 간장중의 철분함량(鐵分含量) - (Studies on the Iron Component of Soy Sauce, 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Part I. Iron Content of Soy Sauce-)

  • 유해열;박윤중;이석건;손천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3호
    • /
    • pp.160-165
    • /
    • 1979
  • 본(本) 실험(實驗)은 장류제조(醬類製造) 과정중(過程中)의 철분(鐵分)의 혼입경로(混入經路) 함량변화(含量變化) 및 제품(製品)의 질(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糾明)할 목적(目的)으로 시도(試圖)되었으며 그 일단계로서 간장 양조(釀造) 과정중(過程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과 시판(市販) 간장중(中)의 철분함량등(鐵分含量等)에 대(對)하며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간장 양조원료중(釀造原料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대두(大豆)에는 108 ppm, 탈지대두(脫脂大豆)에서 133ppm, 소맥에서 79ppm, 식염(食鹽)에서 5ppm, 종국(種麴)에서 58ppm, 황국균(黃麴菌) 포자(胞子)에서 $300{\sim}2000ppm$, gluten에서 240ppm, $Na_2CO_3$에서 20ppm(이상(以上) 건물당(乾物當))이며 HCl에서 6ppm, Caramel에서 18ppm, 양조용수(讓造用水)에서 0.3ppm으로 각각(各各) 나타났다. 2. 제국과정중(製麴過程中)의 철분합량(鐵分合量)은 $200{\sim}240ppm$(건물당(乾物當))으로 제국기간(製麴期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다소(多少)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간장 발효과정중(醱酵過程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담금후 1개월(個月) 경과후(經過後)에 40ppm, 3개월(個月) 경과후(經過後)에 $43{\sim}47ppm$, 6개월(個月) 경과후(經過後)에 $49{\sim}62ppm$으로 각각(各各) 나타났다. 4. 양조(讓造)간장의 압착과정(壓搾過程)에서 즙액중(中)의 철분(鐵分)은 감소(減少)하나 살균과정(殺菌過程)에서는 별다른 변화(變化)가 없었다. 5. 화학(化學)간강 제조과정중(製造過程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소맥 gluten의 염산(鹽酸) 분해액중(分解液中)에 159ppm, 중화액중(中和液中)에 184ppm으로 중화(中和)에 의(依)하여 다소(多少) 증가(增加)하였다. 6. 제품(製品) 양조(釀造)간장과 화학(化學)간장의 총질소농도(總窒素濃度)를 달리하여 철분함량(鐵分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총질소(總窒素)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철분함량(鐵分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며 동일(同一)한 총질소농도(總窒素濃度)에 있어서 화학(化學)간장은 양조(釀造)간장은 비(比)해 철분함량(鐵分含量)이 높았다. 7. 시판(市販)간장중(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제조원(製造元)에 따라 다양하나 총질소(總窒素) 1.0으로 환산(換算)하여 평균(平均) 62.7ppm이었으며 재래식(在來式) 간장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평균(平均) 37.68ppm이었다.

  • PDF

우리나라 국민의 비타민과 무기질 급원식품(I) -칼슘과 철분의 급원식품- (Food sources of vitamin and mineral for Korean people(I) -calcium and iron rich foods-)

  • 김영남;나현주;강희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7-6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calcium and iron rich foods in Korean people. The food sources presented in the current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investigated. And 40 kinds of calcium and iron rich foods were selected by the quantity in 100g edible portion. one serving size and according to 1997 food supply data. Also 3 major food groups of calcium and iron supply in Korean were identified, and 10 rich foods for each food groups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ood sources of calcium 1) The food sources of calcium presented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are milk and dairy products. small fishes such as anchovy icefish and dried strip and green vegetables etc. 2) The calcium rich foods by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kim milk powder river snail sesame sea mustard. whole milk powder. snapping turtle loach sea tangle(dried) opossum shrimp and sea lettuce(dried). And the calcium rich foods by the calcium content in one serving were in order of river snail snapping turtle opossum shrimp loach spiny lobster skate skim milk powder small alaska pollack freshwater crab condensed milk whole milk powder skate ray and milk. 3) The 3 major calcium supply food groups in Korean were vegetables fish and shellfishes and milk and dairy products. 4) The calcium supply food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food supply in 1997 was in order of sea mustard, milk anchovy chinese cabbage soybean skin milk powder laver shrimp welsh onion and maize. The vegetables were the important sources of calcium in Korean. 2. The food sources of iron 1) The food sources of iron which are common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meat liver egg(egg yolk) and green vegetables etc 2) The iron rich foods on the basis of the iron content in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urf clam marsh clam laver(dried)( sea lettuce(dried), crayfish pelilla seed little neck clam orient hard clam, venus clam, and freshwater carab. And the iron rich foods by the iron content in one serving were in order of surf clam marsh clam crayfish little neck clam orient hard clam freshwater crab venus clam hen cockle green confertii(fresh) pen shell and spiny lobster. 3) The 3 major iron supply food groups in Korean were cereals an cereal products fishes and shellfishes and vegetables. 4) The iron supply food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food supply in 1997 was in order of soybean sea mustard maize rice meat edible viscera laver wheat flour, pook, red pepper, egg and bovine meat.

