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ginseng saponin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7초

홍삼 비사포닌 분획물의 항불안 및 항우울에 대한 효과 (Anxiolytic and Antidepressive Effect of Non-saponin Fraction of Korean Red Ginseng)

  • 이범준;김정우;지은영;윤승연;이상명;류재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43-148
    • /
    • 2009
  • Objectives : Anxiety and depression are stress-related disorders. Their prevalence are increasing rapidly. Ginseng is the root of Panax ginseng C.A. Meyer (Araliaceae) which has been used for many centuries in asian region. Anxiolytic effect is one of the popular effects of ginseng. Several studies reported saponin fraction of ginseng, including ginsenoside, is a major ingredient of anxiolytic effect.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anxiolytic-like and antidepressant-like effect of non-saponin fraction in mice. Material and Method :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non-saponin fractions (25 mg/kg; nsp25, 50 mg/kg; nsp50, 100 mg/kg; nsp100) respectively once a day in the morning at 9am for 1 week. Then, we performed elevated plus-maze (EPM) test for investigating the anxiolytic-like effect and forced swimming test (FST) for investigating the antidepressant-like action. Results : Non-saponin fraction 50 mg/kg group increased frequency and time spent (p<0.05) in open arm on EPM test and decreased immobility time (p<0.05) on FS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non-saponin fraction has anxiolytic-like effect and antidepressant like effect in mice.

인삼 사포닌의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분리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Ginseng Saponins)

  • 홍순근;박은규;이춘영;김명운
    • 약학회지
    • /
    • 제23권3_4호
    • /
    • pp.181-186
    • /
    • 1979
  •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ic procedure is described for determining ginseng saponins such as ginsenoside-Rb1, -Rb2, -Rc, -Rd, -Re, -Rf, -Rg1, and-Rg2. Ginseng saponins extracted with 90% methanol and water-saturated butanol were compared with pure standard ginsenosides. The resolution of the saponins was satisfactory and detection limit for each saponin was about 5.mu.g. Separation of the saponins was accomplished using a .mu. Bondapak carbohydrate analysis column, mobile phase of acetonitrile-water-butanol (80:20:15) and differential refractive index (RI) detector. The reproducibility and the recovery were also studied. This method was applied for determining the saponin contents of several parts of leaf, fresh ginseng,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 PDF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Modulation of Multidrug Resistance

  • Park, Jong-Dae;Kim, Dong-Sun;Kwon, Hyeok-Young;Son, Sang-Kwon;Lee, You-Hui;Baek, Nam-In;Kim, Shin-Il;Lee, Dong-K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13-218
    • /
    • 1996
  • Multidrug resistance (MDR) has been a major problem in cancer chemotherapy. To overcome this problem, we prepared minor ginsenosides stereoselectively from ginseng saponins and searched for a ginseng component which is effective for inhibition of MDR. MDR inhibition activit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cytotoxicity to MDR cells using multidrug resistant human fibrocarcinoma KB V20C, which is resistant to 20 nM vincristine and expresses high level of mdr1 gene. Of several ginseng components, 20(S)-ginsenoside Rg_3$, a red ginseng saponin, was found to have the most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MDR and it's concentration capable of inhibiting 50% growth was $82\muM$.

  • PDF

토끼와 흰쥐 음경해면체 이완작용에 미치는 홍삼사포닌 분획별 효과 (Effects of Compositions of Saponin Fraction from Korean Red Ginseng in the Relaxation of Rabbit and Rat Corpus Cavernosum)

