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d ginseng saponin

Search Result 31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Studies on the Therapeutic Effect and Mechanism of Korean Red Ginseng Total Saponin on Infertility Caused by Polycystic Ovaries (홍삼사포닌 투여의 다낭성난소에 의한 불임 치료효과 및 기작연구)

  • Kim, Se-Eun;Oh, Dong-Min;Sim, Kyung-Mi;Jeong, Moon-Jin;Lim, Sung-Chul;Nah, Seung-Yeol;Lee, Yun-Lyul;Kang, Seong-Soo;Moon, Chang-Jong;Kim, Jong-Choon;Kim, Sung-Ho;Bae, Chun-Sik
    • Applied Microscopy
    • /
    • v.39 no.1
    • /
    • pp.1-7
    • /
    • 2009
  • Experimental induction of polycystic ovary (PCO) resembling some aspects of human PCO syndrome was produced using the long-acting compound estradiol valerate (EV). Our previous study on the role of Korean red ginseng total saponins (GTS) in a steroid-induced PCO rat model demonstrated that electro-acupuncture modulates nerve growth factor (NGF) concentration in the ovaries. In fact, the involvement of a neurogenic component in the pathology of PCO-related ovarian dysfunction is preceded by an increase in sympathetic outflow to the ovaries. In the present study,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rapeutic GTS administration modulates sympathetic nerve activity in rats with PCO. This was done by analyzing NGF protein and NGF mRNA expression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ical process underlying steroid-induced PCO. EV injec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ovarian NGF mRNA expression in PCO rats compared to control rats, and PCO ovaries were counteracted by GTS administration with significantly lower expression of NGF mRNA compared to EV treated ovaries. However, NGF protein was unaffected in both EV and GTS treated ovaries compared to control ra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 modulates the neurotrophic state of the ovaries, which may be a component of the pathological process by which EV induces cyst formation and anovulation in rodents.

TH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SAPONIN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IN CULTURE (한국 홍삼 사포닌이 배양중인 치주인대 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 Kim, In-Gu;Kim, Jung-Keun;Lee, Jae-Hyu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5 no.1
    • /
    • pp.45-55
    • /
    • 1995
  • 치주질환의 치유에 있어서 치주인대 세포의 증식과 분화는 매우 중요하다. 몇몇 학자들에 의해 치주인대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영향을 주는 platelet derived growth나 fibronectin과 같은 growth factor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이 연구는 홍삼 총사포닌이 치주인대 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과 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사람의 치주인대 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총사포닌이 치주인대 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특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농도의 총사포닌을 세포배양액에 첨가하여 1주일 배양후의 결과와 단일 농도($1{\mu}g/ml$})하에서의 세포 성장을 혈구계산반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치주인대 세포가 조골세포양세포로의 분화과정에 사포닌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관찰하기 위해 개개의 총사포닌 농도)0.1,1,$10{\mu}g/ml}$)를 세포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치주인대 세포가 조골세포의 표현형으로 분화되는데 미치는 총사포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사포닌의 단일 농도($1{\mu}g/ml$)하에서 $50{\mu}g/ml$ ascorbic acid와 10mM ${\beta}-glycerophosphate$를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후 von Kossa's staining을 시행하여 생성된 골결절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각각의 농도를 투여한 결과, $1{\mu}g/ml$의 총사포닌에 의해서 세포독성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2. 0.01,0.01,1,$10{\mu}g/ml$의 총사포닌을 세포배양액에 첨가한 다음 7일 후의 고나찰시 cell viability가 실험농도 모두에서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3. 0.1,1,10,$100{\mu}g/ml$의 농도에서 유외성있는 세포 증식이 있었다. 4. $1{\mu}g/ml$의 총사포닌을 세포배양액에 첨가한 다음 1,3,5,7,9일의 관찰시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성있는 세포 증식이 있었다. 5. $10{\mu}g/ml$의 총사포닌을 세포배양액에 첨가시 ALP activity가 대조군에 비해 유외성있게 증가하였다. 6. $1{\mu}g/ml$의 총사포닌으로 배양된 치주인대 세포내에서 ALP positive cell이 관찰되었다. 7. $1{\mu}g/ml$의 총사포닌으로 배양된 치주인대 세포내에서 골결절 형성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