  • PDF

닭에서 고추씨박의 사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 임호중;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24-39
    • /
    • 2001
  •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and feeding value of red pepper seed oil meal (RPSOM) as local vegetable protein ingredients for poultry feeding. In the first experiment, nutritional values of RPSOM were evaluated by analyzing chemical compositions and determin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 nitrogen corrected TME (TMEn) and true available amino acid (TAAA) contents. According to the chemical analysis, RPSOM contained 22.50% of crude protein, 4.75% of ether extract, 27.70% of crude fiber, 0.34 mg/g of capsaicin and 49.97 ppm of xanthophylls. The values of TME and TMEn determined by force-feeding 16 roosters (ISA-Brown) were 1.73 kcal/g and 1.63 kcal/g on dry matter basis, respectively. The average TAAA value of 16 amino acids measured by the force-feeding technique was 81.70%. These values were used for formulating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RPSOM for broiler chicks and laying hens. Two feeding trials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incorporation of RPSOM into chicken feed performances of broiler chicks and laying hens. In the broiler feeding (Exp. 2), a total of two hundred twenty-five, 4 wk old male broiler chicks (Ross) were randomly divided into 9 groups of 25 birds each and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5 and 10% RPSOM. The birds were fed ad libitum the diets for 3 wk and feed intake,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the feeding, the blood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holesterol, and the body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leg muscle were measur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e, body composition, serum levels of GOT, GGT and BUN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blood cholesterol level was lower (P<0.05) in 10% RPSOM diet group than those in the other. The dietary RPSOM at 5 and 10% levels increased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P<0.05) in leg muscl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RPSOM can be used for broiler feed up to 10% without an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broiler performance. In the layer feeding (Exp. 3), the effects of dietary RPSOM on the performances of laying hen were investigated by feeding ninety 45 wk old laying hens (ISA-Brown) with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5 and 10% RPSOM for 4 wk (30 birds per treatment). Measurements were made on egg production rate, egg weight, feed intake, Haugh unit, egg shell strength which was higher (P<0.05) in layers fed 10% RPSOM diet compared to those fed 0 and 5% RPSOM diet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RPSOM can be included into laying hen feed up to 10% without any harmful effects.

  • PDF

여러 상대습도에 저장된 건조분말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 변화 (Microbiological Quality of Dried and Powdered Foods Stored at Various Relative Humidities)

  • 김지연;배영민;현정은;김은미;김종찬;이선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76-582
    • /
    • 2017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 상승에 대한 건조분말 식품에서의 미생물적인 품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건조분말 시료를 고온 및 다양한 상대습도에서 저장하며 총균수,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를 측정한 결과 높은 상대습도에서 건조분말 식품의 수분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균수와 진균류가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균류는 저장 기간 동안 건조분말식품의 수분활성도의 증가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건조분말 식품의 보관 시 가장 관리가 필요한 미생물 군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상대습도 85% 이하에서는 미생물의 높은 생육이 관찰되지 않아 건조분말 식품의 보관에서 저장 중 상대습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건조분말 식품은 낮은 수분활성도로 인하여 개봉 후에도 주로 상온에 장기간 보관하는 식품이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로부터 높은 상대습도는 건조분말 식품의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품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개봉된 건조분말 식품은 밀봉하거나, 냉장 보관하는 등 저장 시 온도 및 습도를 철저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