  • 최영득;박진아;최형기;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3-20
    • /
    • 1999
  • 사포닌 함량과 PD계 사포닌과 PT계 사포닌의 조성 비율이 상이한 사포닌 분획물 TS-1, TS-2, TS-3 즉 주종 ginsenoside의 총함량$(G-Rb_1,\;-Rb_2,\;-Rc,\;-Rd,\;G-Re,\;-Rf,\;-Rg_1)$은 각각 $41\%,40\%,62\%$이고, PD계 사포닌과 PT계 사포닌의 함유 조성비율(PD/PT)이 각각 1.55, 2.25, 2.61인 시료를 6년근 홍삼으로부터 추출 제조하여, 생체외 실험으로 음경해면체 절편에 대한 이완반응과 생체내 실험으로 사포닌분획물 투여에 따른 음경 해면체내압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PHE에 의해 수축된 음경해면체 절편에 대한 이완 반응은 홍삼 사포닌은 각각 농도 의존적 이완작용을 보였으며, 음경 해면체평활근의 이완작용에 있어 각 분획물의 $ED_{50}$은 TS-1이 1.68, TS-2, 1.97, TS-3, 2.29 mg/ml서 TS-1이 가장 의의있게 낮았다. 이러한 홍삼 사포닌 분획물의 이완효과 기전은 음경 해면체평활근에 NO나 칼슘 및 칼륨 통로 등에 영향을 미쳐 복합적인 이완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흰쥐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으로 홍삼 사포닌 투여에 따른 음경해면체내압의 변화 조사에서 각 사포닌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해면체내압의 증가를 야기시켰다. 이들 해면체내압의 증가 정도는 TS-1이 가장 강하였고,TS-2,TS-3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홍삼의 사포닌 분획물은 음경해면체평활근의 이완작용과 내압의 증가에 영향을 미쳐 음경발기의 상승을 야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그 함유 조성에 따라 차별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금후 주요 활성성분의 구명이 요망되고 있다.

  • PDF

Rhizopus japonicus 에 의한 Ginsenoside $Rb_1$ 전환효소의 생산조건 (Production of the Convertible Enzyme of Ginsenoside $Rb_1$ by Rhizopus japonicus)

  • 김상달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4
    • /
    • 1989
  • 인삼 saponin중 조성비율이 가장 큰 ginsenoside Rb1만을 약효면에서 보다 우수한 ginsenoside Rd로 선택적 전환시킬 수 있는 Rhizopus japonicus를 대상으로 해서 인삼 saponin 전환효소의 최적생산조건을 검토하였다. Wheat bran 배지를 기본으로 할 경우 배양 5일에 가장 많은 효소가 생산되었으며, 인삼류의 천연유기물중에는 홍삼분말을, 저급당류중에는 xylose를, 다당류중에는 laminarin을 flavonoids중에는 naringin을, 질소원중에는 beef extract와 $KNO_3$를 첨가할 경우 인삼 saponin 전환효소가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 PDF

팽화 가공에 따른 홍삼과 백삼의 성분변화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and White Ginseng after Puffing)

  • 김상태;장지현;권중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1
    • /
    • 2009
  •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홍삼절편Ⅰ(주근: 수삼-증삼-건조-습점-절편-건조) 및 홍삼절편II(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puffing gun으로 팽화시켜 그 전후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 후 기화로 인해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당의 경우 팽화 후 모든 시료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당의 경우 백미삼을 제외한 홍삼류 시료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홍삼류 시료들은 일부 ginsenoside에서 2배 이상의 증가량을 보였다. 또한 팽화 후 산성 다당체가 증가하였을 뿐만아니라 총 페놀성 화합물과 전자공여능의 경우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여 팽화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팽화 후 아미노산 함량 및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백미삼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무기질 함량은 팽화 전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시료에서 일반 성분, 무기질 등의 함량변화 없이 약리활성을 가지는 조사포닌, 총 페놀성 화합물, 산성 다당체 등의 성분들이 팽화 가공으로 인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의 인삼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팽화가공법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hange of Ginsenoside Composition in Ginseng Extract by Vinegar Process

  • Ko, Sung-Kwon;Lee, Kyung-Hee;Hong, Jun-Kee;Kang, Sung-An;Sohn, Uy-Dong;Im, Byung-Ok;Han, Sung-Tai;Yang, Byung-Wook;Chung, Sung-Hyun;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09-5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preparation process of ginseng extract using high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g_3$, a special component in red ginseng. From when the ginseng saponin glycosides transformed into the prosapogenins chemically, they were analyzed using the HPLC method. The ginseng and ginseng extract were processed with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of an edible brewing vinegar.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nsenoside $Rg_3$ quantities increased over 4% at the pH 2-4 level of vinegar treatment. This occurred at temperatures above $R90^{\circ}C$, but not occurred at other pH and temperature condition. In addition, the ginseng and ginseng extract were processed with the twice-brewed vinegar (about 14% acidity). This produced about 1.5 times more ginsenoside $Rg_3$ than those processed with regular amounts of brewing vinegar (about 7% acidity) and persimmon vinegar (about 3% acidity). Though the white ginseng extract was processed with the brewing vinegar over four hr, there was no change for ginsenoside $Rg_3$. However, the VG8-7 was the highest amount of ginsenoside $Rg_3$ (4.71%) in the white ginseng extract, which was processed with the twice-brewed vinegar for nine h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inseng treated with vinegar had 10 times the quantity of ginsenoside $Rg_3$, compared to the amount of ginsenoside $Rg_3$ in the generally commercial red ginseng, while ginsenoside $Rg_3$ was not found in raw and white ginseng.

홍삼추출물이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 Hydrogen Perox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Ginseng Extracts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of Murine Prtitoneal Macrophages)

  • 박란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7-113
    • /
    • 1998
  • 홍삼의 추출물인 50% ethanol extract, crude saponin, 그리고 lipid soluble fraction이 마우스 대식세포의 oxidative burst를 유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in vitro와 in vivo에 각각의 추출물을 처치하고 hydrogen peroxide 생산을 DCFH-DA를 이용한 형광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형광분광법에 의한 hydrogen peroxide의 측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DCFH-DA의 농도는 3.2$mu extrm{m}$이었고, oxidative burst를 유도하기 위한 zymosan A, PNA의 최적 농도는 각각 100$\mu\textrm{g}$, 250'기호'를 사용하였다. In vitro의 경우, 홍삼의 3가지 추출물은 모두 oxidative burst를 유발하지 못하였지만, zymosan A로 유발한 경우에는 50% ethanol extract에서 가장 높은 hydrogen peroxide를 생산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lipid soluble extract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한(P<0.01) oxidative burst를 유발하였고, ginsenoside(saponin)가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 50% ethanol extract와 crude saponin은 대조군에 배하여 유의하게 낮은(P<0.05) hydrogen peroxide를 생산하였다. 이는 ginsenoside가 마우스의 nitric oxide 생산을 억제한다는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Oxidative burst를 유발한 lipid soluble extract에는 phenol계 화합물, polyactylence계 화합물, 미량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차후 연구를 통하여 과연 어느 성분이 hydrogen peroxide를 증가시키는지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Electron Beam 조사가 인삼분말의 사포닌 및 생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Saponin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Powders)

  • 이미경;이종원;도재호;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6-212
    • /
    • 2003
  • 인삼분말에 대한 전자선(electron beam)의 이용가능성을 연구하고자, 방사선 살균처리(2.5∼15 kGy)가 백삼 및 홍삼분말의 사포닌 함량 및 패턴, 페놀함량, 산성다당체 함량, amylase activity, 단백질 패턴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감마선 조사와 비교하였다. 사포닌 함량과 패턴을 TLC 및 HPLC로 분석해 본 결과, 조사선량과 에너지원에 따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실온 저장 4개월 이후에도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성분 및 산성다당체 함량은 홍삼이 백삼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산성다당체 함량은 조사선량의 증가로 높은 추출량을 보였다. 백삼분말의 amylase activity는 방사선조사 직후 증가하였으나, 4개월 이후에는 대조구 보다 낮은 간을 보였으며, 추출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은 15 kGy의 전자선 및 감마선구에서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동백종실(Camellia japonica L.)과 유박의 일반성분, 사포닌 및 아미노산 조성 (Proximate, Saponin and Amino Acid Compositions in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s and Defatted Camellia Seeds)

  • 강성구;김용두;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7-231
    • /
    • 1998
  • To furnish basic data for the utilizatin of camellia(Camellia japonica L.) seeds as a raw material of industrial products,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and defatted camellia seed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fat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camellia seeds were 4.06%, 1.83%, 65.75% and 8.44%, respectively. Defatted camellia seeds indicates that it contains 10.31% moisture, 5.28% crude ash and 17.49% crude protein while no crude fat was detected. The curde ginseng saponin, crude saikosaponin and red ginseng saponin contents of camellia seeds were 108.0mg%, 0.4mg% and 40.3mg%, respectively.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camellia seeds and defatted camellia seeds were 7,851mg% and 13,002mg%, respectively,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rginine, aspartic acid and leuc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f camellia seeds was 0.29.

  • PDF